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한윤이 동화의 폭력성 연구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15 한국지역문학연구 Vol.4 No.1

        이 논문은 한윤이의 동화에 나타난 폭력의 동화적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그녀는 기존 동화작가들이 삼가던 폭력과 끌어들여서 기성세대의 위선을 고발하는 심미적 장치로 배치하고 있다. 폭력은 동화 속에서 서사의 진행을 방해하거나 지연시키고, 인물을 괴롭혀서 주제의식이 도드라지도록 도와준다. 이처럼 그녀의 능란한 기교에 힘입어 사방에 편재하는 폭력의 구체적 양상이 폭로된다. 이 점만 보더라도 그녀의 작품들이 거둔 성과는 남다르다. 특히 「말집 이야기」는 그녀의 빼어난 문재를 남김없이 보여준 가작이다. 한윤이가 폭력에 관심을 쏟은 동기는 고향의 평화로움에 대한 향수에서 기인한다. 그녀가 진정으로 형상화하고 싶어 했던 공간은 유년기 추억을 훼손하는 폭력성이 사라진 세계이다. 이 점은 그녀의 작품에서 폭력이 벌어지는 장소가 시골이란 점과도 밀접하게 상관된다. 그녀는 동화라는 공간에서 자신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심리적 평화를 얻는다. 동화는 그녀에게 행복했던 고향의 정서를 회억시켜주는 장르인 셈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iolence found in Han Yun-i’s children’s storie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stories. She employed violence which had been hardly chosen by children’s story writers before and arranged it as an aesthetic device to report the older generation’s hypocrisy. Violence either interferes with or delays the development of a narration in a children’s story and helps reveal the theme by harassing the character. Empowered by her dexterous technique, the concrete aspects of violence prevalent all around get to be revealed. Only with this point, we can see that the result her works have produced is noteworthy. Especially, 「The Maljip Story」 is a masterpiece that shows her exquisite style of writing. Han Yun-i having interest in violence is attributed to her nostalgia about the peace in hometown. The space that she really wanted to embody was the world where violence that deteriorates her childhood memory has disappeared. This poin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fact that the place where violence is unfolded in her work is a country. She finds psychological peace looking back on her childhood memory at the space of children’s stories. To her, children’s stories are a genre that allows her to recall the sentiment of hometown that made her happy.

      • 문원태의 삶과 비평 세계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19 한국지역문학연구 Vol.8 No.2

