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지분율이 기업의 고유위험에 미치는 영향

        최금화,정찬식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2 국제경영리뷰 Vol.26 No.2

        본 연구는 2000년~2020년의 표본기간 동안 금융업을 제외한 KOSPI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외국인 지분율이 기업의 고유위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한다. 산업-연도 고정효과 패널분석을 시행한 결과, 외국인 지분율이 높을수록 고유위험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은 독립기업에 한정된 것이었고, 대규모기업집단 속한 기업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강력한 지배주주가 존재하는 대규모기업집단 소속 기업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력보다는 지배주주의 영향력이 더욱 큼을 시사한다. 반면 외국인 지분율이 높을수록 고유위험이 증가하는 현상은 애널리스트 커버리지 중위값으로 구분한 두 개의 하위표본에서 모두 발견되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의 정보력 등의 우위로 인해 외국인 지분율이 높을수록 피투자 기업의 고유 정보에 더욱 가깝게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이에 따라 고유위험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강건성 분석을 위해 기업-연도 고정효과 패널분석을 행한 결과 산업-연도 고정효과 패널분석에서 얻은 결과와 거의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고유위험의 측정치로 Fama-French 3-요인 모형에서 도출되는 잔차항의 변동성(분산)을 사용한 실증결과 또한 앞서 보고하였던 결과와 거의 동일하였다. 나아가, 고유위험과 외국인 지분율 간 비선형 관계를 고려하기 위해 Piecewise 회귀분석을 행한 결과, 중앙값에 해당되는 3.1%를 전후로 하여 0%~3.1% 구간에서는 외국인 지분율이 증가할수록 고유위험이 감소하였고 3.1%~100% 구간에서는 고유위험이 증가하되, 후자가 전자를 압도함으로써 전반적으로 고유위험과 외국인 지분율 간에는 양(+)의 관계가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Lee and Liu(2011)이 주장하는 바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본 논문은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력이 클수록 피투자기업에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온다는 선행연구들과 그 맥을 함께 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기업위험이 유상증자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주주배정을 중심으로

        최금화,강상구 한국재무관리학회 2020 財務管理硏究 Vol.37 No.2

        We examine whether managers’ decision of rights offering is motivated either by old shareholders’ wealth increasing incentive or by bad news hoarding incentive in the KRX KOSPI listed non-financial firms during 1998-2018 period. We clarify that firms with large total risk or firm-specific risk are not likely to choose rights offering in probability. Because dilution is lower in rights offering than in public offering or in third party allocation, the negative relations imply that SEO firms’ managers in Korea behave in the interest of old shareholders. Therefore old shareholders do not have to take more risk in rights offerings than in other types of SEOs. Agency problem between managers and outside shareholders does not seem to change the relation. The negative relations consistently hold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either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or foreign investors. It suggests that managers act in the interest of all old shareholders in general. However, agency problem between large shareholder and minority shareholders could change seems to affect managers’ incentive in Korea. The negative relation holds only in non-chaebol subgroup, whilst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 disappears in chaebol subgroup. 본 연구는 위험이 경영자의 유상증자 방식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998~2018년 KOSPI에 상장된 비금융업 회사 중 유상증자 실시 기업을 대상으로 총위험, 비체계적 위험이 경영자가 일반공모, 제3자 배정 대신 주주배정을 택할 확률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보였다. 첫째, 비체계적 위험이 클수록 경영자가 주주배정을 선택할 확률이 유의하게 감소한다. 이는 CAPM, Fama-French 3-factor 모형, 하방위험 등 위험에 대한 모형 선택과 무관하게 성립하며, 경영자가 기존 주주 부를 고려해 주주가 위험을 많이 부담하지 않게끔 결정함을 시사한다. 둘째, 대주주 지분율, 외국인 지분율 크기와 무관하게 앞의 결과는 성립하는 반면, 대규모 기업집단에 속하지 않은 기업에서만 이 결과가 성립한다. 이는 최대주주-소액주주 간의 대리인 문제로 인해 경영자가 기존 주주를 고려한 의사결정과는 다른 행동을 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경영자는 기존 주주를 위해 유상증자 방식을 선택하나 대리인 문제로 인해 위험에 대한 결정이 왜곡될 수 있음을 보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종업원 만족도를 중심으로

