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대간회계에 의한 국민연금의 세대간형평성과 지속가능성 측정

        최기홍 한국은행 2016 經濟分析 Vol.22 No.2

        This study derives the indicators of intergenerational equity and sustainability for the social security pension from generational accounting. The characteristic of this generational accounting can be summarized by two aspects. First, it follows the “sustainability approach” instead of the conventional “residual approach.” Second, all the generational accounts cover their entire lifetime using both the actuarial projection model and the administrative data, which are available in the most social security pension schemes. According to a demonstration analysis, the cohort profitabilities, an indicator of intergenerational equity, are decreasing as birth year increases. The reason is that the special benefits in the early stage phased out and the effects of the two reforms in 1998, 2007 are gradually increasing. The more desirable indicator of per capita net benefits show the highest value around the cohort born in 1975 due to their larger coverage rates and longer contribution years despite their lower profitabilities. Next, all the proposed indicators of sustainability display values less than half of those values of the OASDI. Finally, a simulation shows that the 15% contribution rate, considered as a long-run actuarially fair rate, is not sufficient for the sustainability. It means a combination of diverse reform measures are required to recover the sustainability of current scheme. 본고는 국민연금에 적합한 세대간형평성과 지속가능성의 지표들을 세대간회계로부터 도출하고 측정치들을 제시한다. 본고의 세대간회계는 두 가지의 특징이 있다. 첫째, Auerbach etal.(1991)의 ‘잔차 접근법’이라는 전통적 세대간회계에 비해 간명한 유럽연합 연구자들의 ‘지속가능성 접근법’이라고 하는 새로운 세대간회계이다. 둘째, 사회보장연금들에 일반적인 장기추계모형과 가입자들의 이력자료를 이용하여 모든 세대계정이 전체 생애에 대해 추계되는 Leimer(1994), 최기홍(2013)의 ‘확장된 세대간회계’이다. 도출된 지표들은 2013년 재정계산의 추계모형과 이력자료로부터 시범적으로 측정되었다. 먼저 세대간형평성의 지표로서 세대별 수익성은 제도 초기 특혜의 소멸과 1998, 2007년 재정안정화 조치의 영향으로 후세대로 갈수록 낮아진다. 보다 바람직한 지표인 세대별 일인당 순혜택은 초기세대들이 높은 수익성에도 불구하고 낮은 가입률과 짧은 기여연수로 가장 작고 1975년 무렵 출생한 세대들이 높은 가입률과 긴 기여연수로 통념과 달리 가장 크다. 다음으로 국민연금의 모든 지속가능성 지표들은 재정적으로 취약한 미국 OASDI에 비해서도 두 배 이상 낮게 나타나서 개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추계모형을 이용한 가상적인 보험료 인상 시뮬레이션에 의하면 장기 수지상등 (actuarially fair) 보험료로 판단되는 15% 수준의 인상에도 지속가능하지 못하여 다양한 재정안정화 방안들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 3차원 광정보 취득 및 재생 기술

        최기홍,민성욱 한국통신학회 2017 정보와 통신 Vol.34 No.2

        3차원 영상의 촬영 및 재생은 마치 우리에게 카메라와 텔레비전의 존재가 지극히 당연한 것처럼 낯설지 않은 주제가 되었다. 3차원 영화에 대한 시장의 본격적인 반응이 시작된 지도 거의 10년이 돼가고, 최근 몇 년 사이에는 가상/증강현실에 관한 기술이 빠르게 대중화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3차원 광정보처리 기술 개발의 다음 행선지는 어디인지, 그리고 그 다음은 어디인지를 심사숙고하고 관련 연구를 착실히 수행해 나갈 필요가 있다. 1장에서는 3차원 광정보 취득 및 재생 기술의 근황, 2장에서는 차세대로 불릴 만한 기술들을 서술한다. 그리고 3장 이후로는 여러가지 기술 중, 궁극의 3차원 정보 처리로 일컬어지는 홀로그래피 기술에 대해 서술한다.

      • KCI등재

        Does Trading Volume Contain Information to Predict Stock Returns and Volatility? Domestic and Cross-Country Evidence in Asian Stock Markets

        최기홍,강상훈,윤성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4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whether trading volume as a proxy of information flow can be useful to improve the prediction of future returns and volatility. For this purpose, we examine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trading volume and returns (and volatility) for both domestic and cross-country stock markets.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consider daily data in four Asian stock exchanges (Korea, Japan, China and Hong Kong) and use the GARCH model, which includes trading volume, and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 main results of our empirical analysis using cross-country Granger causality tes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on trading volume of Korea, Japan and China can not add any significant power to forecast returns of other country. But there are significant cross-country casual relationships from trading volume to volatility. Second, there are some bi-directional and feedback relationships between return series of Korean market and volume series of Hong Kong, and between trading volumes of Korean and Japanese stock markets. Third, trading volume of Hong Kong has extensive predictive power for the stock markets of Japan and Korea. Last, the effects of cross-country information flow are weak, and Japanese stock market is substantially influenced by market variables of other Asian stock markets of Korea, Hong Kong and China.

      • KCI등재

        경제학적 지수이론에 의한 'Superative' 지수의 재해석

        최기홍 한국계량경제학회 2005 계량경제학보 Vol.16 No.4

        Diewert(1976) defines an index number as superlative if it is exact for a linearly homogeneous aggregator function or its dual unit cost function that is flexible. The applicability of this definition, however, has been seriously limited by the requirement to identify its exact functional form. This paper interprets the superlative index as its ability to approximate the true economic index number closely to the second order. This interpretation has much more applicability than the original definition and it is virtually the same with the original Diewert's definition in the sense that identification of any particular functional form has no particular value in the index number theory. To prove the usefulness of this interpreta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quadratic mean of order r index, the unique superlative index number in the original definition and includes such important index numbers as the Fisher, Trnqvist, Walsh as special cases, is also second order approximation to the economic index number. Diewert(1976)는 어떤 지수산식의 일치하는 함수(단위비용함수 또는 집계함수)가 신축적(flexible)인 경우 superlative지수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이런 기존 정의는 일치하는 함수의 규명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적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고는 superlative지수를 ‘임의의 경제학적 지수를 이차근사(second order approximation)할 수 있는 지수’로 새롭게 정의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은 기존 정의와 새로운 정의는 실질적으로 동등하며 신축적 함수의 규명보다 직접 임의의 경제학적 지수산식에 대한 이차근사를 보이는 것이 용이하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본고는 새로운 정의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하여 기존 정의에서 유일한 superlative지수족 r계이차평균지수가 새로운 정의에서도 역시 superlative지수인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지수이론에서 실증적, 이론적으로 중요한 지수이지만 일치하는 함수가 규명되지 않아 기존 정의에서는 superlative지수가 아닌 Sato-Vartia지수가 새로운 정의에서는 superlative지수임을 보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