        문원태는 문종구의 아들이다. 부자는 옥구의 대지주로, 이대에 걸쳐 반민족행위자로 살았다. 아버지는 중추원 참의를 지낸 골수 친일분자이고, 아들은 아버지를 이어 전라북도의원 등을 지낸 독실한 친일인사이다. 둘은 창씨개명한 바로 나란히 조선총독부 기관지에 신문광고를 할 정도로 친일적이었다. 그들은 풍족한 경제적 토대를 발판으로 직위와 인맥마저 세습하면서 전라북도의 대표적인 친일가문으로 행세하였다. 문원태는 1920년대의 방향전환기에 비평가로 등장하였다. 그는 카프의 대표 논객으로 부상한 박영희를 일방적으로 추종하면서 평론을 시작했다. 그러다 보니 그의 논리는 참신하다기보다는 박영희의 방향전환론의 동조자에 불과했다. 더욱이 그는 유일한 저서마저 일본어로 간행할 만치 집안의 재산을 지키고 늘리는데 골몰하던 차라서 논쟁을 제압할만한 새로운 논리를 개발하는 일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이것이 그의 비평의 한계이고, 비평 활동을 그만 둔 속사정이다. 그러나 문원태가 단기간이나마 비평 활동에 참가한 것은 간과할 게 아니다. 그는 일본에서의 유학 체험을 바탕으로 비평 대열에 합류하였다. 그의 평문에 빈출하는 논자들을 보노라면, 대학을 다니는 동안에 학습한 바가 들어 있다. 그는 체일 중에 받은 사상적 영향에 힘입어 비평행위에 종사함으로써, 식민지의 근대문예비평을 풍부하게 만들었다 또 그는 방향전환기에 활약한 특성을 살려 서울에 비하여 열악했던 전북 지역의 평단에 마르크스비평을 전개하여 식민지 문단을 장악한 주류 담론의 실체를 선보였다. Mun Won-tae was son of Mun Jong-gu. These father and son were major landlords of Oggu and lived lives of anti-nationalists through the two generations. The father served the position of Jungchuwon Chamui(Officer of the Governor-General’s Secretariat) and was extreme pro-Japanese and the son was genuine pro-Japanese who served as a representative of Jeollabuk-do after his father. They were so Japan-friendly that they changed their names to Japanese names and placed newspaper advertisement on the government-run newspaper of the Office of Chosun Governor-General. Based on their rich economic foundation, they had the succession of government positions and personal ties to act as a representative pro-Japanese of Jeollabuk-do. Mun Won-tae emerged as a critic in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1920s. He began to follow Park Young-hee who emerged as a representative commentator of the KAPF. While doing so, his theory was not really a refreshing one but only a sympathizer of Park Young-hee's re-organization theory. Furthermore, since he was totally focused on keeping and expanding the assets of his family as much as publishing his only publication in Japanese language that it would not be an important endeavor for him to develop any theory to subdue the dispute at all. This was the genuine reason for him to stop working as a critic.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Mun Won-tae actually participated in the critique activities even for a short-period of time. He emerged onto the critique circle based on his experience in studying in Japan. Looking into the matters to review as was carried out on his writing for critique, there are matters learned while he was in university. Due to the ideological influence gained while he was staying in Japan, he was engaged in the critique activities in a way of enriching the modern literature critique of the colonial era Also, he demonstrated the actual body of mainstream discourse that controlled the literature circle during the colonial period by deploying the Marx critiques in the Jeonbuk area that was interior to that of Seoul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 engagement in the re-orientation period.

      • 김태수의 삶과 비평 세계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20 한국지역문학연구 Vol.9 No.1

        김태수는 부안 출신의 운동가-작가이다. 그는 16세에 상경했다가 기미독립만세운동을 목도하고 충격에 빠졌다. 1924년 희곡작가로 입신한 그는 소설작품까지 발표하며 문단의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그는 낙향한 뒤로 사회운동가로 변신하였다가 구속된 뒤, 일경과 타협하고 운동과 문학을 그만두었다. 그 대신에 그는 운수업을 비롯한 여러 부문에서 사업을 벌여 재산을 모았다. 김태수의 평론은 2편에 불과하다. 모두 소위 방향전환기에 발표되었다. 그의 평론은 예술주의 시론을 전개한 유엽에게 집중되었다. 김태수의 비판은 일본에서 불문학을 학습한 유엽에게 역부족이었다. 김태수의 평문은 상당 부분이 공산주의 서적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채워졌고, 계급주의 평론가들처럼 정치적 주장을 전개하느라 논지에서 벗어났다. 그럴지라도 그의 평문들은 계급주의 비평의 전개 양상을 파악하여 전북 지역의 문예비평사를 서술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시골 출신의 한 청년이 자생적 공산주의자가 되었다가 일제의 정책에 포섭되는 과정을 실체적으로 입증해주기도 한다는 점에서 사상사적으로도 눈여겨 볼만하다. Kim Tae-su is an activist-writer from Buan. He came up to Seoul at the age of 16 and was shocked after witnessing the Gimi Independence Movement. After establishing himself as a playwright in 1924, he presented works of fiction and received favorable reviews in literary circles. However, after rustication, he became a social activist, was imprisoned, and after compromising with Japanese police, he no longer continued participating in movements or literature. Instead, he accumulated wealth by starting businesses in several fields such as the transportation business. Kim Tae-su only wrote 2 reviews. Both were presented during times of transition. His reviews were focused on Yoo-yeob who developed essays on artistic principles. The reviews of Kim were inadequate compared to Yoo who learned French literature in Japan. Much of the texts of Kim Tae-su are filled with contents extracted from communism publications and they stray from important points as they try to develop political opinions like those of Socialistic critics. Even so, his texts look into the development aspects of Socialistic criticism and provide aid to describing literary criticism in the Jeonbuk area. Also, it is worth noting ideologically that this actually provides proof of the process in which a young man from the countryside becomes a natural Communist and then is won over to Japanese policies.

