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의류브랜드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구매의도 요인에 관한 연구

        최낙환,변재성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5 국제경영리뷰 Vol.19 No.3

        본 연구는 중국소비자의 한국의류브랜드에 대한 구매의도 요인을 소비자 자신과 유사한 준거집단의 한국의류브랜드 이용을 자신의 상황과 비교하여 유발되는 상향사회비교조건에서 경험하게 되는 정서인 선의적인 부러움의 관점과 중국소비자들이 한국의류브랜드의 이용에서 얻는 브랜드 고객 가치의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이 연구의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의 한국의류브랜드 사용에 대한 중국소비자들의 부러움과 한국의류브랜드의 이용으로 얻을 수 있는 브랜드 고객가치는 중국소비자들의 한국의류브랜드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한국의류브랜드를 사용하는 동료의 한국의류브랜드 이용 자격과 소비자 자신의 지각된 위험 요소인 자신의 사용제약, 그리고 한국의류브랜드 고객가치는 동료의 한국의류브랜드 사용에 대한 부러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한국의류브랜드의 자아표현성, 그리고 한국의류브랜드의 품질 및 혜택과 가격적절성은 한국의류브랜드의 고객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resent study keeps an eye on preference of Chinese consumers for Korean apparel brand under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and examines the factors related to Chinese consumers’ intent to buy Korean apparel brand as follows. First, envy of Chinese consumers at colleagues' use of Korean apparel brand and customer value to be obtained from the use of Korean apparel brand would exercise positive effects upon the intent of Chinese consumers to buy Korean apparel brand. Second, deservingness of colleagues’ use of Korean apparel brand, constraints perceived by Chinese consumers as risky in their use of Korean brand, and customer value to be obtained from the use of Korean apparel brand turned out to affect positively the envy at colleagues’ use of Korean apparel brand. Third, the customer value of Korean apparel brand could be positively affected by self-expressiveness and price appropriateness of Korean apparel brand in terms of quality and benefits compared to those of other competitors. Therefore marketers should endeavor to communicate colleagues’ deservingness to use Korean apparel brand and to draw well-meant envy of consumers by exciting their attention to constraints in their use of the Korean brand. Furthermore, it is needed to advertise self-expressiveness and price appropriateness of the brand in an attempt to heighten the customer value of it. Besides, it is also imperative to make hard efforts to keep the price at reasonable level by reducing production as well as sales cost to the appropriate level.

      • AHP 접근법에 의한 마케팅 의사결정

        崔洛煥,杜政玩 全北大學校 1997 論文集 Vol.43 No.-

        It makes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more critical that the complexity, importance of marketing decision and the radical change of marketing environment followed by technical innov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 to review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hich could help a marketing manager to come to a rational decision making, to study the analyzing procedure by the software of AHP for personal computer applied to the case of marketing decision which developed for this study. For the purpose, we premised the decision making as a consecutive three process; intelligence, design and choice. Analytic Hierarchy Process should be an useful tool for the third one. From the application of the case of marketing decision to AHP, it revealed that the analytical and systematic approach were essential. Expert Choice, which is a software of AHP for personal computer, compelled the decision maker to analyze the case in terms of at least three hierarchies; goal, objectives and alternatives. In short, AHP enable the decision maker to incorporate all the facts, and to compare of which through addition and subtraction so that he/she could lead to a reasonable decision or re-evaluate it for an advanced decision.

      • KCI등재

        제품디자인에서 지각된 심미성유형과 자아해석유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효과

        최낙환,이대환,임아영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디자인 심미성과 메시지 간의 매칭정도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과, 디자인과 메시지 간의 매칭정도에 자아해석유형의 조절작용을 연구하였다. 향수병을 실증대상으로 선정하고, 심미성 원리를 강조와 조화로, 자아해석을 독립적 자아해석과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으로 구분하여 2(심미성: 강조, 조화)×2(자아해석: 독립적, 상호의존적)로 실험을 설계를 하고 검증하였다. 첫째, 독립적 자아해석 성향의 소비자는 강조 심미성의 디자인제품을 더 선호하였으며,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성향의 소비자는 조화 심미성의 디자인제품을 더 선호하였다. 둘째, 소비자가 조화(강조)심미성 디자인과 조화(강조)메시지로 구성된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심미성과 메시지 간의 매칭정도를 지각하며, 이것이 제품 평가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강조 심미성을 강조한 광고에서, 독립적 자아해석집단이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집단보다, 심미성과 메시지의 매칭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조화심미성을 강조한 광고에서는 두 집단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식별되었다. 마케터는 광고에서 디자인 심미성과 자아해석을 토대로 심미성을 강조하는 관리를 해야 한다.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 far to investigate how consumers react to certain aesthetics in compliance with their self-construals.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the level of matching between aesthetic design and copy message may exercise upon their product evaluation, and moderating roles of types of self-construals on the effects. This paper used between-subject experimental design of 2 (design aesthetics: emphasis vs harmony) × 2 (self-construals: independent vs dependent). Perfume bottles were selected as the empirical o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ndependent -construals consumers were found to favor more the goods with design of emphatic aesthetics than those of harmonious aesthetics, while dependent-construals consumers were more fond of the products with design of harmonious aesthetics than those of emphatic aesthetics. Second, consumers perceiving more intensively the level of matching between aesthetic design and message showed positive evaluation of the perfume goods advertised. Third, the emphatic aesthetics perceived from the advertisements of emphatic aesthetics could exercise more positive impacts upon the level of matching between emphatic design and emphatic message in the independent group than in the dependent group. Marketers should therefore endeavor to manage advertisement design with a focus on aesthetic design and copy messages according to consumers’ self-construals.