        최금화,강상구 한국재무관리학회 2018 財務管理硏究 Vol.35 No.4

        We examine whether CSR and employee satisfaction decrease risk in the KRX KOSPI listed non-financial firms during 2005~2016 period. We clarify that negative relation between CSR and both total risk and firm-specific risk is robust but relation between CSR and systematic risk could be sensitive to selection of CSR proxies. Thereby we complement academic debate in Korea whether negative relation between CSR and both systematic risk and firm-specific risk is robust. Further, we find that employee satisfaction can facilitate as a proxy variable of inside information by employee in Korea. Employee satisfaction significantly decreases both total risk and firm-specific risk and marginal effect is greater in stocks that individual investors trade more. Given heterogenous informational ability among investors and literature on CSR, employee satisfaction could provide good inside information and help to build good reputation among potential investors. Such information is more valuable for firms with poor informational environment. The risk decreasing effect from employee satisfaction is not driven from agency problem.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 및 하위항목인 종업원 만족도의 위험감소 효과를 분석하였다. 2005~2016년 KOSPI에 상장된 비금융업 회사를 대상으로 국내 CSR 대용변수에 따른 민감도 문제를 검증하고, 종업원이 시장에 내부정보를 공급함으로써 평판형성에 영향을 미쳐 기업의 위험에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주식시장에서 CSR 활동은 총위험, 비체계적 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며, 이는 CSR 변수 선택의 민감도 문제와 무관하다. 둘째, 종업원 만족도는 긍정적 내부정보를 공급함으로써 총위험과 비체계적 위험을 감소시키며, 개인투자자 비중이 높을수록 위험감소 효과가 컸다. 종업원 만족도의 위험감소 효과는 대규모 기업집단 소속여부와 무관하게 성립하여 대리인 문제에 기인한 것이 아니다. 본 연구는 CSR 대용변수의 민감도 문제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고 내부정보의 대용변수로서 종업원 만족도의 유용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AHP분석을 통한 문화·예술 기반도시재생 중요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최금화,권혁인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9 인천학연구 Vol.31 No.-

        Today, it has been said that arts and culture are major factors for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Actually, a long list of successful cases around the world, the main driving force of which was based on arts and culture, proves the conventional wisdom. However, Korean cities are unique in their social and cultural aspects, distinct from overseas cities. It implies that the imitation strategy cannot guarantee the success of the enterprise. S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jor and decisive factors considered importan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ased on arts and culture by comparing the perception of civilian experts group with that of public official group. For the study, a broad review of literature was conducted as part of finding factors necessary for urban regeneration. In addition, a session of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xperts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based urban regeneration. The data were all transcribed and theme-analyzed to elicit major factors and components. Lastly, a hierarchical model was set to measure and order the importance of arts and culture-related components that can contribute to success of urban regeneration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to the major factors and components between civilian expert group and public official group. For thi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used for the model. The outcome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10 major factors and 43 components were elicited. Second, the AHP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what is important for arts and culture-based urban regeneration between the civilian expert group and the public official group. More specifically, the civilian experts group put participation・networking as the first priority but the public official group did not take it seriously. Similarly, the public official group regarded cultural heritage as the pivotal core, putting it as the first priority, while the civilian experts group considered it less important. Such discrepancy means that we can ferret out various differentiated strategies based on the gap in perception of arts and culture-based urban regeneration priorities between the two expert groups. In sum, this study shows that w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historical,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uniqueness of the city as far as urban regeneration is concerned. In the same vein, the study recommends that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tailored closely to the target city need to be suggested for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오늘날 도시재생에 있어서 문화・예술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해외 성공사례를 살펴보아도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성공사례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도시는 유기적이며 진화하는 생명체와 같아서 단순 모방만으로 도시재생에 있어 지속가능한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재생 사업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주요 속성을 제시하고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문화・예술 기반 도시재생 관련 주요 속성 및 세부 항목에 대한 검증 과정을 마쳤으며 계층 모형 설정을 통해 민간전문가 집단과 공무원담당자 집단을 대상으로 주요 속성 및 세부 항목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최종적으로 10개의 주요 속성과 43개의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둘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통한 분석결과, 민간전문가 및 공무원담당자 집단별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주요 속성 및 세부항목 간 차이가 존재하였다. 특히 참여・네트워킹에 대해서는 민간전문가 집단에서는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속성인데 비해 공무원담당자 집단은 비교적 중요하지 않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유산자원에 대해서는 공무원담당자는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속성인데 비해 민간전문가 집단은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속성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의 인식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민간전문가 측면에서 중요하게 인식하는 내용과 실제로 공무원담당자들이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인식하는 정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상황이므로 두 집단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주요 속성들과 세부 항목들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전략을 펼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나라와 도시마다 서로 다른 역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환경을 갖고 있어 각 도시의 특성 및 환경조건을 고려한 차별화된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철저한 사전조사와 함께 그 지역에 특화된 전략 제시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최대주주 지분율이 중소기업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최금화,정찬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3 경영컨설팅연구 Vol.23 No.5

