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심리적 자본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최병연(Byungyeon Choi)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초등교사들의 심리적 자본과 창의성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D와 J시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28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관련 변인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심리적 자본과 학습몰입은 창의성과 각각 .64, .55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또한 심리적 자본은 창의성의 41%를 설명 하였고, 하위 요인들 중에서는 자기 효능감(β=.25), 희망(β=.22), 낙관주의(β=.20), 회복 탄력성(β=.12) 순으로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몰입은 창의성의 42%를 설명했으며, 하위 변인 중에서 도전-기술 균형(β=.45), 자의식 상실(β=.22), 자기목 적적 경험(β=.16) 변인이 창의성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 몰입은 심리적 자본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creativity amo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gathered the data of 280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wo national education universities in Ko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ppeared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capital (r=.64) and learning flow (r=.55)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reativity. Second, psychological capital was responsible for 41% of creativity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se components on creativity was self-efficacy (β=.25), hope (β=.22), optimism (β=.20), and resilience (β=.12). In addition, three components of learning flow explained 42% of creativity. Specifically, the challenge-skill balance (β=.45), loss of self-consciousness (β=.22), and autotelic experience (β=.16) predicted creativity. Finally, learning flow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creativity. Psychological capital predicted creativi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flow.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중학년의 창의성 교육 혁신 방안 연구

        이경화(Kyunghwa Lee),성은현(Eunhyun Sung),최병연(Byungyeon Choi),박춘성(Choonsung Park),전경원(Kyungwon Jeon),하종덕(Jongduk Ha),한순미(Soonmi Ha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9 창의력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중학년(3~4학년)의 창의성 교육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창의성 교육의 혁신방안을 마련하여 교육과정 개선작업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 4학년의 교육과정과 국어, 수학, 과학 교과목에서 창의력 계발 목표, 수업활동 및 평가 등을 1단계로 분석하였으며, 2단계로 250여명의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성 교육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성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교과별 창의성에 대해서 교사의 인식, 교수ㆍ학습 방법, 그리고 평가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교사교육과 교수ㆍ학습 프로그램 및 평가 프로그램 등의 자료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학교교육과정에서 다루게 되는 창의성의 요소들은 매우 한정적이고, 교사들은 창의성의 중요성은 인식하지만 교사의 창의성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 수업방안, 평가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과서 개정,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의 구안을 비롯하여 창의성 교육을 위한 전반적인 교육과정 개선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uide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3rd-4th graders to improve creativity. The curriculums of Korean language, Math, and Science and the survey data of 250 teach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s of teachers about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and program developments to enhancing students' creativity were needed. Second, resource systems to supporting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such as lesson plans and experts of creativity education were needed. Finally, it is urgent to revise the curriculum to improve students' creativity, including text 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