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인과 및 사회추론발달에서의 장의존-장독립 인지양식의 역할

        崔健壽 한국교육학회 1994 敎育學硏究 Vol.32 No.1

        이 연구의 주목적은 신-Piaget 인지발달 이론에 근거하여 인지발달에 인지양식이 작용하는 지를 알아 보는 것이다. 부차적 목적은 인지발달의 공통수직구조(계열성), 공통수평구조(동시성) 및 분할(비동시성) 등 신-Piaget 이론의 주요 가정들을 한국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국민학교 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20명(각 40명:남자=20,여자=20)을 장의존-장독립 인지양식 집단으로 구분하고 인과추론 및 사회추론 영역에서의 인지발달을 검사하였다. 인과추론 영역에서 장독립 집단과 장의존 집단의 수행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사회추론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밖에 두 집단 간의 여러가지 수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공통수직구조와 공통수평구조의 존재는 한국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해서도 입증되었지만 발달의 속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교육에서의 사랑의 구조 및 과정에 관한 모형 탐색

        최건수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34 No.2

        J. H. Park suggested that Eros and Agape in education could be integrated as one and also, that educational love appears as a personal exchange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Also, E. Spranger’s educational love means Socrates’s reason and Pestalozzi’s love for the ego. So he has suggested a model for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character to explain his educational love on the basis of his own psychology called Verstehende Psychologie. In particular, Park and Spranger have a great common point in that they proposed the possibility of theoretical inquiry on the integrated structure and process of two-pronged love, not relying on erotic love and agape love, that is, Plato and Pestalozzi. However, according to Park s explanation that erotic love as truth and agape love as humanity can be integrated into one structure, the theoretical question is raised as to what is specifically based on.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grated model of Park s educational love based on Spranger s educational love. This is because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Park’s educational love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when analyzed based on the model of Spranger s structure and process, and furthermore, a new model can be explor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 fold. First, this study is aimed to derive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educational love from Park’s explanation about Eros and Agape. Second, to review Spranger’s psychology and then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Park’s educational love and Spranger’s model for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character.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such as the importance of the new model of Park, the applicability in the school fiel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is presented. 정년퇴임기념논문인 ‘교육에서의 사랑의 위치’에서 박중화교수는 인간애로서의 아가페적 사랑과 진리애로서의 에로스적 사랑은 하나의 구조로 통합할 수 있으며, 또한 교육애는 교사와 제자 간의 인격적 교류로 나타난다고 제안하였다. 슈프랑거도 소크라테스의 이성과 페스탈로찌의 인간애를 교사의 사명이라고 하였으며 이러한 교사의 사랑은 인격적 이해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정신과학적 심리학을 바탕으로 두 가지 사랑을 통합할 수 있는 구조 및 과정을 모형화 하였다. 특히 박중화와 슈프랑거는 에로스적 사랑과 아가페적 사랑 즉 플라톤과 페스탈로찌에만 의존하지 않고, 두 갈래 사랑의 통합구조 및 과정에 관한 이론적 탐구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크다. 그런데 진리애로서의 에로스적 사랑과 인간애로서의 아가페적 사랑을 하나의 구조로 통합할 수 있다는 박중화의 설명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무엇을 준거로 하고 있는가 하는 이론적 문제가 제기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슈프랑거의 교육애를 준거로 박중화의 교육애의 통합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박중화의 교육애의 구조 및 과정은 슈프랑거의 교육애의 구조 및 과정에 관한 모형을 준거로 분석될 때에 그 성격이 보다 분명히 규명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하나의 새로운 모형을 탐색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에로스적 사랑과 아가페적 사랑의 통합에 대한 박중화의 설명으로부터 교육애의 구조 및 과정을 먼저 도출해 내는 것이다. 두 번째는 슈프랑거가 제안한 정신과학적 심리학의 특징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셋째는 슈프랑거가 모형화한 인격적 이해의 구조 및 과정을 준거로 박중화의 교육애의 구조 및 과정을 설명하려는 것이다. 결론에서 박중화의 새로운 모형은 그 중요성과 학교 현장에의 적용성 그리고 인격적 관계의 성격 등 그 의의를 중심으로 간단히 요약·제시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아동 사고에 있어서 중심개념구조의 본질과 그 발달

