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흥복사지와 원각사의 불교사적 의미 - 원각사(탑골공원) 성역화 작업을 위한 제언

        최건업 ( Choi Keonup ) 세계불학원 2024 세계불학 Vol.4 No.0

        고려 남경의 흥복사는 서경의 흥복사처럼 궁궐 인근에 위치하여 국왕과 왕실이 남경을 들를 때마다 순행하여 기도를 올리는 왕실사찰이었다. 이성계는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스승인 무학대사를 위해 흥복사를 중창하여 조계종의 본사로 정한다. 국행불사나 기우제/기청제, 왕실의 재승 등을 봉행했을 정도로 흥복사는 국가사찰이자 왕실의 원찰이었다. 이러한 흥복사는 유학이 통치이념이었던 조선에서 세종의 시대를 거치면서 쇠락하여 이곳에 관습도감이란 관청이 들어서고 악학도감까지 그 터를 차지한다. 성리학의 가치를 등지고 반정을 일으킨 세조는 불교 이념에 의지하여 강력한 군주 중심의 나라를 세우고자 하였다. 왕권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도덕성을 회복하면서 왕권을 강화해야 할 세조에게는 회암사 원각법회에서 생긴 불교적 상서가 정국을 만회할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세조는 특히 원각경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던 터에 원각경 법회에서 여래가 출현하는 이적이 생기자 이를 기회로 삼아 도덕적 권위를 회복하고 왕권에 대한 정통성을 확보하는데 진력하였다. 세종과는 달리 창덕궁에서 정사를 봤던 세조는 창덕궁의 내불당이 경복궁으로 이미 옮겨갔기에 창덕궁궐에 다시 불당을 세우고 싶었을 것이다. 이에 세조는 궁궐 안의 조그만 내불당이 아니라 창덕궁 전면의 흥복사터에 제대로 된 불당을 세워 불교의 재융성을 통해서 전륜성왕으로서 호국의 강력한 군주가 되려고 마음먹었을 것이다. 원각사는 세종대에 수륙재 등이 설행될 때 들어설 자리가 없을 정도로 백성들이 많이 모여들었던 도읍의 중심거점이었다. 여기에 세조는 한글 금속활자를 만들어 실질적으로 백성들이 불교경전을 읽을 수 있도록 했고, 수륙재 등을 통해 백성들에게 재물을 베풀었으며, 가난한 백성을 구제하는 현장으로 만들었다. 그런 일련의 과정 중심에 원각사가 있었다. 세조가 흥복사를 중건하면서 원각이라 이름하여 사액하고 이후 원각사는 국행불사와 왕실원찰로서 수많은 국가행사의 중심이 되었다. 원각사는 시대마다 그 당시 중심 집단들의 주요 활동거점이었다. 조선말 나라가 어지러운 시절에 깨어있는 백성들이 역사의 주체였을 때에는 만민공동회가 개최된 곳이기도 하고, 일제 치하에서는 삼일 독립만세운동의 기치를 열었던 곳이다. 이후 일반인들의 휴식공원으로서, 최근에는 노인들의 휴식처와 노숙자들을 위한 식사제공의 장소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소명을 감안하여 관주도의 성역화 복원사업을 통해 다시금 만인이 모여들고 그들의 희망을 담아내는 공간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Heungboksa Temple in Namkyung[Hanyang], Goryeo, was a royal temple located near the palace like Heungboksa Temple in Seogyeong[Pyungyang] so whenever the king and royal family visited Namkyung, they marched down and prayed. Yi Seong-gye moved the capital to Hanyang and promoted Heungboksa Temple for his teacher, Master Muhak, and decided it as the headquarters of the Jogye Order. It was a national temple and the royal family's original temple to the extent that Heungboksa Temple carried out National buddhism-event, a ritual for rain/clear and the royal family's jaeseung. In Joseon, where Confucianism was the ruling ideology, Heungboksa Temple also declined through the era of Sejong, and a government office called KuanseubDogam was established, and Akhak Dogam took its place. King Sejo, who raised a rebellion against the value of Neo-Confucianism, tried to build a strong monarch-centered country by relying on Buddhist ideology. For Sejo, who had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while securing the legitimacy of the royal authority and restoring morality, the Buddhist miracle from the WongakBeophoe of Hoeamsa Temple becam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make up for the political situation. Since Sejo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Wongakgyeong, he took this opportunity to restore moral authority and secure legitimacy of the royal authority. Unlike Sejong, Sejo, who take care of political affairs in Changdeokgung Palace, must have wanted to build a Buddha hall again in Changdeokgung Palace because the Naebuldang of Changdeokgung Palace has already been moved to Gyeongbokgung Palace. In response, King Sejo will make up his mind to become a powerful monarch of his country as a Chakravartin through the re-prosperity of Buddhism by establishing a proper Buddhist temple at the site of Heungboksa Temple in front of Changdeokgung Palace, not a small Buddhist temple in the palace. Wongaksa Temple was the central base of the town where many people gathered to the extent that there was no place to stand when Suryukjae were performed at Sejong era. On top of that, King Sejo created Hangul metal type so that the people could actually read Buddhist scriptures, gave wealth to the people through Suryukjae, and made it a site of relieving the poor. At the center of such a series of processes was Wongaksa Temple. When King Sejo rebuilt Heungboksa Temple, he named it Wongak, and later Wongaksa Temple became the center of numerous national events as a national Buddhist temple and a royal memorial temple. Wongaksa Temple was the main base of activities of the central groups at that time. It was also a place where the Manmin Community was held when the woke people were the subjects of history in the chaotic days of the country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under Japanese rule, it opened the banner of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Since then, it has been used as a rest park for the general public and has recently been used as a place to provide meals for the elderly and the homeless. In consideration of this vocation of the times, it is necessary to become a space where all people gather again and contain their hopes through the government-led sanctuary restoration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