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에 있어서 종합적인 학습시간과 사회과 교육의 연대 가능성

        천호성(Ho-seong CHEO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사회과교육 Vol.43 No.1

        본 연구는 21세기를 대비한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2002년도부터 시작된 일본의「종합적인 학습시간」에 대해 이론적·실천적 검토를 통해 사」교육과의 연대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종합적인 학습시간」과 「사회과」교육에 있어서 양자는 시사적·인류적인 , 지역소재나 지역활용, 지역학습 등 학습내용에 있어서 관련되는 부분이 많다는 점, 그리고 체험이나 견학, 조사, 발표 및 토론 등 학습 방 유사점이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 양자의 연대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br/> 한편 한국의 7차 교육과정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는 「창의적 재량활동」은 설치의 취지나 목적, 추구하고 있는 학습내용과 방법 면에 있어 의 「종합적인 학습시간」과 거의 비슷한 유형의 영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종합적인 학습시간」과 「사회과」교육 연대 가능성에 대한 탐색으로부터 한국에 있어서 「창의적 재량활동」과 「사회과」교육과의 연대 가능성이나 연대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해 보았다.

      • KCI등재

        수업 컨설팅을 통한 교실 수업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천호성(Ho-Seong Cheo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8 사회과교육 Vol.4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선 초등학교의 교과 수업에서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수업 컨설팅의 모형 개발을 통해 교실 수업의 직접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1) 본 연구는 전라북도 장수군 J초등학교의 수업 사례를 선정하여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수업 분석의 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질적 연구(Qualitative case study) 및 실행 연구(Action Research)의 형태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참여형 수업 연구”를 통한 협동적 문제 해결 모형』이 갖는 의의를 다음 2가지 점에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기존의 수업 연구나 수업 컨설팅 모형들이 교사 중심인 반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참여형 수업 연구”를 통한 협동적 문제 해결 모형』은 추출학생을 중심으로 학생의 눈을 통해 수업을 이해하는 학생 중심의 방법이다. 이는 학생의 입장에서 수업이 갖는의미를 조명하고 분석하는 것으로,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수업 컨설팅의 방향과 관점을 교사 중심에서 학생 및 수업 관련 요인 등 다양한 방향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기존의 많은 수업 연구와 수업 컨설팅이 외부의 상급기관에 의해 주도되는 장학활동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유형을 취하지만, 필자가 제시하는 『“참여형 수업 연구” 모형』은 단위 학교가 중심이 되어 단위 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자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는 수업 공개에 대한 거부감이 많은 학교 교직 문화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교실 수업 현장에 보다 적합한 수업 컨설팅 모형으로 자리매김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method of enhancing classroom teaching that can be applicable to all subject matters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aching consulting model.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used to analyze the process of teaching preparation by classroom teachers. The site of this action research was J elementary school in Jangsoo of Jeonbuk province and a teacher's classroom teaching of the school was observed for several weeks. The name of teaching consulting model was 'Participatory Teaching Preparation Model(PTPM),' which was developed by myself. What found in this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this teaching consulting model were as follows: First, one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PTPM was to try to understand teachers' classroom teaching through the eyes of students, whereas the Traditional Teaching Preparation Model(TTPM) was teacher-centered. It was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teaching consulting should be shifted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Second, it was possible to use the PTPM as a bottom-up consulting method by classroom teachers with autonomy, whereas the TTPM was a top-down consulting method that imposed by upper level administrators. Thus, it was fair to conclude that the PTPM could be a very proper teaching consulting method, considering our educational culture in which teachers were very reluctant to open their classrooms for observation.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천호성(Ho-Seong Cheon),박계숙(Gye-Suk Park)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2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2 No.2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다문화가정 학생 4명을 사례로 선정하여 이들이 학교에서 어떻게 생활하며 적응해 가고 있는지에 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자녀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에 대한 관찰과 면담을 주요한 방법으로 하고, 학부모와 공부방 교사 등에 대한 비구조적인 인터뷰를 보조적인 방법으로 활용하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는 학교생활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첫째, 연구대상 3학년 다문화가정자녀 4명중 3명이 학교부적응 현상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학교생활에서 낮은 자존감, 공격적인 성향, 반사회적인 성향, 가정환경 유기(방치, 방임)의 특징을 보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칭찬에 매우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언어나 대화능력에서는 다른 아이들과 비교해 볼 때 학교생활에서 거의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한편 다문화가정과 관련하여 몇몇 가정은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일부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다문화가정 자녀들만을 위한 이벤트성 행사를 원하지 않았다. 또한 다문화가정 구성원들(구체적으로 결혼 이주여성)과 담임교사간의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다는 점도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 지원을 위해서는 학교에서 다문화이해 교육을 체계적으로 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 및 자료의 개발과 지원프로그램의 재정비, 다문화가정 이해에 대한 교사교육, 다문화가정 부모(특히 결혼이주여성)의 한국문화이해교육, 다문화가정에 대한 경제적 지원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how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ed a school life and search for specific directions for supporting them. In this study, We selected 4 elementar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alyze about how they adjust to their school life, and from these case We suggested concrete plan of supporting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used Action Research that the main method of study is observation and interview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 method of study is unstructured interview of school parents and teacher of study room.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in this case 3 of 4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proved to be school maladjustment such as losing interest in study, being bullied, and not getting along with friends. Secondl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ve seen that low self-esteem, aggressive personality, antisocial tendency, neglect (abandonment, leaving alone) of home environment in their school life. Thirdl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reacted positively to compliment. Fourthly, the ability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not problem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children.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the school is in need of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resource, reorganization of the support program,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female marriage immigrants), economic support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 systematic education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 KCI등재

