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료 공동구매로 생산비 절감한다

        최명구,Choe, Myeong-Gu 대한양계협회 2006 월간 양계 Vol.38 No.4

        본고는 지난 1977년 발족되어 30여년 동안 수원을 중심으로 채란업을 발전시켜온 수원산란계지부(지부장 최명구)를 찾아 활동 현황과 향후 지부 운영에 대해서 들어보았다.

      • KCI등재

        독일의 토지채무와 공시 그리고 그 시사점

        최명구 한국재산법학회 2019 재산법연구 Vol.35 No.4

        In Germany, the land-mortgage system can be divided in a general mortgage and a land mortgage(Grundschuld) which is used more than a general mortgage. This phenomenon can be found local-social situation an historical background. This land mortgage has been progressed on base of expanding housing supply and overcome of economic slump after world war I and II. At the time, when BGB was regulated, this arose the controversy on whether the land mortgage is inserted in BGB or not. But finally these mortgages were regulated in BGB. The general mortgage(hypothec) depends legally on the bond which exists between a creditor and a debtor. However the land mortgage don't depend legally on this bond. This point is very different between these mortgages, but regulations on general mortgage shall apply land mortgage excepting otherwise expressly provided in BGB. Also the land mortgage is clearly a kind of mortgage. The land mortgage is established two conditions, agreement(security contract) and registration. Otherwise in case of land mortgage securities shall issue after this registration. In other way 'owner land mortgage(소유자토지채무)' which the land owner become a creditor about his land, exists in mortgage systems in Germany. This land mortgage in Germany suggest some points our mortgage systems, especially the right to collateral security. 독일의 토지채무는 저당권과 함께 부동산담보제도이며, 오늘날 저당권보다 토지채무가 신용담보를 위해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 지역적 사회상황과 역사적 배경에 서 찾을 수 있고, 두 번의 세계대전 후 경제적 불황의 극복과 경제개발에 따른 주택보급의 확대 등에 따라 민간금융시장에서 공공금융시장까지 이르게 되었다. 아울러 토지채무제도는 독일민법 제정과정 중 입법에 대한 논란은 있었으나, 종국적으로 저당권과 토지채무제도가 독일 민법에 규정됨으로써 오늘날 중요 부동산담보제도가 되었다. 그리고 법적으로 저당권이 피담보채권에 따른 부종성이 인정되는 반면, 토지채무는 인정되지 않음으로써 상호 법적 성질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토지채무에 규정하고 있지 않은 내용은 저당권 규정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어서, 토지채무는 저당권의 또 다른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토지채무의 성립은 당사자 사이의 합의(담보계약)와 등기로 이루어지며, 더불어서 증권을 교부하는 제도인 증권토지채무와 소유자 자신이 채권자로서 토지채무를 설정하는 소유자토지채무 등도 토지채무제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토지채무제도는 우리나라의 부동산담보제도 중 부종성이 완화되어 있는 근저당권제도에 몇 가지 사시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

        자동기어변속장치를 장착한 자동차급발진과 제조물책임― 대법원 2004.3.12 선고 2003다16771판결에 대한 평석 ―

        최명구 한국민사법학회 2005 民事法學 Vol.28 No.-

        Wenn das Automobil f hrt pl tzlich ab, der Fehler des Automibils kann in allgemeinen zweifelhaft sein. In diesem Fall, der ist am ersten im h chsten Gericht, der Produkter hat keine Produkthaftung wegen keinem Fehler. Aber auf erstes Gericht der Produkter hat die Produkthaftung zum klienen Teil. Nach das 3 Abs. 1 koreanische ProdHaftungG enie Haftung, deren Schutzzweck nicht die Gebrauchstauglichkeit des Produkts seblst, sondern andere Sachen sowie Leib und Leben des Benutzers oder dritter Personen ist, kann nur auc die mangelnde Produktsicherhiet gegr ndet werden. Nach das 2 Abs. 2 koreanische ProdHaftungG es geht drei Fehlerdefinitions, n mlich Fablikationsfehler, Konstrucktionsfehler und Instruktionsfehler. Bei Fablikationsfehlern, bei denen das den Schaden ausl sende Produkt von den vom Hersteller seblst gesetzten Standards, also technischen Konstruktions- und Qualit tsvorgaben, abweicht. Bei Konstruktionsfehlern ist die Sicherheitserwartung gelegentlich schwieger zu beurteilen. Sie geht im allgemienen dahin, dass das Produkt so konzipiert ist, dass es unter Beachtung der Gebrachsanleitung bei einem bestimmungsgem en Gebrach geh hrlos benutzt werden kann. Instruktionsfehler haben nur Benutzung im Zusammenhang mit der Darbietung des Produkts. Produktbeobachtung, und zwar vornemlich der Beobachtung von Konkurrenzprodukten, kommt allerdings sofern Bedeutung zu, als die Beantwortung der Frage, was berechtigterweise an Sicherheit erwartet werden kann, zum Teil davon abh ngt, wie die Mitbewerber ihre Produkte ausstatten.

