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최광은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11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건설사 안전 관리 시스템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H 건설사에서 이행 중인 중대 재해 처벌 법 대응 방안에 대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안전보건진단을 통해 실무중심의 재해 예방활동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 과: 중대재해처벌법과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연계로 재해율 감소 효과 및 안전보건경영 체계의 고도화 등이 분석되었고 중대 재해처벌법 시행 전․후의 안전 활동 종합결과 분석을 통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사업주의 의식 개선, 재해예방을 위한 투자 확대, 재해예방활동의 정량화 등을 통한 실질적인 성과측정의 효과가 발현되었다.
InGaZnO Thin-Film Transistor-based pH Sensor with Parylene-C Gate Dielectric
최광은,김민준,박라영,김윤,박동욱 한국센서학회 2024 센서학회지 Vol.33 No.5
The measurement of pH is of significant importance in chemistry, life sciences,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Unlike conventional pH sensors that utilize glass electrodes, thin-film transistor (TFT)-based pH sensors offer distinct advantages, including enhanced response speed and additional circuit functio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pH sensor that incorporatesbiocompatible parylene-C as both the substrate and sensing layer, thereby enhancing flexibility, transparency, and biologicalcompatibility. We conducted tests to measure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pH solutions and assessed their performance in terms of drift and hysteresis. Using InGaZnO (IGZO) as the channel material, our pH sensor demonstrated an average sensitivity of approximately 82 mV/pH, albeit with certain drift limitations. The initial pH measurements exhibited goodreversibility over time. IGZO- and parylene-C-based TFT pH sensors are well suited for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wearable health monitoring, owing to their flexibility and biocompatibility.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 H건설사 중심
최광은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9 No.2
연구목적: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건설사 안전 관리 시스템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H 건설사에서 이행 중인 중대 재해 처벌 법 대응 방안에 대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안전보건진단을 통해 실무중심의 재해 예방활동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대재해처벌법과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연계로 재해율 감소 효과 및 안전보건경영 체계의 고도화 등이 분석되었고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전․후 의 안전 활동 종합결과 분석을 통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중대재해처벌 법 시행에 따른 사업주의 의식 개선, 재해예방을 위한 투자 확대, 재해예방활동의 정량화 등을 통한 실 질적인 성과측정의 효과가 발현되었다. Purpose: Suggests measures to improve the construction company's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of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Method: The effectiveness of practice-oriented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was analyzed through safety and health diagnosis of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implemented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headquarters. Result: The effect of reducing the accident rate and the advancement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were analyzed by linking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with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a plan to improve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was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safety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Conclusion: The effect of practical performance measurement was manifest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business owners' awareness, the expansion of investment for disaster prevention, and the quantification of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of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한국의 계층별 정책선호와 정책변화 사이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광은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23 현대정치연구 Vol.16 No.3
시민 가운데 특정 그룹이 아니라 시민 모두의 선호가 동등하게 정부 정책에 잘 반영되는 민주주의 모델은 이상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대표성의 불평등이 존재하지 않는 이러한 이상적인 모델이 한국의 현실과 얼마나 부합하는가를 검토하는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수행 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시민의 경제적 계층에 따른 정책선호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 선호의 차이가 정부 정책에는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를 탐색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공백을 메우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 정부가 수행한 여론조사와 2013년부 터 2021년까지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자체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기초하여 각각의 백분위 정책선호를 예측한 다음 이러한 선호가 정책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상위 층의 선호가 정책결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른 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잠정적으 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의 엄밀한 검증은 후속 연구의 과제로 남는다. 충분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계층별 정책선호는 정책영역별로 차이가 크고 일관성이 부족한 경향을 보였다. A democratic model in which the preferences of all citizens are equally reflected in government policies, rather than the preferences of any particular group, is widely held to be ideal. However, a comprehensive study examining the extent to which South Korean government policies reflect the preferences of all citizens has yet to be conduct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policy preferences according to economic class and explores how these preferences are reflected in government policies. The study estimated the policy preferences of different economic groups based on public opinion polls conducted by the Korean government from 1995 to 2021 and the Gallup Korea from 2013 to 2021. The study then analyzed how these preferences have influenced policy change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preferences of the upper class have a greater impact on policy outcomes than the preferences of other classes. However, more rigorous analysis is needed to confirm this, as the data was limited. Therefore, a definitive conclusion is left for future research. The analysis also found that class-based policy preferences vary significantly by policy area, and there is a lack of consistency in the policy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