      • 군산의 문예부흥기를 이끈 ‘토요’ 동인회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21 한국지역문학연구 Vol.10 No.1

        이 논문은 해방 후 군산의 문예부흥기를 일군 ‘토요’ 동인회의 활동을 자세히 살피고자 기획되었다. 해방 후 군산에는 군산문화협회가 조직되었으나 금세 사라졌다. 1948년 전주사범학교 출신을 중심으로 군산문학회가 발족되었다. 그들은 1946년 동인지를 만든 경력을 바탕으로 󰡔군산민보󰡕라는 매체를 확보하고 작품합평회를 열면서 문학적 소양을 단련하였다. 그러나 동인회는 남북전쟁으로 말미암아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1953년 6월 한국 굴지의 고무신회사 사장의 부인으로, 1951년의 공동시집과 1952년의 단독시집을 낸 정윤봉은 문학단체의 출범에 매달렸다. 그녀는 동인들을 규합하여 1953년 6월 ‘토요’를 만들었다. ‘토요’는 해방과 전쟁으로 이어지는 혼란스러운 정국에서 예술혼을 불태우며 군산에 문예부흥운동을 일으켰다. ‘토요’의 행로가 값진 이유는 군산 지역의 문학은 물론이고, 미술과 무용 부문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 있다. 동인들은 다방을 중심으로 모여서 작품을 게시하고 시화전을 개최하여 전쟁으로 지친 시민들의 영혼을 위로했다. ‘토요’에서 주최한 시화전에는 군산, 전주, 광주, 서울 등지의 시인들이 출품하여 이름을 빛내주었다. 시화전은 군산 외의 지역을 순회하기도 했다. 또 ‘토요’는 시외의 저명 작가를 초빙하여 문학강연회를 열어서 문예부흥에 앞장섰다. ‘토요’는 군산문학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창립 동인은 정윤봉을 비롯하여 송기원, 육구영, 김영협, 강중희, 김순근, 고은 등이다. 소수로 출발한 동인회는 정윤봉의 적극적인 후원, 신석정의 지도, 지역 예술인과 동호인들이 합류로 군산을 대표하는 문학단체가 되었다. ‘토요’는 1960년에 시작된 ‘토문’동인회로 계승되었다. 이 논문의 논의는 ‘토요’에 한정하고 ‘토문’의 활동에 관해서는 후속 연구로 미루었다. This thesis is planned to examine the activities of the ‘Toyo’ Society which led the literary renaissance in Gunsan after the emancipation precisely. The Gunsan Culture Association was organized in Gunsan after the emancipation but soon dissolved. In 1948, the Gunsan Literature Society was launched manly with graduates from Jeonju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their career of publishing literary coterie magazine in 1946, they secured media called ‘Gunsan Minbo’ and held meetings for a joint review on works to cultivate their literary refinement. The society, however, vanished behind the cloud due to the Korean War. Jeong Yun-bong, a wife of an owner of one of the prominent rubber shoe companies in Korea, who issued a collection of poems jointly in 1951 and another solely in 1952 strived to launch a literary group in June, 1953. Collecting members, she formed ‘Toyo’ in June, 1953. In the chaotic circumstances leading from the emancipation to the war, ‘Toyo’ aroused the literary renaissance in Gunsan burning their soul of art. The significance of the path that ‘Toyo’ walked through was in that it influenced not only literature but art and dance as well in Gunsan considerably. Gathering in the teahouse mostly, the members put up their works and held the exhibitions of illustrated poems to console the spirits of citizens exhausted from the war. To the exhibitions of illustrated poems held by ‘Toyo’, poets from Gunsan, Jeonju, Gwangju, or Seoul, too, submitted their works and brightened up the name. The exhibitions of illustrated poems were on the road of other areas than Gunsan, too. In addition, ‘Toyo’ invited well-known writers from other regions and held the lectures of literature to take lead in the literary renaissance. ‘Toyo’ led the prime of Gunsan literature. The members of foundation include Jeong Yun-bong and also Song Gi-won, Yuk Gu-yeong, Kim Yeong-hyeop, Gang Jung-hui, Kim Sun-geun, and Go Eun, and so on. The society started with a few but became a literary group representing Gunsan with the positive support of Jeong Yun-bong, leadership of Sin Seok-jeong, and also joining of local artists and literary persons. ‘Toyo’ was succeeded to the ‘Tomun’ Society that began in 1960. This study deals with ‘Toyo’ only so that follow-up research will discuss the activities of ‘Tomun’.