        일본 다문화정책의 정책기조와 특징

        천호성(Cheon, Hoseong),이정희(Lee, Jung-Hi)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와 유사점이 많은 일본의 다문화정책의 정책기조와 특징에 관해 다문화교육과 거버넌스체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일본 다문화사회의 전개과정에 따른 다문화정책과 다문화교육의 가장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원리는 공생을 강조하는 “공생적 다문화주의”로 정리할 수 있다. 공생적 다문화주의의 핵심 내용은 “대등한 관계”와 “함께 살아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본의 다문화정책이 기존의 동화정책으로부터 다문화주의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일본의 다문화정책이 『국가-지방자치단체-기업-민간단체』(교육의 경우, 『정부-지역교육위원회-시민단체-학교』)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유기적으로 대응하는 다문화 거버넌스 체제를 확립하여 시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지방자치단체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다문화정책이나 다문화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면 하나는 우리나라의 다문화정책과 다문화교육이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을 중심으로 계몽 및 사회 적응중심의 정책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관해 명확한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 하나는 우리나라에서 다문화 거버넌스 체제를 만들어 가는데 있어서 하나의 축으로 다문화가족 구성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화된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자질을 발휘하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지역에서의 참여와 공헌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reviewed multicultural policy in Japan with reference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overnance system. In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 cor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Japan’s multicultural policy is the symbiotic multiculturalism, togetherness of multicultural society. Symbiotic multiculturalism means togetherness and comparable relationship in society. We can see from this case that Japan’s mulicultural policy was changed from melting pot to multiculturalism. On the other hand, the system of governance for the Japan’s multicultural policy was formed the network with nation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compan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the case of Japan, Japanese local governments have an important role as the leader to govern Japan’s multicultural policy. It can be said that Japan’s multicultural policy is based on the residents’ living in the their community.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다문화교육 비교 연구

