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자산 거래의 물권법적 측면에 관한 연구 - UNIDROIT의 디지털자산 프로젝트 논의를 중심으로 -

        천창민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대학교 法學 Vol.63 No.1

        In recent years, Discussions and legislative activities in each country regarding the regulatory area of virtual assets have been quite active. However, the discussion on the civil law aspects, among others proprietary law aspects of virtual assets is relatively insufficient. Recently, there has been some progress in the related discussion in Korea; however comprehensive review or discussion is still lacking. On the other hand, in foreign countries, the Digital Assets and Private Law Project of UNIDROIT (hereinafter, the “UNIDROIT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since 2020, in order to provide a unified Principles with regard to the proprietary law aspects of virtual assets transactions. Currently, the degree of the discussion has considerably progressed, and the final draft Principles are expected to be adopted in May 2023 after the last working group meeting in May of this year. This Article elaborates on the draft Principles contemplated by the UNIDROIT Project on the definition and categories of virtual assets, the concept of control, acquisition and disposition of virtual assets, custody of virtual assets, security interests in virtual assets and conflict of laws, togeth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preliminary translation of the draft Principles and their key contents. The UNIDROIT Project is expected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legislative actions in the near future, given that the current situation that the civil law aspects of virtual assets are in legal vacuum in most countries. In fact, since Korea has been neglecting the discussion of virtual assets itself, neither civil law nor regulatory legal aspects of virtual assets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Of course, since more than 12 legislative bills on virtual asset markets regulation have been submitted to the 21st National Assembly, it is expected that the related regulatory law will be enacted within this year. However, compared to the regulatory law on the virtual asset markets, it is difficult to find discussions on the civil law aspects, and there is no legislative activity thereon. This situation is largely attributed to the negative view of the Korean government on virtual assets. Accordingly, I think that Korea could not participate in any of the UNIDROIT Project meetings at all, nor did the UNIDROIT Project attract the attention of Korean scholars. In the future, with reference to the UNIDROIT Project, I hope that discussions and research of civil law aspects of virtual assets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academia,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same way as the regulatory law aspects. 근래 가상자산의 규제법적 영역에 관한 각국의 논의와 입법 활동은 제법 왕성하다. 그러나 가상자산의 민사법적 측면 그중에서도 물권법적 측면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그나마 최근 국내에서도 이와 관련된 논의에 약간의 전진이 있으나, 여전히 종합적인 검토나 논의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반해 외국에서는 2020년부터 UNIDROIT를 중심으로 가상자산의 사법적 측면 그중에서도 물권법적 쟁점에 관한 통일된 원칙의 제시를 위한 디지털자산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그 논의의 정도가 상당히 진척되어 있어 올해 5월에 마지막 워킹그룹 회의를 진행한 후 2023년 5월에 최종적인 원칙안이 채택될 예정이다. 이 글은 UNIDROIT가 진행하는 디지털자산 프로젝트에서 제시하는 원칙을 가상자산의 정의와 유형, 가상자산의 지배, 가상자산의 취득과 처분, 가상자산의 보관, 가상자산의 담보권 설정, 준거법에 대해 해당 원칙의 국문시역과 함께 주요 내용에 대한 해설을 소개하였다. 디지털자산 프로젝트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가상자산의 민사법적 측면이 법적 공백 내지 흠결 상태라는 현재 상황을 감안해 보면 향후 개별 국가의 입법에 상당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사실 그간 우리나라에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논의 자체가 많지 않았던 까닭에 가상자산의 민사법적 측면은 물론이고 규제법적 측면의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다. 물론 21대 국회에 가상자산시장 규제에 관한 12개 이상의 의원입법안이 제출되어 있어 올해 안으로 관련 규제법(업법)이 제정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가상자산시장규제법에 비해 가상자산의 물건성에 대한 논의를 제외하고 가상자산의 민사법적 측면의 논의는 매우 적고 입법 활동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은 그간 가상자산에 대한 우리 정부의 부정적 시각에 기인한 점이 크다고 본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UNIDROIT의 디지털자산 프로젝트 논의에 전혀 참여하지 못하였고, 국내 학자들의 주목을 끌지도 못하였다. 향후 UNIDROIT 디지털자산 프로젝트를 참조로 하여 민사법적 측면에서도 규제법적 측면과 같이 학계와 정부 및 국회에서 활발한 논의와 연구가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크라우드세일의 증권법적 쟁점에 대한 고찰 - DAO 사례와 관련하여 -