      • KCI등재

        취득시효의 존재이유와 소유의 의사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최명구 한국토지법학회 2009 土地法學 Vol.25 No.2

        This paper explain the reason for being of the adverse possession and ownership's intent in German law, Japan law, France law and Korea law. This paper's goal also focus on opening the objective consideration of the reason for being of the adverse possession and ownership's intention. In France law, there are several theories about the adverse possession. But the adverse possession system generally is focus on the preservation of social order in France law. Here the problem is how to preserve the social order. The adverse possession is not for the protection of the formal owner, but for real owner with ownership title. The ownership's intent is comprised of la corpus and l'animus. La corpus means the possession condition to get the ownership and l'animus means but the possession intention. The adverse possession in Japan law got a great effect through the adverse possession in France law. The reason for being of the adverse possession is found on the preservation of the public interest and the lost of the ownership because of doing nothing as the owner for a long time. In Japan law, the ownership's intention refers to the real exercising of the exclusive possession like owner; it is called "hostile possession". In German law, the adverse possession is based on transaction safety, legal stability, reducing social-economic expenditure and unifying registration and current right. Anyway, ownership's intention(Eigentumswille) means hostile possession. Unfortunately, the presumptive article about the hostile possession is not found in German civil act(BGB). In Korea are there several academic opinions on the reason for being of the adverse possession. But Korea supreme court has a opinion which the adverse possession is based on the legal stability. Two deferent opinions(subjective and objective) about the ownership's intention exist in Korea.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Korea supreme court, the ownership's intention is defined objectively and externally by considering all situations related with the character of the possession' title or the possession. Also the reason for being and the goal of the adverse possession should be focus on the protection of real owner and the adverse possession also has to correspond with the legal stability. Because of this, the decision of the Korea supreme court on the ownership's intention need to be considered. Finally,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n above stated contents should be exactly catched Korea legal problems and then be considered the adverse possession system under the change system about the real right in Korea. 본 논문은 독일법, 일본법, 프랑스법 그리고 우리법에서의 취득시효의 존재이유와 소유의 의사에 대한 이론에 관하여 검토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법에서 취득시효의 존재이유와 소유의 의사에 대한 객관적으로 검토할 기회를 마련하는 데 있다. 프랑스법에서는 취득시효에 대하여 많은 이론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취득시효제도는 사회질서의 유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무엇이 사회질서의 유지인가가 문제이다. 취득시효는 형식적 소유자를 보호하려는 것이 아닌, 소유권원을 가진 진정한 점유자를 보호하는 것이 사회질서에 부합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취득시효제도의 목적은 점유 자체를 보호하려는 것이 아니라 점유를 통하여 소유권을 보호하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소유의 의사의 성립요건으로 체소와 심소를 이루어져 있다. 체소는 소유권을 취득하기 위한 지배상태를 지칭하고, 심소는 점유의 의사를 가리킨다. 일본법에서의 취득시효제도는 프랑스법의 취득시효제도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일본법에서는 취득시효의 존재이유를 공익의 유지 및 장기간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자를 보호할 필요가 없다는 데 있다. 소유의 의사에 관하여 구일본민법은 프랑스민법의 절대적 영향속에 규정되었다. 소유의사는 소유자와 같이 배타적 지배를 사실상 행사하는 의사인 자주점유(hostile possession)를 지칭한다. 독일법에서 취득시효의 존재이유는 거래안전과 법적 안정성, 사회경제적 비용절감, 등기와 현실의 권리상태의 일치 등을 거론할 수 있다. 소유의사(Eigentumswille)는 자주점유를 지칭하는 것으로 자주점유의 추정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법에서 취득시효의 존재이유에 관하여 학설은 다양하지만, 판례는 법질서의 안정에 두고 있다. 소유의 의사에 관하여 주관설과 객관설로 견해가 나뉜다. 판례에 따르면, 소유의 의사는 권원의 성질이나 점유와 관계있는 모든 사정에 의하여 외형적․객관적으로 결정된다. 생각건대 취득시효의 존재이유와 목적을 “진정한 소유자의 보호”에 두고, 취득시효는 법적 안정성에 부합되어야 할 것이다. 소유의 의사에 대한 판례의 견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비교법적 고찰을 통하여 우리법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물권변동의 제도 속에서 취득시효제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 KCI등재

