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강방송 메타데이터 설계 및 검증용 테스트 베드 시스템 구현

        최범석(Bumsuk Choi),김순철(Suncheol Kim),정영호(Youngho Jeong),홍진우(Jinwoo Hong),이원돈(Wondon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4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9 No.5

        In this paper we introduce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 scenarios which combines augmented reality service with broadcasting environment. As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is different from mobile service environment, there are many restrictions in developing full AR services in TV. However TV has strong benefit of large screen, high quality contents, advanced user interface for motion and voice, and smart TV applications, which means that they will enhance the possibility of success for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 This paper proposes metadata structure containing information for augmentation region, time, augmented contents, and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natural composition. We also implemented test bed system comprised of authoring server, broadcasting server, and user terminal for verifying metadata in broadcasting system.

      • 방송과 증강현실의 접목을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와 증강방송 메타데이터 설계

        최범석(Bumsuk Choi),김순철(Soonchoul Kim),정영호(Youngho Jeong),이원돈(Wondon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2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2 No.7

        본 논문에서는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방송환경에 접목할 수 있는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한 소개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증강방송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소개한다. 방송환경이 모바일 환경과 다르기 때문에 완벽한 증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한편 TV 의 대 화면과 양질의 TV 프로그램, 스마트 TV 로의 발전에 따른 웹 환경 지원과 모션/음성 인식 인터페이스, 그리고 스마트 TV 애플리케이션의 등장은 증강방송의 가능성을 한층 높이고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증강방송 메타데이터를 설계하였으며, 증강방송 메타데이터는 증강영역 및 시간, 증강 콘텐츠, 정합 정보 등을 포함한다. 증강방송 메타데이터를 방송환경에 적합하게 전송하기 위하여 스트리밍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메타데이터 구조를 정의하였다.

      • 증강방송 메타데이터 설계 및 저작도구 구현

        최범석(Bumsuk Choi),정영호(Youngho Jeong),이원돈(Wondon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3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3 No.6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을 방송환경에 접목한 증강방송 개념에 대한 소개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증강방송 메타데이터 및 증강방송 메타데이터를 저작하기 위한 저작도구에 대하여 소개한다. 방송환경이 모바일 환경과 달라 완벽한 증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으나, TV 의 대 화면과 양질의 TV 프로그램, 스마트 TV 로의 발전에 따른 웹 환경 지원과 모션/음성 인식 인터페이스, 그리고 스마트 TV 애플리케이션의 등장은 증강방송의 가능성을 한층 높이고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증강방송 메타데이터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저작하기 위한 저작도구를 구현하였다.

      • KCI등재

        실제도로 상황에서 탐지 정확도 개선을 위해 공간적 집중을 사용하는 차량 번호판 탐지 기법

        이상원(Sang-Won Lee),최범석(Bumsuk Choi),김유성(Yoo-Sung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1

        본 논문에서는 실제 도로의 다양한 상황에서도 차량 번호판을 정확하게 탐지하기 위해 차량 번호판의 후보 지역을 공간 집중 영역으로 사용하는 차량 번호판 탐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먼저, 기존의 WPOD-NET이 전처리 과정에서 검출된 차량 영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넓은 탐지 후보 영역으로 인해 불필요한 노이즈가 포함되어 탐지 정확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차량 번호판의 후보 지역을 공간 집중 영역으로 사용하는 차량 번호판 탐지 모델을 제안하였고, 제안한 방법이 기존 WPOD-NET보다 탐지 정확도를 어느 정도 개선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GT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공간 집중 영역을 설정한 경우와 함께 탐지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에 따르면 제안된 모델이 기존 WPOD-NET에 비해 타이트한 탐지 후보 영역을 갖기 때문에 약 20% 더 높은 탐지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a vehicle license plate detection scheme is proposed that uses the spatial attention areas to detect accurately the license plates in various real-road situations. First, the previous WPOD-NET was analyzed, and its detection accuracy is evaluated as lower due to the unnecessary noises in the wide detection candidate areas. To resolve this problem, a vehicle license plate detection model is proposed that uses the candidate area of the license plate as a spatial attention areas. And we compared its performance to that of the WPOD-NET, together with the case of using the optimal spatial attention areas using the ground truth data.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has about 20% higher detection accuracy than the original WPOD-NET since the proposed scheme uses tight detection candidate areas.

      • KCI등재

        An Enhanced Two-Stage Vehicle License Plate Detection Scheme Using Object Segmentation for Declined License Plate Detections

        Sang-Won Lee(이상원),Bumsuk Choi(최범석),Yoo-Sung Kim(김유성)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9