        천호성(Ho-seong Cheo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다문화교육 사례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 양국의 다문화교육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탐색하였다. 탐색 결과 한국의 S초등학교와 일본 아이치현의 사례를 통해 한국의 다문화교육은 “통합주의”를 지향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관리주의”의 입장에서 다문화교육이 실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 다문화교육의 성공 요건으로서 다음 세 가지가 제시 되었다. 하나는 S초등학교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에 있어 차별과 편견의 배제라는 원칙과 이에 대한 실천은 그들과 우리를 구별하지 않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이어져 다문화교육을 성공으로 이끄는 하나의 과정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하나는 일본의 사례분석결과, 개인기록카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지도방법은 지도 대상 학생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 활용함으로써 다문화교육에 있어서 지속성과 체계성을 확보하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ㆍ일 양국의 사례를 종합해 볼 때, 1)교사와 상급학교 등 다문화교육 관련자나 관련기관이 다문화교육을 위한 자료를 공유하는 것과, 2)학교가 지역사회와의 연대와 협력을 통해 다문화교육을 실천해 가는 것은 성공가능성을 높임과 아울러 교육적으로도 커다란 의의가 있다. 개인기록카드를 활용한 지도 방법은 다문화교육에서 지나치게 1회적이거나 이벤트성 행사 중심이라고 비판해온 입장에서 보면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개인기록카드를 활용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한 지도 이면에는 그들에 대한 끝없는 동화의 목적이 숨어있다는 점과 교육대상 학생에 대한 사적인 부분이 데이터베이스화됨으로서 인권문제 등 또 다른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I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e ca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I found out that the Korean school pursues ‘integration’ while the Japanese school in Aichi prefecture pursues ‘management’. The overall findings for the elements of successful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 the administr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Korean school formulates and practices a firm principle of the exclusion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with which the natural school atmospheres of including ‘them’ are prevalent. This principle becomes a process of helping to build successful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ly, the teaching method using ‘personal record cards’ in the Japanese school makes it possible to collect, arrange and utilize the data about students properly; therefore, it helps to maximize the continuity and systemic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ly,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of the Korean and Japanese schools show that it can be successful and educationally meaningful to share the data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teachers and higher level schools and other institutions, and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일본 수업연구의 특징 고찰 - 나고야대학 수업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

        천호성(Cheon, Ho-Seong) 한국일본교육학회 202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일본의 수업연구 방법에 대하여 고찰한 후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수업기록을 중시하며 워크숍형태의 수업협의회(수업분석)로 장기간에 걸쳐 일본의 수업연구를 선도해 온 나고야대학의 수업연구(일본형 수업연구라 칭함)를 범례로 선택하여 검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 수업연구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요약, 정리할 수 있다. 1) 교사들의 자발성과 동료성을 바탕으로 협동적인 전문학습공동체 구축을 통한 수업연구의 방식을 주로 활용한다. 2) 수업연구 과정에서 특정한 목적이나 문제의식을 수업 안으로 가져와 해결해가는 문제해결 형태의 수업연구가 주로 활용된다. 3) 추출학생의 선정 등 학생을 중심에 두고 협의하는 수업연구방식이 특징이다. 즉 이것은 수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변인 중에서도 학생이 중심이 된다는 의미이며, 학습자의 인지적 과정, 학습자의 배움과 성장 등 학생 입장에서 수업의 의미를 해석하고 재해석하는 것이 강조된다. 4) 수업관찰에 의한 기록을 중시하며, 사실적인 기록을 바탕으로 워크숍형태의 수업협의회의 방식이 자주 활용된다. 오늘날 글로벌 시민성의 함양과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목표로 융합형 교육과정이 강조되는 학교수업의 흐름을 감안할 때, 보다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연구가 필요하다. 연구결과 수업연구 방법으로서 학생중심, 기록중심, 문제해결중심, 워크숍 형태의 나고야대학의 수업분석 사례는 수업연구 영역에서 새롭게 주목할 가치가 있다.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method of lesson studies in Japan. In particular, a lesson study by Nagoya University (called a Japanese class study), which has been leading Japan s study through a workshop-type lesson conference (a lesson analysis), was reviewed and analyzed as a case study. The study can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lesson studies into four categories: 1) Based on teachers spontaneity and co-operation, the method of lesson studies is utilized mainl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2) In the course of lesson studies, there are many types of problem-solving studies that bring a particular purpose or sense of problem into the lesson. 3) The focus of Lesson studies is on students. In short, students are centered among various variables, interpreting and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lesson from the standpoint of students, such as learners cognitive processes, learners learning and growth. 4) Classroom meetings are often used based on the records of classroom observation and based on realistic records. Given the global trend of lesson studies in school education where convergence curricula are emphasized today, it is very valuable in the case of Nagoya University s lesson analysis as a course of lesson analysis in the form of student-centered, record-oriented, problem-solving, workshop, etc.