        천창민 한국경제법학회 2017 경제법연구 Vol.16 No.3

        In recent months, much global attention has been paid to crowd sales also more widely known as initial coin offerings (ICOs), various projects based on the distributed ledge technology (DLT) to raise capital online via social media. The names referring to the raising capital activity through such projects, token sales or initial token offerings imply that although such projects raise capital from the general public; thus are similar to IPOs, they are different in that the investors receive virtual currencies or tokens meaning packaged rights in the projects, instead of receiving securities in exchange for their capital supply. Accordingly, the crowd sale market has persistently and abruptly grown in the grey area of securities regulation. Especially, the number and size of offerings surged from the beginning of this year, showing a serious level of overheating that raises concerns about causing harm to investors. Indeed, Chainalysis reported that from the beginning of this year to August the financial fraud losses from crowd sales reached $225 million, affecting 30,260 investors. As the crowd sale market got overheated seriously, the US and Singapore financial authorities issued an investor warning implying the possibility of regulating crowd sales with securities regulation. On July 25, 2017, the US SEC analyzed the DAO case to conclude that the token issued by the DAO was an investment contract in its report and issued an investor alertto warn investors and the market. Shortly after that, on August 1, the Monetary Authority of Singapore (MAS) unveiled its regulatory position that tokens constitute a collective investment scheme or a debt under the Securities and Futures Act. Most recently, China took a more aggressive stance. On September 4, People’s Bank of China declared that ICOs are illegal, and immediately halted all related activities with banning all conversions of virtual currencies to fiat money. The Korean government also followed suit. Despite such measures, however, the market has not subsided with a significant number of ongoing crowd slaes, which requires caution among investors. In this vein, this article tries to enhance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and fundraising methods ICOs, and look at the DAO report to find out the legal principles the SEC employed to apply securities regulation. Lastly, I explore the impacts on and implications for the Korean market. 최근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기술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나 사업내역을 소셜미디어 등의 인터넷 상에 게시하여 가상통화(virtual currency)나 가상통화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토큰을 매개로 자금을 모집하는 이른바, ‘크라우드세일(Crowd Sale)’이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ICO(Initial Coin Offering), 토큰판매(Token Sale), ITO(Initial Token Offering, 토큰공개)라고도 불리는 크라우드세일은 그 단어적 조합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부․후원형 크라우드펀딩과 유사한 외형을 작출하며, 자금공급의 대가로 투자자(자금공급자)에게 가상통화나 분산원장기술 프로젝트와 관련한 권리들을 패키징한 ‘토큰’을 지급한다. 크라우드세일은 IPO(Initial Public Offering)와는 달리 외형적으로 증권을 발행하지 않고 자금을 모우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ICO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크라우드세일이나 ICO 등 그 어떤 명칭으로 불리든지 그 실질은 사실상 증권규제를 회피하며 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크라우드세일 실무의 핵심이다. 증권규제의 회피에 따라 크라우드세일 시장은 그간 증권규제의 회색지대에서 급속한 성장을 지속하여 왔다. 특히, 올해 들어 크라우드세일의 수와 모집금액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크라우드세일의 과열양상이 심화되어 투자자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실제, Chainalysis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ICO와 관련한 금융사기 피해금액만 2억 2,500만 달러에 달하고 피해를 입은 투자자수만도 30,260명에 달한다고 한다. 이처럼 ICO 시장의 과열양상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자, 미국, 싱가포르, 중국 등의 금융감독당국은 ICO에 대한 증권규제의 적용 가능성과 함께 투자경고를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즉, 지난 7월 25일 미국 SEC는 DAO 사례를 분석하며, DAO가 발행한 토큰이 투자계약증권이라는 분석보고서와 함께, 시장과 투자자에 대한 주의를 요구하는 경고문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8월 1일 싱가포르 금융감독당국인 MAS도 SEC의 입장과 유사하게, 토큰은 싱가포르의 자본시장법상 집합투자증권 또는 채무증권으로 볼 수 있다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가장 최근 입장을 표명한 중국의 조치는 보다 적극적이다. 9월 4일 중국인민은행은, 중국에서의 크라우드세일은 불법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며, 크라우드세일 관련 모든 행위를 즉시 중지하도록 하고, 가상통화를 법정화폐로 전환하는 것 등의 행위 등을 금지하였다. 나아가 크라우드세일을 통해 모집한 금전 내지 수익을 투자자에게 반환하도록 하였다. 우리나라도 이와 유사하게 9월 4일 금융위원회 외 10개 관계기관이 공동으로 크라우드세일이 자본시장법에 저촉될 수 있다는 경고를 하였고, 이에 더하여 9월 29일에는 크라우드세일을 전면 금지하는 조치를 위하였다. 이에, 이 글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우선, 크라우드세일의 개념 및 자금모집 유형과 절차를 살펴보고(Ⅱ), DAO보고서를 기초로 SEC가 분석한 토큰 관련 미국 증권법의 적용법리를 소개하기로 한다(Ⅲ). 끝으로, 크라우드세일에 관한 자본시장법적 분석을 시도하고 우리 금융당국의 입장을 소개한 후 이를 평가하고 한다(Ⅳ).