      • 한국 장소시학의 논리-박태일의 지역문학론 연구 (1)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21 한국지역문학연구 Vol.10 No.2

        The Logic of Korean Poetics of Places -Pak Tae-il’s Research on the Theory of Local Literature (1) Choi, Myoung-pyo This study began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logic of poetics of places Pak Tae-il insists to position it in the range of Korean poetics of places and understanding its association with research on local literature. His poetics of places originated from his experience of places and is equipped with both theory and substance. First, Pak Tae-il stressed locality and local features. The two originated from placeness and are the drive that constructs the poet’s view of the world and produces poems of places. They prove the records of locals’ cultural value and experience and are open as the space of introspective irony about the loss of a place. Second, Pak Tae-il values coexistence of the regional dialect and placeness. When standard language castrates and standardizes a region’s placeness, the local dialect resists against spatial control that capital pursues to protect placeness and advocates the region’s diversity.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dialect and poems of places is useful in optimizing a place’s locality. Third, Pak Tae-il’s poems of places target the mixture of placeness and historicity. He found the example of a place’s historicity becoming reinforced and deteriorated from Tongyeong, Gyeongnam. Also, with the example of Yongho Farm in Busan, he captured the scene that the history of a place got deleted at the site where the camp for Hansen’s disease patients was demolished. With this, he proves that placeness and historicity are inseparable. Pak Tae-il thinks that poetics of places ultimately pursues the recovery of community spirit and love towards traditional life. His poetics of places was logicalized with his academic passion harmonized with his experience of places and creation of poems of places. 이 논문은 박태일이 주장한 장소시학의 논리를 규명하여 한국 장소시학의 범주에 자리매김하고, 지역문학연구와의 관련상을 파악할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의 장소시학은 장소 체험에서 비롯되어 이론과 실제를 겸비하고 있다. 첫째, 박태일은 지역성과 향토성을 강조하였다. 양자는 장소성에서 유래한 것으로, 시인의 세계관을 구성하고 장소시를 생산하는 원동력이다. 둘은 장소 상실에 대한 성찰적 반어 공간이기도 하다. 둘째, 박태일은 지역어와 장소성의 공생을 중시한다. 지역어는 자본이 추구하는 공간 지배력에 저항하여 장소성을 견수하고 지역의 다양성을 옹호한다. 둘의 공생관계는 장소의 지역성을 최적화하는데 유용하다. 셋째, 박태일의 장소시는 장소성과 역사성의 혼화를 겨냥한다. 그는 경남 통영에서 장소의 역사성이 강화되고 악화되는 보기를 찾았다. 또 그는 부산 용호농장을 예로 삼아서 한센병 환자 수용소가 철거된 현장에서 장소의 역사가 삭제되는 모습을 포착하여 장소성과 역사성이 한몸인 줄 밝혔다. 이와 같이 박태일의 장소시학은 장소사랑에 터한 공동체의식의 회복과 지역성을 강조한다. 그의 장소시학은 학문적 열정과 함께 장소체험, 장소시의 창작 등이 함께 어우러져 논리화되었다.

