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최근형,박철,CHOI Keun-Hyung,PARk Chul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 199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6 No.5

        About three fourths of total variability of zooplankton in Asan Bay was associated with seas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ner bay and outer bay was relatively small. However, the differences in percent compositions of major taxa at inner bay and outer bay increased gradually with time, suggesting the change of ecosystem in this bay due to the human exploitation such as reclamation. Seasons of maximum abundances were different among the taxa but consistent for each taxon throughout the three survey years. Calanus sinicus and Acartia bifilosa showed maximum abundance in spring. Sagitta crassa, Paracalanus parvus, A. pacifica, Tortanus spinicaudatus, Corycaeus affinis and Decapoda larva were most abundant in summer. Labidocera euchaeta and Bivalve larva appeared most abundantly in fall. But in winter no taxon showed maximum. In general, low abundance with many species in fall, low abundance and few taxa in winter, increase in both number of taxa and abundance in spring, and high abundance and many taxa in summer were observed. A hypothesis for the observed patterns was suggested although more evidences were needed to support this. 아산만 동물플랑크톤 변이의 약 3/4 가량이 계절에 따른 변이로 파악되었으며 만의 안쪽과 바깥쪽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았다. 그러나 만의 안쪽과 바깥쪽에서의 주요종의 조성율 차이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커지고 있어 방조제 건설 등에 따른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았다. 조사 기간 3년 동안 종별로 가장 많이 출현하는 계절이 서로 달랐으나 각종이 가장 많이 출현하는 계절은 3년 계속 일치하고 있었다. Calanus sinicus와 Acartia bifilosa는 봄철에, Sagitta crassa, Paracalanus parvus, Acartia pacifica, Tortanus spinicaudatus, Corycaeus affinis 및 Decapoda larva는 여름철에, Labidocera euchaeta와 Bivalve larva는 가을철에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겨울철에 가장 많이 나타난 종은 없었다. 대체로 가을철에는 많은 종류가 적게 출현하고, 겨울철에는 종수와 양이 모두 적었고, 이들은 모두 봄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여름철에는 많은 종이 모두 다량 출현하는 변화양상 이었다. 지지하는 증거는 불충분하지만 이러한 변화양상에 대한 가설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Asan Bay, Korea with Comments on Vertical Migration

        박철,최근형,문창호,PARK Chul,CHOI Keun-Hyung,MOON Chang-Ho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 199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4 No.6

        아산만 동물 플랑크톤의 계절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년중 Labidocera euchaeta, Safitta crassa, Calanus sinicus, Acartia omorii 등이 계절에 따라 다른 점유율을 보이며 주요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기타 계절에 따라 이매패 유생(가을), 십각류 유생(봄, 여름) Paracalanus Parvus, Evadne tergestina(여름) 등이 주요 우점종에 포함되었다. 주요 우점종인 A. omorii는 계절에 따라 주야 수직분포가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겨울철에는 정상적인 주야 수직이동, 봄철에는 역전된 주야 수직이동을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대부분 표층에서는 야간과 비교하여 주간에 통상 같거나 적은 양의 개체수 분포를 보였다. Seasonal distributions of zooplankton were investigated in Asan Bay, Korea. Labidocera euchaeta, Sagitta crassa, Calanus sinicus, Acartia omorii were dominant taxa throughout the year with seasonally varying percent compositions. Bivalve veliger larva (fall), Decapoda larva (spring and summer), and Paracalanus Parvus, Evadne tergestina (summer) were also dominated during contain period. The patterns of time dependent vertical distributions of one major taxon, A. omorii, showed seasonal differences, i.e., it showed the trends of normal vertical migration in winter and reversed vertical migration in spring. At surface layer day time abundances were equal or less than night time abundances in general.