      • KCI등재

        외국주식의 상장과 투자자 보호에 관한 고찰

        천창민 민사판례연구회 2013 民事判例硏究 Vol.- No.35

        Since 3Nod Digital incorporated under the law of the Cayman Islands listed its shares on the Korea Exchange (KRX) as the first foreign company in August 2007, a total of 16 foreign companies were listed on the KRX as of November 2012. The listing of foreign companies benefit domestic investors because they can trade foreign shares using the same trading method for Korean shares without additional expenses and risk involved in transnational transactions. This also provides Korea with an opportunity to internationalize its stock exchange and the overall capital markets, which will help advance the financial industry. It is, however, certain that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stock exchange entails ‘internationalization of law’, which requires further analyses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PIL”) issues and comparative legal studies. In this respect, this paper reviews several legal and practical issues involved in capital market internationalization with the focus on KRX-listed foreign companies, and presents legal improvements for investor protection. According to relevant Korean laws, foreign companies can list their shares through either ordinary share listing or Korean depositary receipt (“KDR”) listing. As to the issuance and listing of KDRs, this paper explores the following issues: poor regulatory control of the content of the deposit contracts for KDRs which are concluded between foreign companies which intend to list their shares, and the Korea Securities Depository which is the central securities depository in Korea and the sole person who may issue KDRs pursuant to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the legal nature of KDRs and the legal position of KDR investors; incompatibility of non-issuance KDR certificates and the legal regime for intermediated securities; beneficial owners of KDR and their right to issue the certificate of ownership; and legal matters related to when KDRs are to be issued as beneficial interest certificates stipulated in the Trust Act. With regard to the ordinary share listing, this paper examines the followings: two different schemes of ordinary share listing; legal problems embedded in foreign share certificates issued by the uniform securities certificates which are also employed for Korean shares; Article 618 of Commercial Code and its interpretation in terms of the law applicable to transfer and pledge of foreign share certificates in Korea. As the common PIL issues of both KDR and ordinary share listing, the followings were discussed: whether the special provisions for listed companies stipulated in Commercial Code are applicable for foreign listed companies; SROs’ rules and policies to call for amendments to foreign companies’ articles of incorporation; the law applicable to proprietary matters of intermediated securities; applicability of the beneficial shareholder regime; and cross-border takeover bid rules. Since Korea opened its capital markets in 1981, the Korean capital market has accomplished considerable advancement, and has been witnessing positive results in the aspect of internationalization of the Korean stock exchange. From the legal perspective, internationalizing capital markets and stock exchanges means internationalizing capital market-related laws. In this vein, I expect more studies and discussions regarding international capital market law and corporate law to be carried out in Korea. 2007년 8월 케이만군도에서 설립된 중국계 기업인 3노드디지탈이 외국기업으로는 처음으로 한국 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한 이래 2012년 11월 말 현재 16개의 외국기업이 한국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고 있다. 외국기업의 국내증시 상장 시, 국내투자자로서는 국제거래에 따른 높은 수수료와 환전 등에 따른 부대비용을 부담하지 않고도 외국주식을 국내주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국내에서 손쉽게 매매할 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자본시장의 측면에서는 이른바 ‘자본시장의 국제화’, ‘거래소의 국제화’를 통해 우리 금융산업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증권시장의 국제화는 필경 법의 국제화를 수반하고 이는 관련법의 비교법적 연구와 국제사법적 쟁점의 논의를 필요로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는 자본시장의 국제화와 관련하여 우리 증시에 상장된 외국기업을 중심으로 몇 가지 법적·실무적 논점을 고찰하고 투자자 보호를 위해 필요한 부분들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KDR과 원주라는 외국기업의 두 가지 상장방식 중 KDR의 발행 및 상장과 관련하여, 예탁계약서의 내용통제 미비, KDR의 법적 성질과 KDR투자자의 법적 지위, KDR의 불발행과 증권예탁결제 제도와의 상충, KDR 실질소유자명부 작성에 관한 규정 및 KDR 실질소유자의 발행증명서 발급청구권의 문제 등에 관한 쟁점을 검토하고, 신탁법의 수익증권발행신탁에 의한 수익증권으로 KDR을 발행할 경우의 법적 쟁점을 논의하였다. 