      • 텍스트 중심 시 담론의 논리―김동근의 시론 연구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22 한국지역문학연구 Vol.11 No.2

        김동근은 전남대학교에서 30여년간 현대시를 가르치다가 정년퇴직하였다. 그는 주로 기호학적 방법론으로 한국 현대시의 담론 양상을 살펴보았다. 1930년대에 활약했던 정지용과 김영랑의 시 담론에 애정을 보인 뒤, 그는 이상, 서정주, 김수영 등의 시세계를 연구하였다. 그의 논문은 하나같이 성실한 시읽기를 토대로 담론의 논리를 푸는데 집중되었다. 최근에 이르러 김동근은 광주와 전남 지역의 시인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그 대상은 손광은, 범대순, 문병란 등이다. 그는 제자들과 함께 지역문학연구를 진행하면서 지역의 시인들이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서 시세계가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힘을 기울였다. 그 덕분에 전남과 광주에 살면서 시를 쓰던 시인들이 늦게나마 연구 영역으로 들어왔다. 김동근은 이 작업을 통해서 자신이 퇴직한 후에도 지역 시인에 관한 조명 작업이 계속되기를 바란 것이다. 그의 당부는 광주와 전남 지역의 시사를 서술하는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이다. 김동근이 남긴 두 권의 저서는 시 연구가 작품의 자세히 읽기로부터 출발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를 입증하고 있다. 그가 전력했던 텍스트 중심의 담론 연구에 관한 학계의 평가가 시작될 시점이다. Kim Dong-geun retired after teaching modern poetry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for 30 years. He used semiotic methodology mainly to examine the aspects of discourse in Korean modern poetry. After showing affection for the poetic discourse of Jeong Ji-yong and Kim Young-rang who actively worked in the 1930’s, he studied the poetic worlds of Lee Sang, Seo Jeong-ju, and Kim Soo-young. His theses were all focused on solving the logic of discourse based on sincere poetry reading. Recently, Kim Dong-geun began to target poets in Gwangju and Jeonnam for his research. The objects are Son Kwang-eun, Beom Dae-soon, and Moon Byeong-ran, etc. While carrying out research on local literature with his students, he has been endeavoring to make researchers pay keener attention to local poets and allow the world of poetry to be widely known. Thanks to him, a late spotlight of research has been shone to the poets who write poems residing in Jeollanam-do or Gwangju. Through this work, Kim Dong-geun hoped that research on local poets would continue even after his retirement. His request will be widely used as material that describes the history of poetry in Gwangju and Jeonnam. Two books Kim Dong-geun wrote prove the reason why research on poetry must start by reading the works closely. It is time for the academic community to begin evaluating research on text-oriented discourse that he has devoted himself to.

      • 박태일의 지역문학 연구 서설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19 한국지역문학연구 Vol.8 No.1

        박태일은 지역문학 연구의 개척자이다. 그는 20여년에 걸쳐 지역문학자료들을 수집하여 분류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계속해 왔다. 그의 연구가 미친 지역은 경남 지역부터 제주도, 전라도, 경북, 북한, 만주까지 넓다. 그는 전국을 돌아다니며 모은 자료들을 꼼꼼하게 분석하여 문학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지역의 자료들이 발굴되고 조명되어야 할 이유를 증명하였다. 박태일은 지역문학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학자적 정체성을 수립하였다. 그는 미개척 상태였던 지역문학연구를 개척하고 그 성과를 여러 권의 연구서, 산문집, 전집 등으로 발간하였다. 그는 지역문학을 연구하는 학회를 창립하고, 지역문학연구를 하나의 방법론으로 입안하여 한국의 지역문학연구가 활성화되도록 이바지한 선구자이다. Park Tae-il is one of the most leading researchers of local literatures. He has collected, classified, and organized local literary materials for over two decades with the extensive research coverage reaching as far as Gyeongnam, Jeju, Jeolla, Gyeongbuk, North Korea, and Manchuria. He has successfully proved why these materials deserve to be discovered and illuminated by meticulously analyzing them and granting literary values to them. The study of local literatures allowed Park Tae-il to build his scholarly identity. He pioneered digging into the relatively untapped field of local literature and compiled his accomplishments in a number of books, including academic book, collection of proses, and complete collection. He also established a research institute dedicated to studying local literatures and contributed to revitalizing studies of local literature in Korea by developing a unique research methodology as to local literature, solidifying his reputation as one of the leading pioneers in studies of local literature.