      • KCI등재

        북서태평양의 위도별 중형동물플랑크톤의 분포 특성

        이창래,강형구,최근형,Lee, Chang-Rae,Kang, Hyung-Ku,Choi, Keun-Hyung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1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3 No.suppl3

        We investigated latitudinal changes in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during a cruise between October 16 and November 30 of 2007 from four distinctive region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Warm pool area (longitude $135^{\circ}$ line), Philippine EEZ (PEEZ), Japan EEZ (JEEZ), and East China Sea (ECS). Major taxa of numerical importance were Clausocalanidae (Clausocalanus spp.), Oncaeidae (Oncaea spp.), and Oithonidae (Oithona spp.) in oligotrophic regions, however Paracalanidae (Paracalanus spp.) was the most abundant group in the ECS. Mesozooplankton size group of <1 mm dominated in PEEZ and WP (48% and 56%, respectively), but mesozooplankton (>1 mm) were of importance in the JEEZ and ECS (34% and 38%, respectively). Mesozooplankton biomass and abundance were high in the JEEZ and ECS, and low in the oligotrophic WP and PEEZ waters, with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th total Chl-a and heterotrophic protist biomass. Latitudinal change in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as 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with copepods such as Lucicutia spp. and Pleuromamma spp. being present only in warm waters. The geographical expansion of mesozooplankton with a preference for warmer waters could potentially be useful as an indicator for detecting ocean warming.

      • KCI등재

        선박평형수 처리 시스템 효율 검증을 위한 해양 플랑크톤 생사판별시 Neutral red 염색법 적용 가능성 연구

        현봉길,신경순,정한식,최서열,장민철,이우진,최근형,Hyun, Bonggil,Shin, Kyoungsoon,Chung, Hansik,Choi, Seo-Yeol,Jang, Min-Chul,Lee, Woo-Jin,Choi, Keun-Hyung 한국해양학회 2014 바다 Vol.19 No.4

        선박평형수를 통한 외래종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2004년 선박평형수관리협약을 채택하였다. 이 협약에 따르면 앞으로 대부분의 선박들은 선박평형수 처리시스템을 통해서 해양 생물을 사멸 또는 제거시킨 후 배출해야 하며, 이는 플랑크톤의 생사판별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으로 선박평형수 처리후 생사판별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fluorescein diacetate assay (FDA) 염색방법의 제한성과 이의 대안으로 Neutral red (NR) 염색방법사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FDA 염색법은 대부분의 플랑크톤 염색에 되어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Ditylum brightwellii 을 제외한 모든 식물플랑크톤 대해서 낮은 염색 효율(전체 평균 염색 효율 <50%)을 보였으며, 식물플랑크톤이 갖는 고유한 형광(적색)에 간섭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DA는 형광파장에 노출된 후 빠르게 색이 바래지는 경향도 관찰되었다. 반면에 NR은 조사된 모든 동 식물플랑크톤 개체수에 대해서 90% 이상의 높은 염색 효율을 보였다. 두 염색법 모두 포르말린을 이용해서 사멸시킨 동 식물플랑크톤에 대해서는 염색이 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NR 염색법을 이용한 동 식물플랑크톤 생사판별은 매우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non-indigenous aquatic species through the ballast water in commercial ships,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adopted in 2004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and Sediments. The Convention mandates treatment of ballast water for most transoceanic voyages and its confirmation of treatment is made with plankton live/dead assay. Fluorescein diacetate assay (FDA), which produces bright green light for live phytoplankton, has been a de facto standard method to determine the survival of marine plankton, but its staining efficacy has been in dispute.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limitation of FDA, and compared its efficacy with Neutral red (NR) staining, another promising assay and widely used especially for zooplankton mortality. For all phytoplankton species studied in the present study, except Ditylum brightwellii, the staining efficiency was <50% with FDA. The green FDA fluorescence interfered with phytoplankton autofluorescence in most samples. In contrast, NR assay stained over 90% of both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species tested in this study. FDA assay also showed that green FDA fluorescence rapidly faded when phytoplankton cells were exposed to microscope light. Both FDA and NR assay were negative on formalin-killed individuals of both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species. Our results suggest that NR assay is more effective for determining the survival of marine plankton and can be applied to test the efficacy of ballast water treatment.