원주상장의 실무와 관련해서는 우선 원주를 상장하는 방식을 소개하고, 통일규격유가증권용지에 따라 발행된 실물 외국주권과 관련된 법적 문제, 상법 제618조에서 규정하는 외인법 규정과 실물 외국주권의 양도·입질에 관한 준거법 문제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KDR과 원주상장에 공통되는 국제사법적 쟁점으로서 외국기업에 대한 상법상 상장법인특례규정의 적용여부, 회사의 속인법적 문제에 관한 정관변경 문제 및 간접보유증권의 처분에 관한 준거법과 실질주주제도 적용에 관한 문제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상장된 외국기업에 대한 국제공개매수의 연결점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를 통해 향후 자본시장법상 국제공개매수에 관한 규정의 정비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1981년 우리나라가 자본시장의 국제화에 첫발을 디딘 이래 우리 자본시장은 상당한 정도의 국제화를 이룩하였고, ‘거래소의 국제화’도 이제 조금씩 그간의 노력에 대한 결실을 보고 있다. 자본시장의 국제화, 거래소의 국제화는 곧 자본시장법의 국제화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앞으로 국제자본시장법과 국제회사법에 관한 국내의 논의가 보다 더 활발히 전개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P2P대출법의 주요 내용과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천창민 한국상사법학회 2020 商事法硏究 Vol.39 No.1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eroded trust in the traditional financial intermediaries and new types of fintech companies that fused technology and finance have begun to appear one after another. P2P lending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ntech services, and as an alternative financing method among the various fintech types, it has quickly established itself in the real life of the general public. In Korea, P2P lending was introduced in 2007 as the first type of crowdfunding among various types of crowdfundings, and has continued to rapidly grow since 2014. However, the legal structure of P2P lending has been deformed through a loan (Deboo) subsidiary, which has become a general model in the absence of proper normative system governing it. The supervisory authority, i.e.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has guided the side effects of the rapid growth of the P2P lending market from 2017 through an administrative guideline. However, it was not enough to govern the P2P lending market covered by indirect supervision via the administrative guideline that has no binding effect. As a result, the voice of petitions for legislation around the industry strongly grew, and the National Assembly also tried to meet the industry's desire and legislated the P2P Lending Act that is, in the global, the first single Act governing all aspects of P2P lending activities. The Ac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P2P Lending and market practices in Korea. In order to protect borrowers and investors and to approve P2P lending as a novel authorised financial services, the Act takes the legal structure of the P2P lending as indirect loan executed by the intermediar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article first explain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P2P lending market in Korea and the legislative history of the Act (Ⅱ). Next, this article articulates the main contents of the P2P Lending Act by dividing them into the legal structure of the system, entry and business regulation, etc., regulation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borrowers and investors, and infrastructure regulation (Ⅲ). In addition, the article examines and evaluates some issues related to the practices of the current P2P lending market in Korea (Ⅳ), and draws conclusions (V).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전통적인 금융회사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게 되고, 기술과 금융을 융합한 새로운 유형의 핀테크업체들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P2P대출은 대표적인 핀테크 서비스 중 하나로서 여러 핀테크 유형 중 대안금융으로서 가장 빠르게 일반 대중의 실생활에 자리 잡았다. 국내에서는 2007년 비교적 이른 시기에 여러 유형의 크라우드펀딩 중 처음으로 P2P대출이 소개되었고,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이루었다. 그러나 적절한 규범체계가 정립되지 못한 상태에서 대부자회사를 통한 기형적인 모습의 P2P대출시장이 일반적인 모델로 정착하게 되었고, 정부에서는 2017년부터 P2P대출시장의 급성장에 따른 부작용을 행정지도인 가이드라인을 통해 바로 잡고자 시도하였다. 그러나 법적 구속력이 없는 행정지도에 의한 간접적 감독으로는 훌쩍 커버린 P2P대출시장을 규율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업계를 중심으로 입법을 청원하는 목소리가 커졌고, 5개의 법안이 제출될 정도로 국회도 푸른 봄의 열정으로 새로운 금융혁신을 창출하고자 하는 업계의 염원과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였다. P2P대출법은 국회에 제출되었던 5개의 법안을 절충하고, P2P대출이 가진 여러 특징을 반영한 결과물이다. 이용자인 차입자와 투자자를 보호하고 P2P대출을 새로운 금융으로 승인하기 위해 간접대출형으로 그 구조를 설계하고, 단순한 증권발행의 중개에 그치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의 중개업자(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와 달리 직접 차입자의 신용을 평가하여 이자율을 결정하는 등 P2P대출에서 핵심을 담당하는 중개업자(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자)를 새로운 유형의 금융업자로서 그 지위를 한층 강화하는 한편 그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도록 증권형과는 달리 중개업자가 손해배상책임을 지도록 제도가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 P2P대출법의 주요 내용과 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우선 P2P대출법을 제정하게 된 배경이라 할 수 있는 P2P대출시장의 현황과 문제점과 이에 대응한 P2P대출법의 제정 연혁을 소개하고(Ⅱ), 다음으로 P2P대출법의 주요 내용을 P2P대출법이 상정하는 제도의 법적 구조, 중개업자 규제(진입 및 영업 규제 등), 차입자 및 투자자 보호와 관련한 규제, 인프라 규제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Ⅲ). 또한, 국내 P2P대출시장의 실무와 관련하여 쟁점이 있는 항목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P2P대출법의 이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후(Ⅳ), 맺음말을 도출한다(Ⅴ).

