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년여성세대와 여대생세대의 녹차소비특성 연구

        최배영(Bae-Young Choi),권태연(Tae-Youn Kwon),박정현(Jeong-Hyun Park),김정화(Jeong-Hwa Kim) 한국차학회 2010 한국차학회지 Vol.16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ions of middle-aged women and female college students by comparing thei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A total of 350 samples were collected for questionnaire surve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tween the generations, green tea consumption behavior revealed differences in the type of green tea drunk, the amount of green tea drunk, the time when the green tea is drunk during a day, the company with whom they drink their green tea, the place where they purchased their green tea, and factors that influenced their choice of green tea. Second, convenience of green tea consumption showed difference in such areas as personal relationships, promotion of learning,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etween the generations, with the generation of middle-aged women pursuing convenience more than the gener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ird, both the generation of middle-aged women and the gener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convenience of green tea consumpt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green tea drinking.

      • KCI등재
      • KCI등재

        Q방법론을 통해 본 밀레니얼 세대 여대생의 녹차 음용 동기연구

        최배영(Choi, Bae-young) 국제차문화학회 2021 차문화ㆍ산업학 Vol.53 No.-

        본 논문은 Q방법론을 통해 밀레니얼 세대 여대생들의 녹차 음용 동기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특성에 부합되는 녹차 상품 전략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하에 24개의 Q표본을 추출하고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여학생 25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여대생에 의한 Q분류는 2021년 7월 20일부터 7월 23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QUANL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의 원기회복을 위한 음용형의 동기를 가진 여대생들에게는 녹차를 물 대신 음용하면 갈증을 해소하면서도 정신을 맑게 해 집중력을 향상하고 피로 회복도 도모하게 되는 점을 상품에서 강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정서적 향유를 위한 음용형의 동기를 가진 여대생들에게는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코드와 취향을 녹여낸 녹차 상품을 체험하도록 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건강 기능성 추구를 위한 음용형의 동기를 가진 여대생들에게는 카테킨류에 대한 설명과 함께 녹차를 꾸준히 마심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능들을 이해하기 쉬운 정보로 전달하는 상품 전략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categorize the green tea drinking motives of millennial female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Q-methodology and to search for green tea product strategie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r this purpose, 24 Q samples were extracted and 25 female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as P samples. The Q sorting by these female college students was carried out from July 20 to July 23, 2021,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QUANL Program.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drinking-type motives for daily refreshment, it is necessary to have a strategy that emphasizes that drinking green tea instead of water quenches thirst, clears the mind, improves concentration, and recovers fatigue. Second, a strategy is required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drinking-type motives for emotional enjoyment to experience green tea products with codes and tastes that they can sympathize with. Third, it is importan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drinking-type motives to pursue health functionalities a product strategy that provides easy-to-understand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drinking green tea consistently along with an explanation of catechins.

      • KCI등재

        『사의(士儀)』성인편(成人篇)을 토대로한 대학의 청년기 인성교육 연구

        최배영(beayoung choi) 국제차문화학회 2016 차문화ㆍ산업학 Vol.32 No.-

        본 논문은 대학에 있는 청년기 학생들을 위한 인성교육의 시의적 현안에 주목하여 우리 고유의 문화 가운데 ‘성년 됨의 의례’인 관례(冠禮) 속에서 인성교육의 원형적 내용을 탐구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인성교육진흥법에 명시된 핵심 가치․덕목에 의거해 조선후기 성재(性齋) 허전(許傳: 1797-1886)의 『사의(士儀)』성인편(成人篇)에 나타난 관례의 내용을 청년기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현대적으로 재조명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무오읍혈록」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박물관의 상례문화 전시 연구