      • KCI등재

        선박평형수처리장치 형식승인을 위한 식물플랑크톤 샘플링 방법 비교

        장풍국(Pung-Guk Jang),현봉길(Bonggil Hyun),이우진(Woo-Jin Lee),최근형(Keun-Hyung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BWMS) 형식승인을 위한 국제해사기구(IMO)와 미국해양경찰(USCG)의 시험방법 중 차이가 큰 식물플랑크톤의 전처리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배양종, 자연종, 그리고 BWMS의 육상시험에서 채취한 식물플랑크톤 샘플을 이용해 농축과 비농축에 대한 비교시험을 수행했다. 배양종과 자연종의 비교 시험은 농축하는 과정에서 네트 손실 및 손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대상종의 생리 · 형태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BWMS 육상시험에서 생물 농도가 높은 대조수의 경우 비농축한 시료 개체수가 농축한 시료보다 2배 정도 높은 값을 보였고, 생물 개체수가 낮은 처리수는 두 방법 간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형식승인 방법으로 육상시험을 수행하면 시험수 조건이 더 가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식물플랑크톤 샘플링 과정에서 농축과 비농축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농축 방법이 BWMS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처리수 내에서 살아있는 종이 샘플링의 농축 과정에서 네트 손실 및 손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대상종에 대한 평가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pretreatment methods of phytoplankton for type approval of the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BWMS).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and the United States Maritime Police (USCG) use two different test methods for this purpose. To compare the two methods, a test for concentration and non-concentration was performed with cultured and natural phytoplankton, and samples from the land-based BWMS test. The extent of damages caused by the process of concentration varied between cultured and natural species, indicating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In the land-based test, in the control water with a high biological population, the number of non-concentrated samples was about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concentrated samples. There was no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in the treated water with a low biological population. Thus,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oncentration and non-concentration for phytoplankton sampling, the concentration method can be applied as a method of evaluating BWMS performance. However, a method for evaluating whether live species in treated water may be lost or damaged during the concentration process of sampling should be developed and validated.

      •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CHOI, Keun-Hyung,PARK, Chul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3 연구논문집 Vol.13 No.-

        아산만 동물플랑크톤 변이의 약 3/4 가량이 계절에 따른 변이로 파악되었으며 만의 안쪽과 바깥쪽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았다. 그러나 만의 안쪽과 바깥쪽에서의 주요종의 조성율 차이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커지고 있어 방조제 건설 등에 따른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았다. 조사 기간 3년 동안 종별로 가장 많이 출현하는 계절이 서로 달랐으나 각종의 가장 많이 출현하는 계절은 3년 계속 일치하고 있었다. Calanus sinicus와 Acartia bifilosa는 봄철에, Sagitta crassa, Paracalanus parvus, Acartia pacifica, Tortanus spinicaudatus, Corycaeus affinis 및 Decapoda larva는 여름철에, Labidocera euchaeta와 Bivalve larva는 가을철에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겨울철에 가장 많이 나타난 종은 없었다. 대체로 가을철에는 많은 종류가 적게 출현하고, 겨울철에는 종수와 양이 모두 적었고, 이들은 모두 봄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여름철에는 많은 종이 모두 다량 출현하는 변화양상 이었다. 지지하는 증거는 불충분하지만 이러한 변화양상에 대한 가설을 제기하였다. About three fourths of total variability of zooplankton in Asan Bay was associated with seas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ner bay and outer bay was relatively small. However, the differences in percent compositions of major taxa at inner bay and outer bay increased gradually with time, suggesting the change of ecosystem in this bay due to the human exploitation such as reclamation. Seasons of maximum abundances were different among the taxa but consistent for each taxon throughout the three syrvey years. Calanus sinicus and Acartia bifilosa showed maximum abundance in spring. Sagitta crassa, Paracalanus parvus, A. pacifica, Tortanus spinicaudatus, Corycaeus affinis and Decapoda larva were most abundant in summer. Labidocera euchaeta and Bivalve larva appeared most abundantly in fall. But in winter no taxon showed maximum. In general, low abundance with many species in fall, low abundance and few taxa in winter, increase in both number of taxa and abundance in spring, and high abundance and many taxa in summer were observed. A hypothesis for the observed patterns was suggested although more evidences were needed to support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