      • KCI등재

        유럽 암호자산시장법 연구 - MiCAR의 적용범위와 업규제를 중심으로 -

        천창민 한국상사법학회 2024 商事法硏究 Vol.43 No.1

        2020년 9월 24일 최초로 성안되어 2024년 12월 30일부터 본격 시행 예정인 EU의 암호자산시장법(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 MiCAR)은 전 세계 최초로 단일 법률에서 일반암호자산과 스테이블코인에 관한 공시규제, 업규제 및 불공정거래규제 등을 종합적으로 규정한 법으로서 각국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에서도 MiCAR에 대한 연구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시행 예정인 최종 법안을 기초로 그 적용범위와 업자규제를 천착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이 연구는 우선 적용범위를 물적, 인적, 영토적, 규범적, 시간적 범위로 구분하여 MiCAR가 다루는 주요 쟁점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였다. 전반적으로, MiCAR는 일반암호자산에 대해서는 디지털혁신을 수용하기 위해 규제완화의 입장을 취하지만, 스테이블코인에 대해서는 금융안정과 통화정책의 측면에서 엄격한 규제입장을 취하고 있다. 규제가 완화된 점으로는 기존의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유틸리티토큰 등에 대해서는 MiCAR 제2편의 공시규제를 면제하고, 투자설명서와 달리 암호자산백서에 대해서는 승인 요건이 없을 뿐만 아니라 1년이라는 유효기간도 없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암호자산백서의 내용 또한 투자설명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제가 완화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MiCAR는 암호자산이 기존의 EU 금융규제법이 적용되지 못하는 규제흠결을 보충하기 위한 맞춤형 입법이므로 규제가 없던 것에서 새로운 규제를 신설한 것이 아니라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업규제와 관련하여, MiCAR는 암호자산업을 10가지로 유형화하고, 이러한 암호자산업을 영위하기 위한 인가요건으로 법인 등일 것임을 요구하는 반면 기존의 금융업자 등에 대해서는 은행을 제외하고 암호자산업과 동등한 업무를 영위하는 경우 해당하는 암호자산업을 인가 없이도 관련 정보를 권한당국에 통지하는 것만으로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연구는 2단계 입법을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MiCAR의 규제설계가 주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먼저 가상자산의 유형화와 그 범위를 설정하면서 현재와 같이 개별 법률의 요건을 갖춘 금융상품을 가상자산의 범위에서 배제할 것이 아니라 금융상품 그 자체를 배제할 것을 제안하였다. 가상자산업 자체도 확대해야 함은 물론 그 유형 분류는 현 자본시장의 체계를 따르는 것이 법적 안정성이나 수범자의 편리성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른바, ʻ금가분리원칙ʼ은 한국의 현 가상자산시장의 현실상 곧바로 철폐하기는 어렵고 규제의 시행 이후 중장기적으로 철폐할 것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거래의 법적 확실성을 도모하기 위해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가상자산플랫폼을 통해 보유하는 가상자산투자자 권리(반환청구권)의 사법적 보호를 위한 입법적 조치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EUʼs 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 (MiCAR), which was first drafted on September 24, 2020 and is scheduled to be fully implemented on December 30, 2024, has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as the first law in the world to comprehensively regulate disclosure, service providers, and unfair trading for stablecoins and crypto-assets other than stablecoins in a single special law. Although there have been studies on MiCAR in Korea, there have not been enough studies that have analyzed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and service provider regulation based on the final bill that is scheduled to be implemented. Therefore, this study first categorizes the scope of MiCAR into material, personal, territorial, normative, and temporal scopes, introduces the main issues covered by MiCAR, and attempts to evaluate them. Overall, MiCAR has taken a deregulatory stance on crypto-assets other than stablecoins to accommodate digital transformation, but strict regulation for stablecoins has been adopted in terms of financial stability, monetary policy, etc. Among the relaxed regulations are that utility tokens for existing goods or services are exempted from the disclosure regulations of MiCAR Title Ⅱ, and unlike prospectuses, crypto-asset white papers are not only not subject to authorization requirements but also have no one-year expiration date. The content of crypto-asset white papers is also relatively less regulated than prospectuses.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MiCAR is not a new regulation, as it is tailored to fill a regulatory gap where crypto-assets are not covered by existing EU financial regulation. Regarding business regulation, it is significant that MiCAR categorizes 10 types of crypto services and requires a legal entity to be authorized to operate these crypto services, while existing financial institutions, except banks, can operate crypto industries without authorization if they are engaged in the equivalent business as crypto-asset services by simply notifying the authorities.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MiCARʼs regulatory design, this paper suggests some considerable points for Republic of Korea which is preparing for the second phase of legislation. First, while establishing the classification and scope of virtual assets, this author suggests, financial instruments themselves but not ones that meet the requirements of individual financial law as is currently the case.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scope of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themselves should be expanded, and that their categorization could follow the current capital market system,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legal stability and convenience for the users of the law. The so-called ʻseparation principle between financial services and virtual asset servicesʼ might be difficult to abolish immediately, due to the reality of the current virtual asset market in Korea, and it was argued that it should be abolished in the mid- to long-term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full-fledged regulation. Finally, it was emphasized that legislative measures are strongly required to provide legal protection of the rights of virtual asset investors (right of return) held through virtual asset trading platforms in the Virtual Asset User Protection Act to promote legal certainty of transactions.

      • KCI등재

        명예훼손의 국제재판관할과 준거법 - 일본의 관련 재판례를 소재로 -

        천창민 한국국제사법학회 2023 國際私法硏究 Vol.29 No.1

        국제불법행위, 그중에서도 프라이버시 침해를 포함한 명예훼손은 IT의 발달로 종래의 실물 신문이나 한정적인 시청자를 가진 전통적인 방송보다 빠르게 확산되고, 그 결과 피해도 다양한 국가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등을 통한 명예훼손은 국제재판관할의 판단이나 준거법의 결정과 관련하여 다양한 쟁점을 노정한다. 이 글에서는 일본의 명예훼손과 관련한 재판례를 소재로 삼아 국제재판할과 관련해서는 일본판 부적절한 법정지론을 입법화한 일본 민사소송법 제3조의9에서 규정하는 ‘특별한 사정’과 관련한 쟁점을 중심으로 일본법원이 취한 태도를 소개·평가하였고, 준거법과 관련해서는 법적용통칙법상 명예훼손의 특별연결규칙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관련한 쟁점이 무엇인지를 소개 및 평가하였다. 파칭고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일본회사 유니버설과 그 대표이사가 관련된 최고재판소의 명예훼손 판결과 관련해서는 미국 네바다주 법원에 관련 선소가 있다는 것에 무게를 둔 점과 예측가능성과 유사한 요소를 요구한 점에서 문제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라쿠텐과 라쿠텐의 대표이사와 관련된 동경지법의 재판례에서는 특별한 사정에 관한 개별적인 분석없이 종래와 같이 제반사정을 참작할 때 특별한 사정이 없다는 식의 설시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사건에서는 불법행위 관할의 판단 시 증명 정도와 관련한 쟁점도 소개하며, 향후 이와 관련한 우리 학설도 정립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준거법과 관련된 판례로는 개정 전의 法例에 따른 명예훼손 재판례와 개정 후 법적용통칙법에 따른 위 라쿠텐 판결에서 준거법과 관련한 쟁점을 소개 및 평가하였다. 법례하에서 승마의 기수에 대한 명예훼손을 다룬 동경지법 재판례에서는 전통적인 신문기사에 의한 명예훼손의 경우 그 신문의 배포가 우연적이라면 결과발생지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물론, 동 판결은 당연히 일본법이 준거법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였고 당사자들도 준거법에 대하여 다투지 않았기 때문에 준거법의 쟁점이 판시에 나타난 것은 아니었다. 마지막으로 라쿠텐 판결의 명예훼손과 관련한 준거법 쟁점과 관련해서는 명예훼손의 준거법과 프라이버시 침해의 준거법을 달리 본 것과 관련한 학설을 소개하고 이는 인접한 것으로 통상 명예훼손의 준거법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제시하되, 절충설에서 제시하는 의견도 유념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향후 준거법과 관련한 국제사법 개정 시 명예훼손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요소도 간략히 제시하였다.