        최건수(崔健壽) 한국교육학회 1998 敎育學硏究 Vol.36 No.2

        신 Piaget 이론가인 Case에 의하면, 연령에 따른 생득적인 정보처리용량 이외에도 문화적 경험에 따르는 특정 개념의 이해가 아동의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수세기선 (counting line) 이라는 개념적 표상체제는 아동의 양적 사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심 개념구조 (central conceptual structures) 라고 간주된다. 지금까지 양적 사고를 포함하여 사회적 인지, 공간적 인지 등 세 영역에서 중심개념구조의 존재가 경험적으로 입증되었고, 최근에는 청소년의 사고에서 중심개념구조의 존재와 그 발달이 연구되고 있으며, 또한 미국, 일본, 중국 등에서 문화간 연구를 통해서도 중심개념구조의 가정이 연구되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 아동들을 대상으로 중심개념구조의 발달현상을 검증하기 위해 양적 사고 및 사회적 사고에서 중심개념구조에 관한 여러 가정과 연구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 Pascaul-Leone 의 인지발달 이론에 관한 고찰 -Case 이론의 시좌에서-

        최건수, 강영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91 公州敎大論叢 Vol.27 No.-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o-Piagetian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proposed by J., Pas- caul-Leone. His theories of 1960s, 1970s, and 1980s are discusse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or- ganismic processing of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Pascual-Leone’ s theory appeares to posit four key mental processes. The first process is the M- operator, which is the capacity for mental energy. The second process is the I-operator, which is the individual’s capacity actively to inhibit or interrupt the activation of task-irrelevant structures. The third process is the F-operator, which is the individual’s capacity to produce a performance as a single, integrated whole, dispite the fact that a number of different structures may have de- termined the overall performance. The fourth process is the E-operator, which comprises the re- pertoire of executive schemes and structures that monitor the mobilization of the M-and I-opera- tor. The main mechanism of cognitive development in Pascaul-Leone’s theory is M-power. Pascaul- Leone linke levels in Piagetian theory to increase in M-power. Essentially, each increase in M-po- wer gives the individual an additional processing slot within which mental operations can take place. Although increases in M-power are the main mechanism of development, there are owhters. For example, developmental results also as fuction of the interaction of the various operators dis- cussed earlier, and especially the E-and I-operator, which handle cognitive conflict. In his research, Pascaul-Leone has used the task of Rho. Pascaul-Leone (1987) criticizes that in- dividual differences and task differences are not explained by neo-Piagetian theories. Case (1985) also acknowledged this question missing in his theory. Marini (1984) has regarded the split as the interaction between experience and cognitive style. This article suggests that Case’s split phenomenon is needed to study by analysing the Pas- caul-Leone’s cognitive style. 본고의 목적은 국내에 소개되어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Case(1985)의 신-Piaget이론의 시좌에서 Pascau-Leone(1969, 1987)의 인지발달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앞에서 설명해 온 Pascaul-Leone이론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그의 초기이론의 주요개념들을 정리하면 1. Witkin (1962)의 인지양식의 개념을 Piaget이론에 도^하여 개인이 과제에 의해 발생된 인 지적 갈등을 처리하는데 있어서의 개인차를 강조하였다. 