      • 전북에스페란토운동사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23 한국지역문학연구 Vol.12 No.1

        이 논문은 전북 지역 에스페란토운동을 사적으로 개관하고 운동가들을 조명하고자 기획되었다. 전북 지역 에스페란토운동은 일본 유학생들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그들은 에스페란토를 배우는 동안에 사회주의와 아나키즘을 학습하며 국제 연대를 꿈꾸었다. 에스페란토를 익힌 그들은 고향으로 돌아와서 청년운동가들을 의식화시켰, 운동의 양상은 아래처럼 전개되었다. 첫째, 도내에서는 여러 곳에서 에스페란토 강습회가 열렸다. 전주, 이리, 군산, 정읍에서 열린 강습회에는 그 지역 청년운동의 지도자들이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들은 에스페란토를 지역사회 변혁운동의 수단으로 이용하고자 학습하였다. 그들에 대한 평가가 식민지해방운동의 차원에서 단행되어야 할 이유이다. 둘째, 전북 출신의 백남규는 한국에스페란토운동의 개척자이다. 그는 1920년 출범한 조선에스페란토협회의 창립 간부였다. 그는 에스페란토 강사와 지상강좌의 필자로 활약하면서 식민지에 에스페란토의 씨앗을 뿌린 선구자이다. 그는 자멘호프의 1국 2언어주의에 적극 찬동하고, 주시경의 제자로서 한글운동과 세계어로서의 에스페란토운동을 병행했다. 이런 특면에서 그에 대한 평가는 에스페란토운동과 한글운동의 차원에서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익산 출신의 정사섭은 한국에스페란토문학을 개척한 선지자이다. 그는 1938년 에스페란토 필명 ‘Dan Tirinaro’으로 파리에서 한국 최초의 에스페란토 시집 󰡔La Liberpoeto(자유시인)󰡕을 발행했다. 그의 시집에는 사해동포주의와 만민평등사상이 육화되어 있다. 일찍부터 반일 성향을 표출했던 그는 일본 유학 중에 에스페란토를 접한 뒤로 인류가 더불어 사는 평화한 평등세상을 꿈꾸었다. 그의 시집은 한국에스페란토문학사뿐만 아니라, 한국근대문학사와 전북근대문학사에서 합당하게 기술되어야 한다. 넷째, 군산 출신의 전용승은 에스페란토를 무기로 외국과의 연대 활동을 보여주었다. 그는 스페인 내전의 수행에 필요한 소요자금을 모금하던 중에 피체된 공산주의자이다. 그의 활약상은 에스페란토의 국제 연대와 함께, 일제의 탄압으로 공개 행사를 갖지 못하던 에스페란토운동가의 지하활동을 입증해준다. 이외에도 부안의 김아가 에스페란토에 관심을 갖고 지역 청년들과 학습 기회를 가졌다. 해방 후 전북에스페란토운동은 백남규가 꾸준히 선편을 쥐었으며, 종립 원광대학교에서 원불교의 포교 도구로 에스페란토를 적극 받아들이면서 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다. 백남규, 정사섭, 원불교 등이 만나는 익산이야말로 한국에스페란토운동사에서 길이 기억되어야 할 운동지이기에, 한국에스페란토박물관의 건립과 운동가들을 현양하는 사업을 적극 시행할 만하다. the Esperanto movement, Jeonbuk, reform movement, Baek Nam-gyu, Jeong Sa-seop, Jeon Yong-seung, Choi Seong-myeon, Kim Ah