        본 논문에서는 실제 도로에서 기울어진 촬영 각도로 인하여 회전된 차량 번호판을 정확하게 탐지하기 위하여 객체 세그먼테이션(object segmentation)을 이용하는 개선된 2-단계 차량 번호판 탐지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3-단계 차량 번호판 탐지 파이프라인 모델은 차량 번호판이 많이 기울어져 있을수록 탐지 정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3-단계 모델에서 사각형 형태만으로 차량 후보 영역과 차량 번호판 후보 영역을 인식하는 전위 2개의 처리 단계 대신에 임의의 형태로 객체 탐지가 가능한 객체 세그먼테이션을 이용하는 하나의 단계로 대체함으로써 탐지 과정을 단순화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임의의 형태로 기울어진 차량 이미지에 대해서도 탐지 성능을 개선하였다. 기울어진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대상으로 실시한 차량 번호판 탐지 모델의 정확도 분석 실험 결과에 의하면 기존의 3-단계 차량 번호판 탐지 모델보다 제안된 2-단계 기법이 탐지 과정을 단순화하였음에도 최대 약 20%의 탐지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paper, an enhanced 2-stage vehicle license plate detection scheme using object segmentation is proposed to detect accurately the rotated license plates due to the inclined photographing angles in real-road situations. With the previous 3-stage vehicle license plate detection pipeline model, the detection accuracy is likely decreased as the license plates are declined. To re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n enhanced 2-stage model by replacing the frontal two processing stages which are for detecting vehicle area and vehicle license plate respectively in only rectangular shapes in the previous 3-stage model with one step to detect vehicle license plate in arbitrarily shapes using object segment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s in terms of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proposed 2-stage scheme and the previous 3-stage pipeline model against the rotated license plates,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2-stage scheme is improved by up to about 20% even though the detection process is simplified.

      • KCI등재

        평균반경해석법을 이용한 축류압축기 성능해석 프로그램 개발

        박준영(JunYoung Park),박무룡(MooRyong Park),최범석(BumSuk Choi),송재욱(JeWook Song) 대한기계학회 2009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3 No.2

        Axial-flow compresso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gas turbine units with axial turbine and combustor. Therefore, precise prediction of performance is very important for development of new compressor or modification of existing one. Meanline analysis is a simple, fast and powerful method for performance prediction of axial-flow compressors with different geometries. So, Meanline analysis is frequently used in preliminary design stage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given geometry data. Much correlations for meanline analysis have been developed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for estimating various types of losses and flow deviation angle for long time. In present study, meanline analysis program was developed to estimate compressor losses, incidence angles, deviation angles, stall and surge conditions with many correlations. Performance prediction of one stage axial compressors is conducted with this meanline analysis program. The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ults show a good agreement. This meanline analysis program can be used for various types of single stage axial-flow compressors with different geometries, as well as multistage axial-flow compressors.

      • 사용자 및 디바이스 기반의 도메인 관리

        변영배(YoungBae Byun),추현곤(HuonGon. Choo),최범석(BumSuk Choi),남제호(JeHo Na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5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5 No.-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및 디바이스 기반의 도메인을 구현하고, 그 관리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도메인 구성에 사용자와 디바이스를 동시에 포함시킨 것과 각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을 정의할 수 있고, 반대로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한정 정의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및 디바이스 기반의 도메인을 적용하면, 사용자와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서브 도메인을 구성하여 라이센스를 발급할 수 있기 때문에 폭 넓은 라이센스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 다중 CP 를 지원하는 양방향 증강방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영호(Youngho Jeong),김순철(Soonchoul Kim),하정락(Jeounglak Ha),최범석(Bumsuk Choi)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5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7

        본 논문은 방송 프로그램과 증강 콘텐츠를 융합하여 시청자와의 상호작용 및 시청 몰입감을 향상시키고, 시청자의 증강 콘텐츠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다중 CP 를 지원하는 양방향 증강방송 시스템에 대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구현된 증강방송 시스템은 증강 콘텐츠 제어정보 생성을 위한 증강방송 저작도구, 다중 CP기반 증강 콘텐츠의 관리 및 다운로드 처리를 위한 증강방송 콘텐츠 서버, 방송 스트림과 증강방송 서비스 제어정보 등을 다중화기 위한 증강방송 재다중화기, 증강 콘텐츠의 다운로드 및 렌더링을 위한 증강방송 서비스 플랫폼, 이용자 상호작용 처리를 위한 증강 콘텐츠 UI 로 구성된다. 향후 구현 시스템을 활용한 실험방송 및 시범서비스 등을 통해 증강방송 서비스의 상용화 및 3<SUP>rd</SUP> party 증강 콘텐츠 사업자가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미디어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방송 미디어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평균반경해석법을 이용한 축류압축기 성능해석

        박준영(Jun Young Park),박무룡(MooRyong Park),황순찬(SoonChan Hwang),최범석(BumSuk Choi)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5

        Axial-flow compresso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gas turbine units with axial turbine and combustor. Therefore, precise prediction of performance is very important for development of new compressor or modification of existing one. Meanline analysis is a simple, fast and powerful method for performance prediction of axial-flow compressors with different geometries. So, Meanline analysis is frequently used in preliminary design stage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given geometry data. Much correlations for meanline analysis have been developed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for estimating various types of losses and flow deviation angle for long time. In present study, meanline analysis program was developed to estimate compressor losses, incidence angles, deviation angles, stall and surge conditions with many correlations. Performance prediction of one stage axial compressors is conducted with this meanline analysis program. The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ults show a good agreement. This meanline analysis program can be used for various types of single stage axial-flow compressors with different geometries, as well as multistage axial-flow compress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