2. 그는 Piaget의 과제들 간의 내적상관이 낮은 이유는 과제마다 오도적 스키마들이 다르기 때문으로 간주하였다. 3. Baldwin의 주의력 개념을 양적인 스키마의 갯수로 표현하고, 이러한 양적 스키마를 Piaget 의 발달단계에 맞춰 성장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4. 부연하면,이러한 스키마들이 활성화되는 정도 (스키마 활성화치)는 C.F.L및 M(주의력)와 함수로 간주하였다. 5. 그밖에 Piaget가 인지구조를 논리적 구조로 형식화한데 대해서 Pascal—Leone은 스키마들 간의 s〜r식 관계 (구조적 불변성)로 모형화함으로써 인지구조를 최초로 과정적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에 보다 근래의 이론에 대해 살펴 보면 ; 6. Pascaul—Leone은 용량 (capacity)을 유기체의 생물학적 개념으로 간주하고 그것을 정单처 리적 개념인 기능 (skills)과 능력(ability)둥과 구분하고 있다. . 7. 그의 무의식적조작자 (silent operator)에 의하면, 인지적 용량을 M-operator, I-opeator F-operator 및 표의 네가지로 나누고 처음 세가지 (즉,M-, I-, F-)들은 용량으로 그리고 E는 지식정보 (구조, 스키마)로 각각 구분하였다. 부연하면 이들 구인들은 뇌의 틀의 심리 학적 표명화로 간주된다. 8. M-구인은 과제관련 스키마들을 장기 기억고로 부터 내적으로 부풀리는 (boosting)역할을 하고, I-구인은 M-구인을 도와 과제와 무관한 구조돌을 능동적으로 차단해 준다. 그러나, F-구인은 스키마들의 기반(beam)아라고 할 수 있는 묘의 내용들아 현상학적으로 경험되 지 못하도록 폐쇄시킨다. 9. M-power란 M-과 I-용량들이 심리학적으로 표명된 힘으로서, 연령 (성숙)에 따라 그 성 장패턴이 이론적으로 가정되어짐으로써, 이것이 Piaget의 발달단계와 같은 구분을 하게 한 다. 10. M- , I- , F-, 및 E의 주의력 기제들아 서로 작용하는 주의력 기제모형(전략)은 세가지 수준 으로 나눠 설명되었다. 주의력 전략의 첫째는.차단기제(I-opeator)가 그 역할을 하는 것이 고, 둘째 전략은 차단기제가 없이 M-용량을 사용하되 처음부터 적절한 스키마들올 부풀 리지 않다가 적절한 내용을 맞추어 찾아 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셋째 전략은 처음부터 적 절한 스카마들만 찾아내려고 하는 것이다. . 11. M-용량의 성장패턴은 Piaget의 연령단계와 대략 유사하다. Pascaul-Leone 은 이롤 Rho 과제롤 통하여 실험적으로 입중하였다. 12. M-용량의 심리학적 표명화, 즉 M—power는 e+K로 표시되는데, 여기서 e는 스키마를 어 느 주어진 순간에 동시에 활성화시켜서 유지시키는 정신에너지를 의지한다. 뜨는 연령에 따 라 활성화되는 낱낱의 실행 스키마들의 갯수이다. 이들을 제어하는 것은 인지양식으로서 M-조작자가 강하게 격발되는 사람은 스키마를 많이 부풀리게 되어 좋은 수행을 나타내지 만, F-조작자가 강하게 격발되는 사람은 주의력 기반의 테두리롤 폐쇄시키게 됨으로써 스 키마들이 더 부풀려지기 않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F-와 M- 조작자들은 오도과제구조냐 또는 단순해결식 구조냐에 하라 달리 격발되기도 한다. 13. 그러므로 e+K란 Pascaul-Leone의 과제분석에 따르면, 단지 적절한 정보 처리적 스키마 (기능)돌의 갯수로서 구분하는 것이 아니다. e+K란 과제를 수행하는 인식주체의 실제의 용량의 한정(constraints)올 뜻하는 스키마들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이런의미에서 이들은 논리적 스키마라고 하지않고 역뚝적, 창조적 종합에 의하여 내면화된 스키마들로 명명된다. 14. 이러한 스키마들은 실행 및 행위 스키마들 그리고 모수치 스키마들로 구분되는 것들이다. 실행 스키마란 행위의 계열을 계픽하고 감독히:는 것이다. 그러나 행위 스키마란 계획대로 시행하는 스키마로 그 의미가 다르다. 모수치 스키마란 실행 및 행위 스키마들의 계열을 몇개 포함해서 수행을 더 개선할 수 있도록하는 상위의 (over-determined)행위 스키마로 볼 수 있다. 이러한 Pascaul—Leone의 인지발달이론이 C추se의 인지발달연구에 대해 갖는 함의는 여러 사람들 에 의하여 제기되어오고 있다. Pascaul—Leone(1987)은 그의 이론에서 제안한 개인차와 과제의 차아를 다른 신一피아제이론에 서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 이 점은 Case (1985 : 430) 자신도 그의 이론에서 더 보충되어야 할 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Case(1986)는 자신의 인지발달연구에서 나타나는 분할 (split).현상-이는 한 개인이 다른 영역의 두 과제 간에 성취하는 수준이 다른 현상-을 Pascaul- Leone의 인지양식개념을 빌어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논의한 바있다 (최건수, 1989乂 Marini(l9 않)도 사회적 인지영역과 불리적 인지영역 간의 분할현상을 과제에 대한 경험과 Pascad-Leone의 인지양식 간의 상호작용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기초로 본 연구는 Case의 연구에서의 개인차 문제를 Pascaul-Leone의 인지양식 개념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고 앞으로 경험적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을 제안한다.