        채권양도와 개인정보보호

        최명구 한국민사법학회 2008 民事法學 Vol.40 No.-

        Information of claim and obligor is assigned from assignor to assignee by the contract for the assignment of claim. Under Korea Civil Act assignability nature of claim, requisite for Setting up Assignment of nominative claim against obligor, effect of consent or notice and notice of assignment and estoppel are ordained, and by article 67 of civil execution act, it is also ordained to submit the property catalog clarifying the properties subject. Other statutes related to claim assignment includes company of securitization of rental housing act and asset-backed securitization act. However, these ordainments doesn't cove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t's only regulated to acquire agreement from users when accessing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 statutes as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act and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Thus, there is no concrete ordainment in these statutes as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obligor in claim assignment. And for this reason, problem occurs as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obligor in claim assignment. Meanwhile, thre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s is recently submitted to National Assembly, but still being not able to pass the National Assembly. These act concretely does regulat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ut not doing so in consideration of claim assignment. Due to this deficiency of related regulations, personal information in claim assignment turned up as a big problem. Since it's general to contain obligors' privacy in information of obligors provided to assignees under claim assignment contract, obligors' privacy protection is important. How would the obligor's privacy be protected? In connection with this question, obligor would be protected with establishment of behavioral criterion of assginors in claim circulation market, contrivance of a step-by-step system in providing information of obligors, managing, obligee's separate management of obligor's information, expansion of range requiring obligor's agreement. This thesis is comprises of property and contents of claim assignment, contents of statutes related to claim assignment and personal informatoin, major point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 order.

      • KCI등재
      • KCI등재

        구동독지역의 미해결재산문제에 관한 유럽인권법원의 판결과 우리법의 시사점 - von Maltzan 사건과 Jhan 사건을 중심으로 -

        최명구 한국토지법학회 2008 土地法學 Vol.24 No.2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wo decisions of ECHR on the unsolved property in the GDR before the Germany Reunification. One decision is about the case von Maltzan and others, by whom is represented the application in ECHR. The other decision about the case of Jahn and others, by whom is represented the application in ECHR. These applications were one of the major issues to arise after reunification of Germany: compensation for those whose property was expropriated either between 1945 and 1949 in the Soviet Occupied Zone of Germany following the land reform or after 1949 in the GDR. The reason of the applications in ECHR can be found on refusing to certain the appeal on the Federal Administrative Court and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The applicants have appealed the ECHR to preform the own property right through the judgement of EHCR. However, the applications was failed to recover and to perform the property right. The ECHR presented that the decisions of the Federal Administrative Court and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don't have the violation of German legal point. Of course, the Germany government made the act concerning preventing the lost property owner in Soviet Occupied Zone of Germany and compensating to those owner by the amendment of the Property Act. But the applicants had no fully compensation and didn't satisfy the public action of the relevant public office and the concerned contents of the legislature. ECHR was interested in legal violation or not and in public interest or not. The decisions of two different Germany Courts was unviolated in legal point and was corresponding with the pubic interest. Finally, this paper is connected with that those decisions are implicated in Korea unification in the future. After Korea unification, the legality and the public interest should be considered to resolve those issues. 이 논문은 독일 통일 이전 구동독지역의 미해결재산에 관한 유럽인권법원의 두 개의 판결에 관한 것이다. 하나는 von Maltzan 사건이고 다른 하나는 Jahn 사건이다. 이 소송은 통독 후 가장 중요한 문제 중에 하나이다. 1945년부터 1949년 사이의 구동독지역 구소련군점령하에 토지개혁에 의한 재산몰수와 1949년 이후 통독이전까지 이어진 토지에 대한 보상과 관련한 문제이다. 유럽인권법원에서 소제기는 소제기자들의 독일연방법원과 독일행정법원의 소송에서 패소되었기 때문이다. 소제기자들은 유럽인권법원을 통하여 자신의 재산권을 행사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그 소송에서 패소하여 권리를 실현할 수 없게 되었다. 유럽인권법원은 독일연방법원과 독일행정법원의 판결이 위법하지 않다고 판결하였다. 물론 독일 정부는 구소련점령지역의 토지몰수의 원소유자에 대한 구제와 재산법에 의한 보상을 하였다. 그러나 입법내용과 관련당국의 조치에 대하여 불만족하였다. 위에 유럽인권법원의 판결의 중요내용은 독일의 입법내용이 헌법에 합헌적인가 또는 행정조치가 공익에 부합하는 것인가에 있다. 이 모두를 유럽인권법원은 인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사례가 우리 법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았다. 왜냐하면 우리나라도 통독과 같은 형태로 통일이 되면, 이와 유사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통일 이후 북한지역의 토지의 소유권회복문제와 보상문제에 대하여 독일과 같이 공익과 적법성을 먼저 고려해야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개정된 부동산등기법의 주요사항에 대한 검토

