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서교사 이미지가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천희선,박지홍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activate the school library by examining how the users’ perceive teacher librarian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tudents in 10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nalyses lead to these findings: the image types of teacher librarians were classified as professional image, active image, and simple-work im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er librarians images on school library user satisfaction. In order to enhance the teacher librarians images and school library user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strive to cultivate the active attitude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 librarians. Also, as the frequency of use is lower, the teacher librarians’ images are viewed as simple work.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nsider various reading events and reading education to raise the frequency of use. This study shows that the teacher librarians’ images have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brary users’ satisfaction and suggests improvement plan for school library activation.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사서교사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 이미지에 따라 학교도서관 이용자만족도를 알아봄으로서 학교도서관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서울, 경기지역 10개의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서교사의 이미지유형은 전문성있는 이미지와 적극적인 이미지, 단순한 업무이미지로 분류되었고 전문성있는 이미지와 적극적인 이미지는 학교도서관이용자만족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단순한 업무이미지는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와 이미지와 학교도서관 만족도는 학교도서관 재이용의사와 추천의도에서도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사서교사이미지와 학교도서관 이용자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서교사의 적극적인 태도와 전문성을 신장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이용빈도가 낮을수록 사서교사의 이미지를 단순한 업무이미지로 보고 있으므로 이용빈도를 높이기위한 다양한 독서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서교사이미지가 학교도서관 이용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파악하고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해외교포 대상 솔리언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재미교포 청소년을 중심으로

        서미,천희선,윤민지,이혜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청소년상담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olian Peer Counseling program for Korean youth living abroad' based on the model of 'Solian Peer Counseling Program for Korean students' to reduce cultural stresses of Korean youth living abroad, and increase their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skills. Precedent studies performed in and outside Korea on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issues of Korean youth living abroad, and other peer counseling programs were examined. In addition, focus-group interviews and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rofessionals who have experiences of working with Korean youth living abroad.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precedent researches and interview analyses, the program has divided into three parts which include the three roles of peer counselors - Friendship, Counselorship, and Leadership.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t was implemented to 20 adolescents, and the assessment tool was given to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measure interpersonal skills, bi-cultural self-efficacy, and multi-cultural ability. After its test operation, participant evaluation was also conduct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and it was reported that scores for all three areas - interpersonal skills, self-efficacy and multi-cultural identity - have increased. For program evaluation, 75% of participants showed general satisfaction and more than 90% answered that they would recommend the program to others. At last,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program, and propose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교포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를 돕기 위해 이들의 문화적응 스트 레스를 줄이고, 다문화적 역량을 키우기 위한 또래상담 역할모형에 기반을 둔 해외교포 대상 솔리언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교포 청소년의 특성 및 심리적 문제, 또래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고, 해외교포 청소년 및 이들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GI)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및 인터뷰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구성요 소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총 '다가가는 친구되기(Friendship)', '대화하는 친구되기 (Fellowship)', '도와주는 친구되기(Leadership)'의 3단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 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미국에 거주 중인 해외교포 청소년 2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을 시범운영하였다. 시범운영 실시 전후로 참여 청소년과 통제집단에 포함된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능력, 자기효능감, 다문화 정체성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프로그램 참 여 청소년들에게는 참여자 관점 평가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 다. 수집한 자료를 독립표본 t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 프로그 램에 참여한 청소년의 대인관계 능력, 자기효능감, 다문화 정체성 점수가 프로그램운영 이전보다 이후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참여자 관점 평가 분석에서도 참여자들의 75% 이상이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며, 90% 이상이 다른 청소년들에게 추천하고 싶다고 밝혀져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프로그램의 의의와 한 계점을 논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