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십구재의 시식문 활용에 대한 고찰

        최명철(Choi Myungcheol) 무형유산학회 2019 무형유산학 Vol.4 No.1

        사십구재의 시식문은 전시식, 관음시식, 상용영반이 활용된다. 최초 간행의 전시식은 13세기 경 몽산덕이의 『증수선교시식의문』이고, 관음시식은 1574년 석왕사 간행의 『권공제반문』에서 확인된다. 특히 『권공제반문』에 전시식과 관음시식이 병기된 것은 시식문의 활용에 광략이 필요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전시식은 대령과 상합하여 영가천도를 위하고, 절차가 완벽한 관음시식은 제사와 같이 영가권반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상용영반은 1827년 백파긍선이 『작법구감』에서 간단한 권반절차로 수록하여 시식문의 ‘대․중․소’ 개념이 확립되었다. 이 시식문의 활용은 영남과 경기지역의 의례전승에 따라 활용이 다르게 나타난다. 영남의 간행의례문은 전시식이 수록되고 관음시식은 부록으로, 혹 수록하지 않은 의례문도 있지만 경기의 간행의례문은 관음시식만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또 영남지역에서는 천도의식은 전시식을, 제사의식은 관음시식을, 무주고혼을 위해서는 화엄시식을, 1재에서 6재까지와 7재의 재전의식을 마무리 할 때 상용영반을 활용한다. 이는 영가를 대상으로 한 목적에 따라 시식문의 활용을 결정한 것이다. 경기지역에서는 영가의 대상이 분명한 천도, 제사에는 관음시식을, 혹 시간이 촉박하면 상용영반을, 무주고혼을 위해서 전시식을, 혹 시간이 촉박하면 화엄시식을 활용한다. 이와 같은 시식문의 활용은 시간의 촉박을 견기이작으로 합리화할 것이 아니라 영가를 위한 의식의 목적에 따라 선택해야 할 것이다. Sisikmun of the Sasipgujae (a praying ritual for 49 days of memorial for the deceased’s soul) facilitates Jeonsisik, Gwaneum Sisik and Sangyongyoungban (briefly made ceremony). Jeonsisik in the initial publication is 『Jeungsuseong yosisikoimun』 of Mongsandeoki in the 3th century and Gwaneum Sisik is confirmed in 『Gwongongjebanmun』, published by Seokwang-sa in 1574.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that Jeonsisik and Gwaneum Sisik were written together on 『Gwongongjebanmun』 as there is a need for Gwangryok for facilitating for Sisikmun. Jeonsisik is well matched with Daeryong for the universal principle of ancestral soul and Gwaneum Sisik that has perfect procedure is for the Younggagwonban, such as memorial ceremony for ancestors. Also, Sangyongyoungban was recorded in simple Gwonban procedure by Baekpageumseon in 『Jakbeopgugang』 in 1827 in a way of establishing the ‘Large-Medium-Small’ concept of Sisikmun. The facilitation of this Sisikmun is displayed differently for its use depending on the ritual succession of the Yeungnam and Gyeonggi regions. The published ritual statement of Yeungnam records Jeonsisik with Gwaneum Sisik as appendix, or there is certain unlisted ritual statement but published ritual statement of Gyeonggi is known to record only Gwaneum Sisik. Also, in the Yeungnam region, ceremony of universal principle facilitates Jeonsisik as the memorial service ritual, and it facilitates Hwaeom Sisik (Hwaeom Food Offering) for Mujugohon (a forlorn wandering spirit that has no posterity to perform the memorial service) of 1 Jae (upavasatha) through 6 Jae (upavasatha), and Sangyongyoungban when finishing up the harvest ceremony of 7 Jae (upavasatha). This is determined for facilitating Sisikmun depending on the purpose with the subject of ancestral soul. in the Gyeonggi region, the ritual ceremony for universal principle that has clear subject of ancestral soul facilitates the Gwaneum Sisik, or if the time is pressed, it facilitates Sangyongyoungban, and it facilitates Jeonsisik for Mujugohon, and if there is shortage of time, it facilitates Hwaeom Sisik. Such facilitation of Sisikmun should be opt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ceremony for ancestral soup, not to rationalize the time pressure as the Gyeongiejik (see the signs to take appropriate 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