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산 박쥐 간장의 미세구조적 고찰

        최병진,엄창섭,장병준,박창현,Choi, Byung-Jin,Uhm, Chang-Sub,Chang, Byung-Jun,Park, Chang-Hyun 한국현미경학회 2001 Applied microscopy Vol.31 No.4

        한국산 관박쥐과의 관박쥐 (Rhinolophus ferrmmequinum korai)와 애기박쥐과 Myotis속에 속하는 큰발웃수염 박쥐 (Myotis macrodactylus), 물웃수염박쥐 (Myotis daubentonii ussrinesis) 및 관코박쥐 (Murina leucogaster intermedia)의 활동기 간장 조직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이들의 미세구조적 특징을 규명하고 이들 간에 존재하는 차이를 비교 고찰하고자 하였다. 관박쥐는 세포질 내에 $10\sim20$개의 크고 둥근 사립체를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과산화소체가 잘 발달되어 있었다. 큰발웃수염박쥐는 간세포간 사이의 연접복합체, 특히 부착반점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디세강과 동굴모세혈관 속은 섬세한 물질로 채워져 있었다. 물웃수염박쥐는 세포질 내에 당원과립을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 디세강과 동양혈관 속은 섬세한 물질로 채워져 있었다. 관코박쥐는 동굴모세혈관에 기저막이 잘 발달되어 있었으며, Kupffer 세포와 Ito 세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같은 시기의 한국산 박쥐의 간장에서도 종에 따라서 미세구조적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들은 이들의 생활환경과 식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To understand the fine structure of Korean bat livers ,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liver of four Korean bats; Rhinolephus ferrumequinum korai, Myotis macrodactylus, Myotis dauhentonii ussrinesis, and Murina leucogaster intermedia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hepatocytes of Rhinolophus ferrumequinum korai had large-sized mitochondria and many peroxisomes. In the Myotis macrodactylus, juctional completes, especially desmosomes, were well developed. The Myotis daubentonii ussrinesis had many glycogen particles in the cytoplasm. Also, the space of Disse and sinusoidal spare was filled with amorphous materials. In the Murina leucogaster intemedia, basement membrane was prominent in the sinusoid, and no Kupffer and Ito cells were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in the liver ultrastructure among Korean bats.

      • KCI등재

        Estimation for scale parameter of type-I extreme value distribution

        최병진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2

        In a various range of applications including hydrology, the type-I extreme valuedistribution has been extensively used as a probabilistic model for analyzing extremeevents. In this paper, we introduce methods for estimating the scale parameter ofthe type-I extreme value distribution. A simulation study is performed to comparethe estimators in terms of mean-squared error and bias, and the obtained results areprovided.

      • KCI등재

        모렐리의 방법론 : 미술과 과학의 ‘융합’에 대한 역사적 사례연구

        최병진 한국영상학회 2017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5 No.3

        문화사는 과거를 검토하는 특별한 방법이며 문화는 인간의 행위와 결과, 사유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같은 관점에서 인체는 늘 미술사와 의학의 역사에서 안드레아 베살리우스의 『인체의 구조에 관하여』이후 근 대적인 해부학의 발전 속에서 중요한 테마를 구성해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술 감정가로서 미술 비평의 아카데믹한 전통을 구성해 왔던 조르조 바자리의 관점과 19세기 중엽 미술품에 대한 새로운 진 단도구를 제공하며 미술 진단의 중요한 혁신을 가져온 인물이었던 조반니 모렐리의 관점을 소개한다. 이 같은 융합에 대한 흥미로운 역사적 사례에 대한 비교 연구는 인체에 대한 생각과 서로 다른 의미의 기 호학적 레벨들이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한다. Cultural history refers to a specific manner of looking into the past, and it considers that culture consists of human actions, deeds, and thoughts. From this perspective, the human body is an important topic in relation to the History of Art and Medicine through the evolution of knowledge about modern anatomy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De humani corporis fabrica by Andrea Vesalius. This research presents Giorgio Vasari's point of view, which is the acclaimed academic tradition of a critic of art as well as a connoisseur of art, and that of Giovanni Morelli, who became an important innovator in artistic diagnosis in the middle of the nineteenth century by offering a new instrument for analyzing works of art. This comparative study of interesting historical example of consilience examines how the idea of the human body has been transformed and delves into related semiotic levels with different meanings.

      • KCI등재

        지역학과 미술사학의 상호 연관성 – 이탈리아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병진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9 美術史學 Vol.- No.38

        This research examines links among Area Studies, History of Art and Italian Studies and analyzes the question of how trans-disciplinary research is possibly defined in these disciplines. My approach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similarity and diversity in the history of disciplines.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 Alterity, notwithstanding the different questions and limits of researches, is characteristics central to these disciplines and is a common topic. Alterity and identity are two inseparable sides of the same coin because the Other exists relative to the Self. There is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Area Studies and History of Art. Area Studies look at large-scale social processes, such as social stability and change. Furthermore it focus on historical and social identity and direction of change. In this process it needs to analyze the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social groups. One of social medium, for example, is Art. On the other hands History of Art looks at micro level approach interpreting the works of Art and intention of artist. It requests the comprehension of social context on the way, and that’s why Area Studies are useful for Art History. Nonetheless, notably it share common interests, structurally and methodologically, it’s because of interdependence on each other’s for giving evidences. And to conclude, these disciplines are mutually useful for developing researches. 본 연구는 지역학, 미술사, 이탈리아 학 사이의 접점을 검토하며, 이 분야들의 교차학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문제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학문의 역사가 지닌 유사성을 검토하였으며 타자성의 문제를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타자성의 문제는 정체성의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지역학과 미술사에서 공유되고 있다. 특히 타자성과 정체성은 동전의 양면처럼 다뤄진다. 왜냐하면 타자는 주체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기는 해도 두 분야는서로 다른 학문적 지향점과 방법론을 지니고 있다. 지역학은 거시적 관점에서 사회 구성원의 관계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역사적, 사회적 정체성과 변화의 방향성을 다룬다. 이 과정에서 사회 그룹들 간의 소통 매체를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미술과 같은 매체도분석 대상에 포함된다. 반면 미술사는 미시적 관점에서 미술품과 예술가의 의도를 해석하기 위한 미시적 문제를 다룬다. 이 작업은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문화지도처럼 지역학 역시 미술사에 필요한 정보와 이를 바라보는 관점을 생산한다. 두 분야의 학문적 지향점과 방법론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분야는 데이터의 검증을 위해서 구조적으로 상호의존적 특징이 있고 각 연구 분야를 심화시켜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근대 초 해부학의 발전과 시각적 사유 : 미술과 의학의 학제 간 상호연관성