        최명구 한국토지법학회 2012 土地法學 Vol.28 No.1

        Korea real estate registration act was revised completed on 12.04.2011. The study concerns with six controversial points among complete revision of real estate registration act, i.e. the effective day of the registration, partial transfer registration concerning partial transfer of Chonsegwon, substitute registration of joint mortgages, injunction registration, the abolition of notice registration, the abolition the substantial inspection right on aggregate buildings. 1. It can appear an interpretation dispute between Civil Act article 186 "....a real right by a juristic act over an immovable takes effect upon its registration" and Registration of Real Estate Act article 6 (2) "When provisional registration has been filed, the order of priority for the principal". 2. Through the extended revision of partial transfer registration concerning partial transfer of Chonsegwon on Registration of Real Estate Act should the full transfer registration concerning partial transfer of Chonsegwon be regulated. 3. The established rule and guideline need to be made concern the substitute registration of joint mortgages is applied. 4. Whether the injunction registration is accepted or no, this leave to the judge's discretion. Therefor this direction act need to be regulated. 5. The substitution system(registration) of the abolition of notice registration, the injunction registration should be made through the detail inspection of the person in charge registration. 6. The the abolition the substantial inspection right on aggregate buildings is not accord with the protection of people's property rights. This inspection need to be tightened all the more. 2011년 4월 12일 법률 제10580호로 구 부동산등기법이 전면 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위 내용 중 상대적으로 많은 논란이 될 수 있는 부분인 등기의 효력발생시기에 관한 규정 신설, 전세금반환채권의 일부 양도에 따른 전세권 일부이전등기 규정 신설, 공동저당의 대위등기 규정 신설, 가처분등기에 관한 규정 신설, 예고등기의 폐지, 구분건물의 표시에 관한 등기관의 실질적 심사권 폐지 등에 관한 이론과 판례를 중심으로 언급하고자한다. 첫째, 등기효력발생시기에 관하여는 민법 제186조 규정인 법률행위로 인한 물권변동시기인 “등기시”와 부동산등기법 제6조 “등기효력발생시기를 등기접수시”에 관하여 등기효력발생기는 언제인가 문제가 된다. 부동산등기법 제6조의 규정내용은 현재 민법 제186조에 대한 해석과 판례의 내용과 불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부동산등기법 제73조 및 부동산등기예규 제129조에 규정된 전세금반환채권의 일부양도에 따른 전세권 일부이전등기사항을 전부양도에 따른 전세권 전부이전등기로 확대 개정하거나 관련규정을 새로이 둘 필요가 있다. 셋째, 공동저당의 대위에서 대위청구권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적극적 공동저당권 대위등기를 할 수 있도록 등기예규에 대위청구권이 인정되는 경우를 구체화할 필요가 있으며, 등기관이 해당등기 신청시 신청정보를 면밀하게 검토할 수 있도록 내부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가처분등기에 있어서 가처분명령여부와 어떤 가처분명령은 상당부분 법관의 재량에 맡겨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명확한 규정 및 예규가 필요하다. 다섯째, 예고등기 대체인 가처분등기에 있어서는, 처분금지가처분등기를 위반한 행위는 본질적으로 처음부터 효력이 없고, 가처분의 효력이 당사자와 제3자에게도 미치기 때문에 가처분등기말소에 대한 등기관의 심사강화를 위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특히 집합건물에서 등기관의 형식적 심사권보다는 실질적 심사권이 더욱 요구되는 상황에서 등기관의 심사권을 약화(전면적 형식적 심사권)하는 것이 과연 국민의 재산권을 적극적 보호해야 하는 국가적 책무를 다하는 것인지 의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