      • 마명 정우홍의 생애와 문학세계

        최명표 한국지역문학회 2018 한국지역문학연구 Vol.7 No.2

        이 논문은 전북 정읍에서 태어난 정우홍의 생애와 문학세계를 살피고자 기획되었다. 그는 민족해방운동에 복무하며 글쓰기에 나선 혁명가이며 작가였다. 일찍부터 만주에서 독립운동에 가담한 그는 기미독립만세운동 이후에 도일하여 재일 조선인들의 노동운동을 지도하다가, 다시 식민지로 돌아와서는 공산주의 운동에 뛰어들었다. 제1차 공산당 사건에 연루되어 도피했다가 자수한 뒤에 풀려나자, 그는 낙향하여 농촌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해방 후 그는 언론인으로 활약하며 식민지 시기에 ‘강력주의’라는 생활개혁론을 체계화하여 해방기의 건국운동 방안으로 제출하였다. 이 글에서는 그의 전기적 생애를 바로잡고자 상당한 분량을 할애하였다. 지금까지 역사학계에서는 그와 동명의 호를 사용하는 대구 출신의 아나키스트와 혼동한 채 거론하고 있다. 대구에서만 활약하던 그는 대만에 건너가서 요절하였다. 그와 달리 정우홍은 만주, 일본, 식민지 등을 오가며 사상운동과 노동운동에 헌신하였을 뿐더러 해방 후에는 언론인으로 활동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두 사람이 한자 표기, 운동 노선, 출신지, 출생연도, 활동 공간 등, 전 부분에서 다르다는 점을 여러 자료를 통해 입증하였다. 아울러 이 논문에서는 정우홍의 문학적 세계를 전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의 시는 자연친화적 성향을 짙게 나타내며 습작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소설작품들은 수준높은 성과를 거두고 있어서 주목할 만하다. 특히 자신의 체험에 기초한 일본 관동대진재의 후일담 소설은 국내에서 유일한 작품으로, 그의 소설사적 위상이 만만치 않은 줄 증명하고도 남는다. 수필에서 그는 농촌 생활의 일상적 감회를 자연스럽게 서술하고 있다. 그는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면서 다량의 작품을 남겨준 혁명가-작가였다. This study is planned to examine Jeong Woo-hong who was born in Jeongeup of Jeonbuk regarding his lifetime and world of literature. He was a revolutionist and writer who served for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while writing. Joining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from the initial step, he moved to Japan after the Gimi Manse Independence Movement and led Chosun people residing in Japan for the labor movement. He came back to the colony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st movement afterwards. Being involved in the first incident of the Communist Party, he fled and then turned himself into the police and became released. Returning to his hometown, he developed the farmers’ enlightenment movement. After the emancipation, working actively as a journalist, he systematized life reformation theory, so-called ‘Gangryeokjuui’, in the colonial era and submitted it as a plan of foundation movement in the period of emancipation. In this writing, quite a lot of pages are used to set his biographical lifetime right. Up until now, in the circles of historical studies, he has been discussed in confusion with an anarchist from Daegu using the same ‘ho’ as his. He who had been involved in activities only in Daegu died young in Taiwan. Unlike him, Jeong Woo-hong came and went between Manchuria, Japan, and the colony to devote himself to the ideological movement as well as labor movement, and after the emancipation, he worked as a journalist, too. This thesis has proven that the two were totally different persons with various materials in terms of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their paths for the movements, hometowns, dates of birth, and places for the activities.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Jeong Woo-hong’s literary world in general. His poems are very nature-friendly and remain in the level of study. But his novel works are noteworthy as they have achieved high quality. Particularly, his novel dealing with the reminiscences of the Great Kant Earthquake in Japan grounded on his own experiences is one and only work in Korea and is superb enough to tell us his high status in the history of novels. In his essay, he describes the ordinary sentiments of rural life naturally. He was a revolutionist and writer who left a lot of works regardless of gen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