      • KCI등재

        한국화장품브랜드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애착요인과 긍정적 행동 간의 관계

        최낙환,조위봉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경영교육연구 Vol.27 No.1

        In marketing context, attachment is the extent to which people remain loyal to the brand. And past researches suggest that consumer’s emotional attachment to a brand can predict their willingness to buy it and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attachment to a brand, such as self-connectedness, brand prominence. In this research, we mainly focus on the effects of consumers' brand attachment on positive behaviors, and try to explore the mediating roles of brand attachment on the effects of self-referencing, past relationship age, brand experience on positive behaviors. To achieve the goals of our study we used the entire data sample(n=222) selected from Chinese students in Korea. We test the hypotheses by using Amos 17.0.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Brand attachment can affect positive behaviors, and self-referencing, past relationship age, brand experience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brand attach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brand experience also can affect positive behaviors directly. 이 연구는 중국소비자의 한국화장품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체험 변수를 중국소비자의 긍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변수로 도입하고, 중국소비자의 한국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자아준거성, 긍정적 관계기간, 체험이 브랜드애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구성개념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내의 중국유학생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중국소비자의 한국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행동에 한국화장품 브랜드의 체험과 애착이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국소비자의 한국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애착에 한국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자아준거성, 긍정적 관계기간, 그리고 체험이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브랜드 명품성과 확장된 마케팅 믹스의 관계

        최낙환,나광진,라지은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4

        명품 소비가 일반 대중에게로 확대, 발전됨에 따라 “명품”과 관련된 마케팅 현상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명품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평가가 브랜드 자산을 강화하는 주된 요인임을 고려할 때 브랜드 명품성 향상을 위한 마케터의 실무적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마케팅 4p 믹스 요소를 실무적 관점에서 확장하여 5개의 마케팅 믹스 요소(고가격, 유통범위, 광고비 지출, 가격할인 촉진, 매장분위기)를 제안하고 기업의 마케팅 믹스 활동 노력과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명품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즉, 기업의 마케팅 믹스 노력이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명품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5개의 마케팅 믹스요소 중 광고비지출을 제외한 4개의 마케팅 믹스요소가 소비자의 브랜드 명품성 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가격과 매장분위기는 브랜드 명품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통범위와 가격할인 촉진은 브랜드 명품성 지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명품 브랜드와 마케팅 믹스요소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할 수 있으며 명품 브랜드를 새롭게 출시 또는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시키려는 브랜드 관리자에게 다양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s consumption of luxury goods is expanding and developing, the marketing issue which is related to “luxuriousness” has been focused. It is necessary that marketers make efforts on building up brand luxuriousness because the perceived value and evaluation toward luxury brand could increase brand equity.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5 marketing factors(price, high level of distribution intensity, advertising expenditure, price promotion, store image) regarding traditional 4p’s mix elements 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5 marketing factors and brand luxuriousness perceives by consumers. In other words, the influences of companies’ efforts on marketing mix on brand luxuriousness are explored. The results show that 4 marketing mix factors suggested by this research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s’ brand luxuriousness perceptions except advertising expenditure. Price and store image have positive effects on brand luxuriousness perceives by consumers. In addition, High level of distribution intensity and price promotion influence consumers’ brand luxurious perceptions negatively.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not only open a research avenue on the post impacts of luxuriousness on consumers' luxury purchasing behaviors but also suggest variou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brand managers who plan to launch new brands or maintain and develop luxury brands.

      • KCI등재
      • KCI등재

        소비자의 기업동일시 및 CEO동일시와 긍정행동

        최낙환,변철섭,이정희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5

        본 연구는 기업의 개별브랜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행동 요인으로 CEO동일시와 기업동일시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소비자의 긍정행동은 기업동일시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지만, CEO동일시는 소비자의 긍정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기업동일시를 통해 부분 매개됨을 확인하였다. 또 CEO의 능력은 CEO동일시에 대한 영향이 없었으며, CEO의 신뢰성이 CEO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아울러 기업의 능력연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연상은 소비자의 긍정행동을 유인하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CEO는 개인적인 능력을 소비자에게 알리기보다는 자신의 신뢰성을 소비자가 인지하게 하는 행동을 하여 CEO동일시를 유인할 필요성이 있으며, 기업은 기업의 능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소비자에게 연상이 될 수 있도록 촉진활동을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role of consumers' identification with a corporation and its CEO in connection with their positive behaviors toward individual brand product of the corporation as well as examining the preceding factors of such identifications. From the study, it is found that consumers' positive behaviors are affected directly by their identification with a corporation, while their identification with its CEO does not affect directly the positive behaviors of consumers, but the effects of CEO identification on the positive behaviors are partly mediated by identification with a corporation. It is also made clear from the study that CEO's ability doesn't exercise impact upon identification with the CEO but CEO's trust has influence on it. Besides, association with corporation's ability and acts of social responsibility are effective in attracting positive behaviors of consumers. It is thus requested for a CEO to prompt consumers to recognize his or her trust, not to advertise his or her personal ability instead, in an attempt to draw positive behaviors from consumers toward individual brand product of the corporation and also requested to let consumers maintain identification with the corporation by helping them associate corporations' ability and act of social responsibility to affect such ident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