      • KCI등재

        법정채권의 준거법 분야 「국제사법」 개정 검토 - 주요국 국제사법 관련 규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

        천창민 한국국제사법학회 2022 國際私法硏究 Vol.28 No.1

        In 2001, when full-fledged amendments were made to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PILA) in Korea, there were relatively few revisions in the field of non-contractual obligations compared to the field of contracts. Compared to the previous PILA i.e., Seopwoesabeop, no substantive amendment to the essential part of the connection factors in the field of non-contractual obligations. Accordingly, the PILA was intended to provide mere separate articles for negotiorum gestio, unjust enrichment and torts, which embody the location of cause of the acts that was the connection fact of non-contractual obligations in the Seopwoesabeop. Of course, there was some advanced aspects in the PILA compared to the Seopwoesabeop, such as the ex post change of the applicable law, the accessory connection,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mmon habitual residence as new connection factors. The reason that any provision for special connection rules for specific types of torts has not been newly placed in the PILA does not lie in the no necessity, but discussion and consensus as for the types of torts and connection rul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types of torts were not sufficiently progressed and formed. The other reason is that related substantive civil laws or special laws have not been sufficiently developed in the field. However, 2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fully revised PILA, and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s in Japan, China and Taiwan in Northeast Asia that completed modernization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later than Korea introduced specific rules for torts. Besides, it is time to consider how to legislate the established precedents of international torts in terms of improving predictability. In addition, in the field of substantive law, the Product Liability Act came into effect on July 1, 2002, and the need to introduce separate connecting factors for torts in relation to the international product liability has increased. Accordingly, in order to examine issues to be considered when revising the PILA in relation to the special rules for non-contractual obligations, this paper comparatively reviews the rules for non-contractual obligation under the Rome II Regulation and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of Switzerland, Japan, China and Taiwan, and suggests implications that could be referenced in the revision of the PILA. In the field of non-contractual obligations where party autonomy is allowed only to a limited extent, the need to enhance legal certainty and predictability is superior to that of the contract field.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is that although the exact outcome of a dispute cannot be known, the parties can control their legal risks to a certain extent by allowing them to have predictability as for which law will govern their legal relations. This kind of function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is a more necessary where party autonomy is limited. In this regard, it is suggested that the current connection policy that makes the connection factor of general torts too advantageous to victims needs to be balanced.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trend of modern tort liability is more concerned with the protection of victims. In particular,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more clearly required in the field of special torts where consideration of substantive law has more influence on the connection policy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2001년 「국제사법」으로 우리 국제사법을 전부개정하였을 때, 법정채권 분야는 계약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개정이 많지 않았다. 구 「섭외사법」에 비해 사무관리, 부당이득, 불법행위로 조문을 분리하여 규정하였을 뿐 연결점의 본질적인 부분에 대한 개정은 없었다. 이에 따라 국제사법은 법정채권과 관련한 섭외사법상 연결점이던 ‘원인사실발생지법’을 학설에서 구체화한 사무관리지법, 부당이득지법, 불법행위지법을 별도의 조문으로 각각 규정하는 방식을 위하였다. 물론 준거법의 사후적 변경, 종속적 연결, 공통상거소지법을 새로운 연결점으로 도입하는 등 섭외사법에 비해 진보한 측면도 없지 않지만, 법정채권의 연결점과 관련하여 이 같은 소폭의 개정만 하고 주요국의 사례와 같이 불법행위와 관련하여 유형별로 세분화된 특별연결규칙을 두지 않은 것은 그 필요가 적었던 것이 아니라 불법행위의 유형과 그 특성에 부합하는 연결규칙에 대한 논의와 공감대가 충분히 진행·형성되지 못하였고, 실질법 분야에서 관련 민법이나 특별법의 발전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전부개정된 국제사법의 시행 이후 20년이 흘렀고, 우리보다 늦게 국제사법의 현대화를 완료한 동북아의 일본이나 중국, 대만 등의 국제사법은 법정채권 분야에서 보다 정치한 연결규칙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간 불법행위 분야에서 의미 있는 판례가 축적되어 예측가능성 제고 측면에서 확립된 판례에 대해 이를 어떻게 입법화할 것인가를 고려할 때가 되었다. 또한 실질법 분야에서도 2002년 7월 1일부터 「제조물 책임법」이 시행되어 국제제조물책임법 등과 관련한 특수불법행위의 개별적인 연결점을 도입할 필요성도 높아졌다. 이에, 이 글에서는 법정채권 분야의 연결규칙과 관련한 국제사법 개정 시에 고려할 쟁점을 점검하기 위하여 로마Ⅱ규정, 스위스, 일본, 중국, 대만의 국제사법 규정상 법정채권 관련 연결규칙을 비교법적으로 분석하고 개정 시 참고할 수 있는 함의를 제시한다. 당사자자치가 제한적으로만 허용되는 법정채권 분야에서 법적 확실성과 예측가능성 제고의 필요성은 계약 분야에 비해 월등하다. 국제사법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분쟁의 정확한 결과는 알 수 없지만 자신이 어느 국가의 법률에 의해 판단될 것이라는 것에 대해 예측가능성을 가질 수 있게 함으로써 자신의 행위에 따른 법적 위험을 일정 정도에서 통제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이는 당사자자치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 더 필요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일반불법행위의 연결점을 피해자에게만 너무 유리하도록 하는 현재의 연결정책은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현대 불법행위책임의 경향이 침해법익에 대한 피해자 보호 쪽에 더 관심한다는 점도 아울러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러한 특성은 실질법적 고려가 국제사법의 연결정책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특수불법행위 분야에서 더 뚜렷하게 요구되는 사항이라는 점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증권업 진입규제의 개선에 관한 고찰 -증권업 규제의 연혁적 고찰을 겸하여-