        This study analyzes how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affects the risk of SMEs listed in the KOSDAQ market. According to Agrawal and Mandelker (1987), managers with shares in firms predict that their stakes in the firm will rise with the higher ownership, creating favorable conditions for managers, but that with the higher risks, they also predict that conditions unfavorable to managers will be formed by reducing their human capital due to increased uncertainty. Based on their research background,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on SMEs' risk and find that the total, systematic, and idiosyncratic risks of SMEs all decrease as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increases. However, this phenomenon has largely lessened for venture companies. This paper has policy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a new perspective to investors and financial authorities who valu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and return.

      • KCI등재

        B2B 산업과 B2C 산업 간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기업가치에 대한 연구

        최금화,강상구 한국재무관리학회 2023 財務管理硏究 Vol.40 No.2

        We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on corporate value is different between business-to-business(B2B) industries and business-to-consumer(B2C) industries. Examining firms listed in the KRX KOSPI during the periods from 2006 to 2021, we fi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hilst CSR activities in the B2C industries affect neither Tobin’s Q nor EBITDA, CSR activities in the B2B industries significantly increase both Tobin’s Q and EBITDA. Second,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CSR activities in the B2B industries and Tobin’s Q are driven by both good corporate governance and employee satisfaction. Third,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corporate value and CSR activities in the B2B industries is more significant when the level of external monitoring is low. measured by foreign investors’ ownership and analyst coverage. Overall, CSR activities in the B2B industries are well-managed possibly because of costs based rationality of B2B firms and their customers.

