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용 자기조절력 척도의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최단비 ( Choe Dan Bi ),김경성 ( Kim Kyung S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최단비, 김경성(2015)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자기조절력 척도가 성별과 학년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척도인지 검증하고자 한다. 또 잠재평균분석을 통하여 성별과 학년 집단에 따라 잠재평균 차이를 보이는 지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연구대상으로 초등학생 1186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중 남학생은 589명, 여학생은 597 명이었으며, 5학년은 447명, 6학년은 739명이었다. 연구결과, 첫 번째로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을 통해 학년과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용 자기조절력 척도의 구인동등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본 척 도를 성별과 학년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두 번째, 성별에 따른 자기조 절력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네 가지 구성요인인 인지조절, 행동조절, 정서조절, 동기조절 모두에서 성별 간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세 번째, 학년에 따른 자기조절력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6학년 학생들이 5학년 학생보다 인지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의 수준이 더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초등학생용 자기조절력 척도 를 타당화 했다는 점과 척도의 오차를 고려하여 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이로써 본 연구의 자기조절력 척도를 통해 초등학생들이 자신의 자기조 절력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준점으로 삼을 수 있다. 또 교육자는 각 학생들의 자기조절력 수준을 파악하고 맞춤식 자기조절력 프로그램을 개 발하는 데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년 간 자기조절력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점은 학년에 따라 차별화된 자기조절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struct equivalence of the Self-Regulation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Choe, & Kim, 2015) using multi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o compare the latent means according to genders and grades. The subjects were 1186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According to the result, by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struct equivalence according to genders and grades were verified and, therefore, the scale could be used for elementary student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Furthermore, the result of the latent mean analysis by gender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latent means between genders. Also, 6th grad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in Cognitive Regulation, Behavioral Regulation, and Motivational Regulation than 5th grade students. From these results, meaningful suggestions regarding measuring Self-Regul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can be made. First, elementary students can know their exact Self-Regulation level and they can also refer to this for improving Self-Regulation. Moreover, educators can identify each student’s Self-Regulation level and acquire th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a personalized Self-Regulation program. Lastly, the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differing Self-Regulation levels between 5th and 6th grade could be a basis for developing a self-regulation program according to grade.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용 자기조절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최단비 ( Dan Bi Choe ),김경성 ( Kyung Su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 개념과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측정을 위한 척도를 개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기조절력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정의한 자기조절력 개념의 공통성을 파악하고 유사한 용어와의 비교를 통해 자기조절력 정의를 통합·정리하였다.그리고 자기조절력 관련 척도들의 구성요인을 탐색하여 공통된 구성 요인을 추출하고 유사한 구성요인끼리 분류하여 자기조절력의 구성요인을 인지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로 설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문항을 수집·개발하여 전문가 집단의 검토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예비 검사에서는 서울 초등학생 200명의 응답 자료를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하여 46개의 본검사 문항을 만들었다. 본검사에서는 1,051명의 응답 자료를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 구인 타당도 검증, 공인타당도 검증, 내용타당도 재검증을 하여 31개의 최종문항을 확정하였다. 그 결과 본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도(Cronbach α .939)를 확인할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초등학생용 자기조절력 척도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와 발달과업에 따른 자기조절력 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다양한 자기조절력 개념을 통합하고 정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개발하여 기존 척도의 한계점을 극복하였다. 셋째, 정서조절과 동기조절을 분리하고 독립적인 차원으로 지각하면서 자기조절력 구성요인의 새로운 관계구조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 자기조절력의 수치화된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자기조절력 프로그램 개발이나 다른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할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for measuring self-regul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and to obtain evidence of validation for interpreting the scores on the scale.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main components for the self-regulation scale? Second, What is the reliability of a self-regulation scale? Third, What is the validity of a self-regulation scale? The scale for the self-regu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is scale is valid and credible.Self-regulation is difficult to measure in the way that the concept is complex and multifaceted. However a valid and credible scale could be developed by systematic research process. Second, it was developed based on an integrated concept of self-regulation. This study analyzed various self-regulation concepts from each scholar,and then integrated and defined self-regulation by comparison with similar terms.After integrating various concepts from previous studies, this improved scale overcame the previous limitations of other studies. Third, a new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organizational factors was found. It presented four factors by analyzing factors of previous scales, extracting the common factors and classifying them as similar factors.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because it will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regarding the self-regulation of each student and be a guide for future self-regulation improvement. Also, it will b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mprovement. Moreover, it will help to contribute towards exploring and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through further studies of correlation with other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