        천창민 한국금융법학회 2018 金融法硏究 Vol.15 No.1

        The main purpose of modern banking regulation is to prevent system risk, while that of the securities businesses regulation is to protect investors and efficiency of capital market. Therefore, the entry regulation of securities businesses has a pivotal role to prevent unsuitable firms from doing securities businesses in the capital market enhancing investor protection and promoting market efficiency. Securities firms are superior to investors in terms of information and therefore are in conflicts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agency theory. Accordingly, the proper and efficient entry regulation of securities firms is necessary to secure investor protection and the soundness, fairness and reliability of the capital market. However, the current entry regulation of securities firms under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FSCMA") is unreasonably strong. Currently, entry units are excessively subdivided, which in practice acts as an entry barrier and hindrance to business extension. For instance,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individual entry unit itself is not meaningful enough to be able to perform specific services only if it has to receive multiple unit authorisation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unlike the original purpose of deregulation, the level of entry regulation has been substantially higher. In this respect, it would be desirable to significantly simplify the entry unit of the securities businesses, as in the case of U.S. and U.K., which could ensure the business scalability inherent in the capital market. In addition, the entry capital requirements for entry must also be significantly reduced. This is because the strict and heavy entry capital requirement deter financial innovation and diversity in the capital markets Of course, some entry units that are at a high risk or in need of higher investor protection, the entry capital requirements should be relatively high. Even in this case, however, it is desirable that the absolute level of the entry capital requirement should be significantly mitigated. The current high entry regulation is partially due to the policy consideration to foster the securities industry through the restriction of competition and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securities industry. However, for the creative risk taking and the emergence of new securities firms operating in various sectors, material mitigation of entry capital requirements is essential. In short, the license system for the securities businesses should be simplified, and the entry barriers should be lowered. 현대 은행업 규제의 주목적은 시스템위험의 방지에 있는 반면, 증권업 규제의 주목적은 투자자보호와 자본시장의 효율성 도모에 있다. 이에 따라 증권업 진입규제는 부적격한 증권업자의 진입을 통제함으로써 시장과 투자자의 신뢰 도모와 효율성 제고를 목표로 한다. 증권업자는 투자자에 비해 정보면에서 우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자자와 이해상충 관계에 있다. 따라서 투자자보호와 자본시장의 건전성, 공정성,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증권업자에 대한 적절한 진입규제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행 자본시장법과 같이 지나치게 세분화된 진입단위하에서는 동시에 복수의 인가를 받아야만 특정업무가 가능할 정도로 개별 진입단위 자체의 의미가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 결과, 당초 목적인 진입규제의 완화가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진입규제가 강화되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자본시장 고유의 업무확장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외국 사례처럼 증권업자의 진입단위 자체를 대폭 단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입에 필요한 물적 요건, 특히 진입자본 요건을 대폭 완화해야 한다. 금융혁신과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는 진입자본 요건이 엄격해서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영위업무의 위험도가 높거나 투자자보호 필요성이 큰 일부 진입단위에 대해서는 자기자본 요건이 상대적으로 높아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자기자본 요건의 절대수준은 현재보다 대폭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의 높은 진입규제는 과거 경쟁의 제한을 통한 증권산업의 육성 및 증권업의 신인도 제고를 위한 정책적 판단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창의적인 위험인수와 다양한 섹터에서 활동하는 증권업자의 출현을 위해서는 물적 요건의 대폭적인 완화 조치가 필수적이다.