      • 간주관성의 의미 만들기와 인격형성의 관계 : J.S.Bruner의 문화주의의 관점

        최건수(Gun Soo Choi)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브루너가 문화주의 교육이론에서 인격형성을 시사하는 것들과 관련하여 그의 교육이론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주의의 교육적 접근은 기본적으로 간주관성 및 의미 만들기의 탐구가 그 핵심이다. 간주관성은 아동들이 의미 만들기를 통해 자신의 특유한 견해를 자각하고, 나아가 이것을 준거로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 및 교섭 과정에서 문화의 표준적 신념이나 공공의 판단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교육에 대한 여러 문화주의의 시각들은 의미 만들기의 기회가 아동들에게 공평하게 주어짐으로써 그들이 마음의 힘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관점이라 할 수 있다. 결국, 문화에 의한 마음의 힘의 확대는 일과 권력에 관련된 사회 및 역사의 힘으로부터 자아의 역량을 형성하고 아동들이 정체성과 하나의 위치(입장) 그리고 양심 등의 의미를 구성(이해)하는 것이다. 자아 정체성의 형성, 하나의 위치 찾기, 마음잡기 등의 인격형성은 내러티브(이야기 만들기)가 교육의 과정에 잘 조화되어 적용될 때 실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행동적 목표의 수행(성취결과)으로부터 개인적 역량의 수행(자신의 입장과 의견을 자각하고, 공공의 판단을 결정하는 것)으로 수업의 준거를 옮기도록 교사를 도와줄 때 우리의 교육의 과정은 전환이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runer s educational theory in relation to the suggestion of personality formation in culturalism. The key to the educational approach of culturalism is basically making meanings of intersubjectivity. Intersubjectivity refers to children s awareness of their own unique views through making meanings, and furthermore, achieving the standard beliefs or public judgments of culture in the process of exchanges and negotiations with others. Many perspectives on education of culturalism are the view that children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create meanings fairly so that they can expand their power of mind(self). In the end, the expansion of the power of the mind by culture is to form a culture(competence) of self from the power of society and history related to work and power, and construct(understand) the meaning of identity, one place and conscience. Also,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finding a place and prise de conscience can be realized when narrative(making stories) is applied harmoniously in the process of educa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rocess of our education can be changed when we help teachers gradually move the criteria of instruction from the performance of behavioral goals (achievement results) to the performance of personal competence (to be aware of his or her own place and opinion and to decide on public judg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