      • KCI등재

        B2B 산업과 B2C 산업 간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위험에 관한 연구

        최금화,강상구 한국재무관리학회 2021 財務管理硏究 Vol.38 No.4

        We examine whether the risk reduction rol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s different between business-to-business (B2B) industries and business-to-consumer (B2C) industries. Analyzing Korean non-financial firms listed in the KOSPI during the periods from 2006 to 2019, we fi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hilst CSR activities in the B2C industries significantly increase the standard deviation of ROA, CSR activities in the B2B industries significantly decrease the standard deviation of ROA. Second, CSR activities in the B2B industries significantly reduce the total risk of stocks but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SR activities in the B2C industries and total risk of stocks is found. The results imply that the risk reduction role of CSR activities could vary depending on the industries. Third, the risk reduction role of CSR activities in the B2B industry is more significant among Chaebol affiliates and firms where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is greater than the media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SR activities in the B2B industry is managed well regardless of the concerns from possible agency problems. 본 연구는 산업의 소비자 유형, 즉 개인 소비자(B2C)와 기업 소비자(B2B) 여부가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활동의 위험감소 효과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귀분석과 고정효과 분석을 통해분석하였다. 2006~2019년까지 한국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비금융업 회사를 분석하여 다음을 보였다. 첫째, B2B 산업의 CSR 활동은 ROA의 표준편차를 감소시키지만 B2C 산업의 CSR 활동은 ROA의표준편차를 증가시켰다. 둘째, B2B 산업에서 CSR 활동은 주식 총위험을 감소시키는 반면, B2C 산업에서CSR 활동의 유의한 주식 총위험 감소효과를 찾을 수 없었다. 이는 CSR 활동이 좋은 평판을 형성함으로써위험을 감소하는 효과가 산업별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B2B 산업 내에서 CSR 활동의위험 감소효과는 대규모기업집단 소속기업, 최대주주 지분이 높은 기업에서 더 유의하였다. 이는 B2B 산업에서 CSR 활동의 위험 감소효과가 대리인 문제에 대한 우려와 달리 잘 기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Korean Sa-Ahm Acupuncture for Treating Canine Oral Fibrosarcoma

        최금화,Kristi Flynn 사단법인약침학회 2017 Journal of Acupuncture & Meridian Studies Vol.10 No.3

        A nine-year-old male neutered Golden Retriever presented with oral fibrosarcoma. Sa-Ahm Traditional Korean acupuncture was provided along with medicinal herb treatment. Based on Sa-Ahm's theory, the constitution of this case was hypoactive Large-Intestine (LI) meridian qi. The acupuncture treatment was focused on reinforcing LI meridian qi along with reinforcing Small-Intestine and Liver meridian qi. The necrosis of the tumor started from 8 months after treatments and was completely necrotized around 1 month after initiation of tumor necrosis.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score was 80 to 100 % throughout the treatment except during the active stage of tumor necrosis having KPS of 50%. In this study, oral fibrosarcoma was managed well by both Sa-Ahm acupuncture and medicinal herb treatment. The result suggested that Sa-Ahm acupuncture along with herbal treatment could be a potential medical option for canine oral FSA therapy.

      • KCI등재

        애널리스트 커버리지가 기업의 고유위험에 미치는 영향

        최금화,정찬식 한국재무관리학회 2021 財務管理硏究 Vol.38 No.4

        This study demonstrates whether the higher the number of forecast reports on corporate information, the higher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This is called analyst coverage, where the greater the analyst coverage, the higher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Jin and Myers, 2006; Brockman and Yan, 2009), or vice versa (West, 1988; Krishnaswami and Subramaniam, 1999; Kelly, 2014).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greater the analyst coverage, the more significant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was. This phenomenon was also seen not only by independent firms but also by firms belonging to a business group. This fact means that analysts' forecast reports have a large impact on all firms, whether the agency issue is serious or not. In sum, an increase in analyst coverage means the activation of quality information provision, which in turn suggests a function of reducing idiosyncratic volatility. 본 연구는 기업의 재무정보에 대한 예측보고서를 발간한 증권사의 수가 많을수록 과연 고유위험은증가할 것인지 실증분석 한다. 이를 애널리스트 커버리지라 한다면, 애널리스트 커버리지가 클수록고유위험은 증가할 수 있고(Jin and Myers, 2006; Brockman and Yan, 2009), 반대로 감소할 수도(West, 1988; Krishnaswami and Subramaniam, 1999; Kelly, 2014) 있다. 실증분석 결과, 애널리스트 커버리지가 클수록 고유위험은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이러한현상은 독립기업 뿐만 아니라 기업집단에 소속된 기업에서도 공히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대리인문제가 심각한 기업이건 그렇지 않건 애널리스트 예측보고서가 모든 기업에 매우 큰 영향력을 행사함을의미한다. 즉, 애널리스트 커버리지의 증가는 양질의 정보제공의 활성화를 의미하며, 이는 다시고유위험을 감소시키는 긍정적 기능을 행함을 시사한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