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김효춘 ( Hyochun Kim ),박희숙 ( Heesook Park ),최동숙 ( Dongsook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4월 18일부터 5월 10일까지 간호대학생 3, 4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앱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및 Multiple Regression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β=.28), 자아탄력성(β=18), 스트레스 대처방식(β=.16)으로 나타났고, 이 중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변수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설명력은 21.8%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 탄력성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많이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appi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18th to May 10th, 2020 using a smartphone app questionnaire for 3rd and 4th grades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In the study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subjects were academic self-efficacy (β=.28), ego-resilience (β= .18), and stress coping style (β=.16). Academic self-efficacy had the greatest effect, and the explanation power for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se variables was 21.8%.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ubjective happin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ethod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promotes academic self-efficacy, self-resilience and can utilize a lot of stress coping method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도 요인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김효춘 ( Hyochun Kim ),박희숙 ( Heesook Park ),최동숙 ( Dongsook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도 요인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지역 간호대학생 3, 4학년 173명으로 구조화된 앱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사회적지지는 회귀계수가 .165에서 .036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지적 유연성이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또한 이러닝 기술환경은 학습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므로(B=.28, p <.001), 사회적지지는 이러닝 기술환경이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제 변수들의 설명력은 23.2%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매개효과인 사회적지지 환경 내에서 학습몰입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대상자의 학습몰입과 관련된 다른 변인들과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research stud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learning immersion factors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3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e K area, in grades 3 and 4,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app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social support showe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decreased from .165 to .036, which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on learning immersion. Also, since the e-Learning technology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B=.28, p <.001),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the e-Learning technology environment on learning immers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3.2%. Therefore,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learning immersion within the social support environment, which is a mediating effect, in order to increase the learning immersion of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a follow-up study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related to the subject’s learning immersion i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