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전기 왕실 比丘尼院 女僧들이 후원한 불화에 보이는 女性救援

        최경원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1 동방학지 Vol.156 No.-

        This study examines the three extant Buddhist paintings commissioned by Buddhist nuns in the palace cloisters of the sixteenth-century Joseon dynasty. The examination of the theme, iconography, and composition of each painting is incorporated to interpret their religious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status of their patrons. The nun-patrons are identified either as officially ordained practitioners from non-royal families or as widowed royal concubines who were removed from their residences and their positions of influence in the inner quarters to live with fellow concubines in a common royal-residence-turned-cloister on the outskirts of the palace after their royal husbands died. These women certainly experienced a multifaceted marginality at the centrum of the patriarchal Confucian polity in the religion, gender, family, and marriage systems. From this perspective, the paintings are presented as a visualization of the salvationist aspirations of Buddhist women of the sixteenth-century Joseon court. By replacing the judgment scene above in the usual Ten Kings paintings with the Ksitigarbha assembly scene and combining it with the depiction of retribution in hell below, Ksitigarbha and the Ten Kings of Hell switch the thematic emphasis from “punishment through judgment” to “salvation from punishment,” picturing the hope for salvation of the patrons. The Painting of King Sala Tree adds the image of Lady Wonang at the critical moment of salvation, when the literature of the narrative relates only Prince Allakguk’s being taken to the Land of Ultimate Bliss, exhibiting a greater hope for women’s “salvation to paradise.” The image of a fellow court woman crossing over to paradise in a dragon boat must have reassured nuns in the cloister of their own salvation. The Assembly for Welcoming the Dragon Boat of the Nine Grades of Rebirth in the Western Paradise highlights the scene where Buddha Amitabha ferries in via a salvific dragon boat the soul of a female devotee, which is the portrayal of the woman to whom the painting was dedicated. It depicts a more personalized prayer for “the salvation of a specific individual.” The paintings are visual embodiments of the religious aspirations, patronage, and practice of Buddhist women of the Joseon palace cloisters. 이 논문은 16세기 후반 왕실 비구니원 소속 여승들이 발원하고 후원한 현전하는 불화 세 작품의 종교적 의미를 여승 후원자의 신분과 관련하여 해석하고자 한다. 먼저 화기에 주어진 후원자들의 신원과 소속기관을 검토하여 그들의 신분과 후원의 배경을 알아본다. 여승 후원자는 남편의 사후 50년 이상 왕실 비구니원을 거점으로 信行한 淑嬪 尹氏와 惠嬪 鄭氏라는 인종의 두 후궁들과 이들에게 합류한 정식 수계를 받은 비왕족 출신 여승으로 나뉘며, 이들이 신행한 비구니원은 先王 후궁의 공동거주를 위하여 궁중의 외곽에 마련된 별궁이 본격적인 불교시설로 변화한 慈壽宮 혹은 仁壽宮이다. 이들은 조선사회의 유교화가 완성되어가는 16세기 후반 유교를 국가이념으로 천명한 政體의 중심지 궁중의 일각에서 여승으로 신행하면서, 後室 혹은 유교적 사회질서 밖에 놓인 존재로서 중층적인 周邊化를 경험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이들이 후원한 작품의 주제와 도상, 구성을 검토하여 이 작품들이 주변화된 후원자들의 구원에 대한 염원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것이다. 지옥장면 위에 지장보살 집회장면을 배치한 <地藏十王圖>의 전례 없는 작품구성은 지장보살 구원의 희망을 담은 것으로, 구원의 순간에 궁중여성의 이미지를 첨가한 <沙羅樹幀>은 여성 구원의 이미지를 직접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또한 <西方九品龍船接引會圖>는 구체적인 개인의 구원을 명료하게 시각화한 것으로 해석한다. 이 글은 불교의 쇠퇴기라고 알려진 조선전기에 한국불교의 전통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왕실여성의 불교후원 가운데 여승 후원자에 주목하여 왕실여성의 후원에 대한 연구를 세분화하고, 한국불교와 불교미술의 발전에 있어 그들의 역할을 드러내어 한국미술사 연구에 새로운 후원자 계층을 편입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Strategy for Application of Geospatial One-Stop (GOS) in Korea

        최경원,유기윤,김정옥 대한공간정보학회 2004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2 No.4

        According to the facility of effective search and user-friendly access to various spatial data by building GIS, the demand for application of information and social effect has been increased. To meet such domestic demands, it has become necessary to develop local, regional, and global SDI(Spatial Data Infrastructure) which can support discovery, access, and use of spatial inform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Many developed countries are implementing and managing GSDI in accordance with their state and purpose. There are two typical international cases; U.S. Geospatial One-Stop and European Geo-Portal. These systems are observed the international standards so they provide standardization and interoperability of GI. In domestic cases, however, each sector is managing separately geospatial data management systems.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proposed implementation approaches of GOS that can provide interchange of geospatial information between supplier and user. This paper focused on standardization, considered technical and political factors and analyzed two cases of GOS such as U.S. and Europe cases into our spatial information environments. It is possible to search and access geospatial data effectively by introducing GO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mote populariz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GIS industry.

      • KCI등재

        밴드갭 광섬유의 모드 간섭을 이용한 모드 분산 분석

        최경원,황인각 한국물리학회 2014 새물리 Vol.64 No.8

        In photonic bandgap fibers, even when they are designed to be single-moded, multiple higher-order modes can be guided in a short length. To get information on the modal dispersion, we measured the transmission spectrum a wavelengths from 1470 nm to 1650 nm for a short-length (< 1 m), misaligned photonic bandgap fiber. An interference pattern was induced by the interference between each pair of different modes, and we could obtain group-index differences among the modes by using a Fourier analysis. We also calculated the effective refractive index and group refractive index of guided modes in the same fiber by using a finite element metho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단일모드로 설계된 광밴드갭 광섬유일지라도 짧은 진행 거리 내에서는 몇 개의 고차모드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들의 분산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긴 길이의 광섬유를 사용하게 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1 m 이하의 짧은 거리에서 발생하는 모드 간섭 신호를 통해 분산 특성을 조사하였다. Superluminescent Diode와 스펙트럼 분석기를 이용하여 1470 nm 에서부터 1650 nm 까지의 파장에 따른 모드 간섭 신호를 측정하고 여기에 푸리에 분석법을 적용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모드 간 군굴절률 차를 도출하였다. 해당 광섬유에 대해 유한요소법으로 유효굴절률과 군굴절률을 구하고, 이 결과를 실험으로 얻어낸 모드 분산 특성과 비교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