        최배영(beayoung choi) 국제차문화학회 2015 차문화ㆍ산업학 Vol.30 No.-

        본 연구는 조선후기 학자인 윤행임(尹行恁, 1762-1801)이 어머니 한양(漢陽) 조씨(趙氏: 1726-1798)의 상례(喪禮)를 기록한 「무오읍혈록(戊午泣血錄)」의 내용을 토대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활용함으로써 조선후기 상례문화의 박물관 기획 전시를 구성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무오읍혈록」에 대한 문헌고찰을 시행한 후 전시의 내용적 측면과 공간적 측면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의 내용적 측면에서 주제는 ‘어머니를 향한 그리움과 정성의 효(孝)’로 설정하였다. 전시 시나리오의 도입부는 ‘어․머․니’로 시작되었다. 전시부는 일지 형식의 기록인「무오읍혈록」의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6개의 세부영역으로 나누어 (1) ‘그리운 어머니께 올리는 눈물의 편지’ (2) ‘어머니의 먼 나들이 옷, 수의’ (3) ‘음식에 담긴 어머니를 향한 정성’ (4) ‘어머니를 기리는 지인들의 정성과 감사’ (5) ‘어머니가 떠나가시는 길’ (6) ‘어머니의 안식과 교훈을 기리는 마음’으로 구성하였다. 결말부는 ‘장명등으로 이어지는 어머니와의 만남’으로 끝맺음이 되도록 하였다. 둘째, 전시의 공간적 측면에 있어서는 전시 시나리오를 담을 수 있는 동선의 평면도를 제시하고 각 전시 내용에 따라 평면 연출, 입체 연출, 재현 연출, 영상 연출, 체험 연출의 요소들을 포함시켰다. 관람객들은 동선에 따라 전시실 입구의 도입부를 지나 6개의 세부영역으로 구성된 전시부에서 「무오읍혈록」의 스토리텔링을 경험하게 되고 마지막 결말부에서 전시 내용과 자신의 삶을 연결시켜 보도록 기획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차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도 연구 : 대구시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최배영(Bae-Young Choi),장칠선(Chil-Sun Jang) 한국차학회 2008 한국차학회지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niversity student's concerns on tea culture education. The study tried to present basic materials for the facilitation of tea culture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ultimate purpose of tea culture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s to help students to purify their sentiments, impro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cultivate their characters, and behave appropriately through teaching tea culture and its etiquettes. That is, tea culture education helps students to create and maintain good relationship with people nearby. In addition, tea culture education also aimed at inheriting and developing traditional tea culture that makes harmony with modern culture. 2. Tea culture educational contents concerned by university students constituted the following 16 items, which were put in order of the students' preference for what they wanted to learn as to tea culture: tea serving, tea drinking, the method of selecting good quality tea, the method of brewing various kinds of tea, making tea snacks, ingredient and benefits of tea, Oriental tea, distinguishing various kinds of tea, manufacturing tea from tea leaves, Western tea, tea substitutes, tea utensils, the history of tea, spirits reflected in tea, exploring tea cultural site, and demonstration of appropriate tea drinking manner. This should be considered when composing tea educational contents. 3. University students concerned that tea culture education include both explanations of theories and practices using adequate tea utensils based on tea culture education experts' useful educational contents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ea culture. In addition, many of the students also demanded that tea culture education related medium be provided.

      • KCI등재

        『조선요리법』복간서(復刊書)의 다식(茶食) 고찰

        최배영(Choi,Bae-young) 국제차문화학회 2020 차문화ㆍ산업학 Vol.49 No.-

        본 논문은 2014년에 복간된 『조선요리법』을 중심으로 1930년대에서 1950년대에 이르는 시기의 다식 관련 내용을 고찰하고 그에 내재된 문화적 의의를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이 문헌의 부록에는 7가지 다식의 재료와 만드는 법이 내용으로 담겨 있었다. 즉 계절에 따라 다식의 주재료를 가루로 만들어 관리하는 방법, 다식에 색과 향을 내는 방법, 다식 반죽에 꿀·조청·설탕 등을 배합하는 방법 등의 노하우가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다식의 조리 상태 변화를 생생하게 전달하는 어휘 표현으로 조리법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빠른 이해를 도모하였다. 나아가 다식은 일상의 손님상, 명절상, 돌·생일·생신·혼인날의 점심상, 어른의 원행(遠行) 혹은 친척과 친구 선물을 위한 찬합의 반과(후식이나 간식) 그리고 환갑잔치와 같은 큰상의 음식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양상이 나타나 있었다. 이상과 같이 기록된 『조선요리법』의 다식은 고유한 음식문화로서의 보전과 다음 세대로의 전수 그리고 전통의 뿌리 위에서 시대에 맞게 재창조되어야 할 가치를 반영하였다. This thesis reviewed the contents of dasik from the 1930s to the 1950s in 『Joseonyolibeob』reissued in 201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ltural significance inherent in the contents of dasik recorded in the literature.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appendix included seven dasik ingredients and how to make them. Second, know-how was suggested such as how to make and manage dasik s main ingredients into powder, how to make color and flavor in dasik, and how to mix dasik s dough. Third, the vocabulary that vividly conveys the changes in the cooking status of dasik helped to understand the recipe more accurately and quickly. Fourth, the use of dasik varied from daily guest hospitality, holidays, birthdays. weddings, stackable side-dish boxes for long trips or gifts for relatives and friends. In conclusion, the contents of dasik recorded in 『Joseonyolibeob』were based on the patriotic spirit of maintaining our food cul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in the social turmoil after liberation. In addition, the motivation for writing included the desire to help discover and resurrect dasik as our culture by transferring knowledge and experience to future generations. Furthermore, this literature was of value as an educational cultural heritage that taught that dasik could be recreated on the roots of tra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