        최병진 한국미술이론학회 2015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20

        본 연구는 르네상스 초부터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던 해부학에 대한 문화적 관점과 1490년대부터 18세기 중반까지 이탈리아에서 출간된 해부학 서적의 삽화들을 토대로 미술과 의학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한다. 의학 분야는 해부학을 통해 경험을 보편적인 지식으로 구성해갔지만 당시 해부학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줄이는 과정에서 예술가의 도움을 받아 기존 예술품을 차용해서 인간의 신체를 표현하고 도상학적 지식을 함께 전달했다. 이 과정에서 의사와 예술가는모두 개체를 설명할 수 있는 보편적 사유 구조를 공유할 수 있었고, 예술가는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표현을 확장해갈 수 있었다. 이런 점은 매너리즘 이후아카데미의 설립 과정에서 진행된 해부학의 논쟁이나 바르톨로메오 파세로티의 <해부학 수업>의 사례에서처럼 유파의 분류 기준으로 변하는 과정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해부학 전문 서적의 삽화들은 대상이 아니라 대상을 보는 문화적 사유 구조를 바탕으로 각 분야의 독립적 담론을 구성하고 학문적 자율성을 부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anatomy evolved as an interdisciplinary domain of art and medicine in the early modern era by examining the illustrations in anatomical treatises published in Italy during a period beginning the 1490s up to the mid-eighteenth century. In their nascent endeavor to establish the anatomical knowledge system, medical professionals had to rely on existing artworks for effective visualization of human body and for alleviation of psychological stigma attached to anatomy. On the other hand, artists benefitted from anatomical knowledge of medical professionals in advancing the capacity to express human body from dynamic viewpoints. Through such interactions, artists and medical professionals could develop a common framework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anatomical knowledge. As demonstrated by Bartolomeo Passerotti's Michelangelo's Lesson of anatomy, illustrations in anatomical treatises played a critical role in establishing the interdisciplinarity of anatomy that straddles art and medicine.

      • KCI등재
      • KCI등재

        지역학으로서의 독일학 육성을 위한 정보자료의 디지털화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최병진,정동규,천미애,남유선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獨逸文學 Vol.88 No.-

        In dieser Arbeit wurde vor allem versucht, den Blick auf zwei Punkte zu richten: Erstens sollte das Forschungsvorhaben, das im Rahmen eines zweija¨hrigen Projekts unter finanzieller Unterstu¨tzung des Koreanischen Research Foundation (KRF) durchgefu¨hrt wurde, in grobem Abriss vorgestellt werden. Zweitens werden die Probleme skizziert, die wa¨hrend der Durchfu¨hrung des Projekts auftauchten, und aus denen sich schließlich unmittelbar einige Verbesserungs- vorschla¨ge ergeben. Das Projekt hatte die Aufgabe, ein auf digitalisierten Daten basierendes Informationssystem u¨ber Deutschland zu erstellen. Das System der Wissenschaftsinformationen, das in der vorliegenden Arbeit vorgestellt wurde, wird beispielsweise aufgrund seiner umfangreichen Informationsdaten dem Fach Germanistik zur weiteren und vertiefenden deutschlandeskundlichen Forschung von großem Nutzen sein. Daru¨ber hinaus aber kommt es auch den Lehrenden zugute, da ihnen dann ein vielseitiges und reichhaltiges Lehrveranstaltungsmaterial als Veranstaltungsthemen zur Verfu¨gung steht. Um ein solches Wissenschaftssystem der Deutschlandforschung zu erstellen und weiter zu entwickeln, wird jedoch nicht nur vie1 Zeit, sondern eine sta¨ndige Aktualisierung der Datenbank no¨tig werden. Um diese Aufgaben zu bewa¨ltigen, sollten mo¨glichst viele Germanisten fu¨r das Projekt zur Verfu¨gung stehen. Zurzeit findet das Internet im privaten und o¨ffentlichen Bereich breite Anwendung wie noch nie zu vor, und diese Tendenz wird sich noch versta¨rken. Forscher suchen und sammeln Informationen anhand des Internets. So nimmt es im Forschungsleben als Forschungswerkzeug einen wichtigen Platz ein. In Zukunft wird sich der Service im Bereich des Netzwerks weiter entwickeln/verbessern. Dies bedeutet fu¨r die Forscher eine Chance im Hinblick auf die Zukunft der Forschung, wenn sie gemeinsam ein wissenschaftliches Kooperationssystem entwickeln, um Wissen unter einander auszutausc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