      • KCI등재

        미국의 Regulation Crowdfunding에 관한 고찰

        천창민 한국금융법학회 2015 金融法硏究 Vol.12 No.3

        Crowdfunding is a compound word of "crowd" and "funding", meaning a practice where those in need of money raise small-scale funds from the general public via intermediaries mostly over the internet. In general, crowdfunding is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funding activities and consequent benefits in return: donation-based, reward-based, lending-based, and securities-based crowdfunding. The CROWDFUND Act, included in the JOBS Act Title III on 5 April 2012, is the law establishing the rules applicable to securities-based crowdfunding in the U.S., and it mandated the Securities Exchange Commission ("SEC") to prepare for the implementing rules for the CROWDFUND Act. On 30 October 2015, at last, SEC adopted the long-waited implementing rules for the CROWDFUND Act, Regulation Crowdfunding. Meanwhile, Korea also set up its securities-based crowdfunding regime by amending to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FSCMA"). The Korean crowdfunding regulation embedded in the FSCMA has been prepared modeling after the CROWDFUND Act. Therefore, both Korean and U.S. crowdfunding regulations share many common features. In someimportant, specific areas, however, it seems that some deficiencies are found in the Korean regime compared to the U.S.'s. In this regard, this article tries to overview some crucial aspects of Regulation Crowdfunding from the perspectives of issuers, investors and intermediaries in Regulation Crowdfunding. After exploring Regulation Crowdfunding and finding several regulatory gaps between the Korean and U.S. regulations, this article concludes with comments which may rectify the gaps. 지난 10월 30일에 채택된 Regulation Crowdfunding(이하,“Reg CF”)은Jumptstart Our Businesses Act(이하,“JOBS법”) Title 3에 편재된 CROWDFUND 법1)의 시행규칙이다. 2012년 4월 5일 JOBS법이 제정된 이후 3년 6개월여 만에 완성된 Reg CF는 CROWDFUND법에 규정된 사항을 보다 명확하게 하거나 법에서 SEC(Securities Exchange Commission)에게 위임한 사항을 규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입법체계상 시행령이 갖는 기능과는 달리, Reg CF는 사실상 미국의 증권형 크라우드펀딩2) 제도에 관한 모든 세부구조를 설계하는 규범으로서 그 자체로 완결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미국의 크라우드펀딩 제도는 Reg CF만 보아도 그 제도의 처음과 끝을 알 수있을 정도로, Reg CF는 매우 정치한 제도설계를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2015년 7월 24일 개정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자본시장법”)에 의해 도입된 한국형 크라우드펀딩 제도3)는 Reg CF안이 공간되기 전4) CROWDFUND법에 구현된 규제철학을 바탕으로 설계되었다.5) 이에 따라, 자본시장법상 크라우드펀딩 제도는 미국의 제도와 상당히 유사한 구조를 띠고 있다. 예컨대, 발행인의 연간발행한도, 투자자의 연간총투자한도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세부적인 내용면에서는 양국의 제도가 차이를 보이며, 특히 Reg CF에 규정된 의무공시 내역이나 최소모집기간, 조기마감요건, 대화채널규제, 판촉인규제, 광고규제 등은 향후 우리나라 크라우드펀딩 제도의 개선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판단된다. 이에, 이 글에서는 미국 크라우드펀딩 제도의 세부내용을 규정하고 있는Reg CF의 주요내용을, 발행인, 투자자, 중개기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크라우드펀딩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제도의 핵심내용을 개관함으로써 이해의 편의를 돕고자 한다(Ⅰ). 다음으로, 발행한도, 발행인의 범위등 발행인과 관련된 규제를 고찰하고(Ⅱ), 이어 투자자와 관련한 제도의 주요내용을 소개하기로 한다(Ⅲ). 그리고 중개기관과 관련한 규제 내역을 살펴본후(Ⅳ), 끝으로, 비교법적 관점에서, 한미 크라우드펀딩 제도를 간략히 평가하고 우리 제도의 과제에 대한 논점들로 맺는 말에 갈음한다(Ⅴ).6)

      • KCI등재

        미국의 크라우드펀딩 규제 변화와 함의에 관한 연구 면제발행 규제의 개선에 관한 논의를 겸하여

        천창민 은행법학회 2023 은행법연구 Vol.16 No.2

        2020년 3월 4일 미국의 증권감독당국인 SEC는 우리나라가 직접적인 모델로 삼은 Reg CF을 포함한 면제발행(exempt offering) 규제 전반을 개선하여 보다 많은 기업이 크라우드펀딩을 포함한 사적 자본시장(private capital markets) 영역에서 증권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가능하도록 하려는 개선법안인 “사적시장에서의 자본에 대한 접근 향상을 통한 자금조달의 촉진과 투자기회의 확장”(이하 ‘개선법안’)을 공간(公刊)하였고, 2020년 11월 2일 동 개선법안이 확정되어 2021년 3월 15일부터 동 개선법안에 포함된 개선법의 개정내역이 시행되고 있다. 동 개선법은 전반적으로 규제완화의 기조하에서 미국 증권법상 면제발행과 관련한 규제 간의 규제차익과 규제의 복잡성을 제거함으로써 투자자의 투자기회와 발행인의 자본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미국의 개선법상 크라우드펀딩 관련 내용은 발행한도를 대폭 상향하고, 투자한도의 계산에서 전문투자자의 한도를 없애고, 일반투자자의 경우에도 투자한도가 상향될 수 있는 방향으로 그 산식을 개선하였다. 그리고 구두에 의한 광고도 허용함으로써 오프라인을 통한 구두광고를 통해 발행인이나 발행인의 대리인이 보다 효과적으로 크라우드펀딩을 알릴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제도로서 잠재적투자자의 투자의향을 점검할 수 있는 투자의향점검(testing-the-water) 제도를 도입하여 크라우드펀딩 전에 그 성공 여부를 미리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제도적으로 볼 때 개선법상 가장 큰 변화라고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개선법은 유럽에서 허용하고 있는 크라우드펀딩기구 제도를 도입하여 발행인의 주식사무 및 주주관리의 편리와 벤처캐피탈 등을 통한 추가적인 자금조달 시 다수의 주주가 존재한다는 사실로 인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였다. 우리나라의 현 자본시장법상 크라우드펀딩 제도는 2013년 제도 도입을 위한 논의 시 기존의 증권규제 논리에 입각하여 크라우드펀딩이 설립 초기기업의 위험증권을 발행하는 시장이라는 점에서 강력한 규제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설계되었다. 이는 미국도 동일하나, 광고규제를 포함하여 우리나라는 일부 측면에서는 미국보다 더 엄격하게 제도를 설계한 측면도 없지 않다. 물론 그간 수차례 법령 등을 개정하여 규제완화를 시도하였으나, 대부분 땜질식 대증요법과 같은 방식으로 체계적인 제도개선에 대한 검토가 부족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미국의 금번 개선법상 크라우드펀딩 제도와 사적 자본시장 제도 전반의 정비는 우리 크라우드펀딩 제도와 사적 자본시장 정비에 상당한 함의를 가진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