      • KCI등재

        일본 사회과교육과 문제해결학습의 실천

        천호성(Ho-seong Cheo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3

        이 연구에서는 일본 사회과교육 전개과정에서 “사회과의 초심을 일관하는 모임”이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문제해결학습의 실천 활동이 갖는 의의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 4가지 점을 특징으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문제해결학습을 하나의 학습 방법으로만 보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요컨대 생활이나 삶속에서 문제해결의 과정을 삶의 과정으로 연결시켜 이해하고, 보다 넓은 시각에서 학생들에게 문제해결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사회과 교육의 핵심과제이자 임무라는 점을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 둘째, 아이들 한명 한명을 중시하면서 주체적으로 생각하는 학생을 만드는 것을 사회과교육의 가장 중핵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스스로 생각하며 문제를 해결해 갈수 있는 주체적인 인간의 육성이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본다. 셋째, 사회과교육에서 학문의 영역을 초월하여 타교과 와의 통합이나 종합학습을 중시한다. 이점은 일본 교육과정에서 지리와 공민, 역사과의 분리에 의한 사회과의 분리현상과는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올바른 인간, 행복한 사회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신념을 만들어 시행하고 있다. 즉 인간성의 회복 등 인간의 본질적인 면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을 사회과교육에서 매우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review how social studies has been developed in Japan education system, focused on how Syakaikano Shosiwo Turanukukai (社?科の初志をつらぬく?) has employed problem solving learning strategies in their practi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blem-solving learning strategies acquired in social studies subject have a variety of applications in general education stream. Syakaikano Shosiwo Turanukukai has constantly insisted that core mission and essential task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be to encourage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oblem solving process in relation to their daily life, and develop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in general domains. Second, an independent thinker is the most desirable student in social studies. Syakaikano Shosiwo Turanukukai has a strong belief that independent thinkers will face with rapidly changing world because they are aware of their own problems and capable of solving those problems in a more active way. Third, the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re encourage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s is shown in the form of the integrated study or comprehensive learning. Syakaikano Shosiwo Turanukukai takes a different position from those who divid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to civics, geography, and history. Fourth, universal belief in human society is drawn up and educated; who is appropriate man in building a happy society. Syakaikano Shosiwo Turanukukai places an emphasis on the nature of man such as re-humanization in their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생태시민성” 요소 분석 -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장미란(Jang, Mi-Ran),천호성(Cheon, Ho-Seo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4

        이 연구는 전 지구적 생태위기 시대인 오늘날 시민성 함양을 목표로 하는 사회과교육의 내용에 생태시민성의 관점이 어떻게 제시, 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생태시민성 개념 및 요소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내용체계에 반영된 대주제를 선정하였다. 둘째, 생태시민성의 특성을 반영한 요소들이 현 사회과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틀로는 사회과교육 영역에 따른 생태시민성 요소를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총 12개의 대주제 중, 7개의 대주제 9개의 중주제 안에서 생태시민성의 요소를 찾을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3-5학년 교과서에 언급된 요소는 학습내용의 분량과 적절성, 정확성 등에서 매우 미비하였다. 한편 6학년의 <8주제: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단원에 편중 반영되어 있었으나 8주제를 통해‘지속가능한 미래’, ‘세계시민’과 같이 ‘생태시민’의 개념을 학습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단원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기초·기본교육의 근간인 초등 사회과 내용 영역에서 생태시민성의 요소들이 학습 조직의 계열성과 계속성이 반영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 제시하는 것으로 그 영역이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 view of ecological citizenship is presented and implemented in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aimed at fostering citizenship at a time when the global ecological crisis is under way.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2015 revised social-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ways. First, I looked up the relevant sections of how the concept of ecological citizenship appears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Second, I analyzed how factor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citizenship are being implemented in current social-studies textbooks. The analysis frame was created by selecting elements of ecological citizenship according to the social-studies area. We found the elements of ecological citizenship within nine major subjects out of a total of 12 primary social-studies curricula revised in 2015. Specifically, the factors mentioned in the 3rd- to 5th-grade textbooks were inadequate in terms of the amount, appropriateness, and accuracy of the contents. Meanwhile, it was reflected in the sixth-grader"s “The Future of a Unified Korea and Peace in the Global Village” section, but it was analyzed as the most suitable unit for learning the concept of “eco-citizens,” such as “sustainable future” and “world citizens.”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and the scope by developing and presen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reflect the integration and continuity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studies and content areas of bas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