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접보유증권의 국제재판관할과 준거법

        천창민(Changmin Chun) 한국국제사법학회 2013 國際私法硏究 Vol.19 No.1

        오늘날 투자자는 주권, 채권 등의 실물 유가증권을 자신이 직접 보유하지 않고 거래 증권사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를 예로 든다면, 투자자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한국자동차라는 회사의 주식을 증권사를 통해 매수한 경우 그 매수주식의 주권은 투자자에게 교부되지 않고 중앙예탁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이하, “예탁결제원”)에 계속 보관되며 투자자는 거래한 증권회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예탁결제원에 보관·예탁된 해당 주권을 공유권 및 간접공동점유라는 형식으로 보유하게 된다. 이를 간접보유시스템이라 하며 간접보유시스템을 통해 보유된 증권을 간접보유증권이라 한다. IT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전자증권화 내지 무권화·부동화가 진전되면서 유가증권보유 형태도 직접보유에서 간접보유로 변하게 된 것이다. 한편, 종래 섭외적 요소가 있는 증권매매 및 증권담보거래 등과 관련한 물권적 측면에 대해서는 그 연결점으로서 목적물 소재지법(lex situs)을 유가증권에 적용하여 유가증권의 소재지법(lex rei cartae sitae)에 의한다는 것이 전세계적인 통설이다. 그런데 증권소재지법을 간접보유시스템에서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는 해당 사안에 가장 밀접한 관련을 갖는 연결점을 찾고자 하는 국제사법적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증권소재지법은 간접보유증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전세계적인 학계 및 실무계의 조류이다. 이를 반영하여 헤이그국제사법회의와 유럽연합은 헤이그유가증권협약, 결제완결성지침 및 금융담보지침에서 간접보유증권에 관한 명문의 연결규칙을 도입하였고, 독일, 미국, 캐나다, 스위스, 대만 등도 국가적 차원에서 간접보유증권의 물권적 측면에 관한 명문의 연결규칙을 규정하기에 이르렀다. 비록 유럽연합의 결제완결성지침, 금융담보지침 및 독일의 예탁법(Depotgesetz)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결점과 헤이그유가증권협약, 미국, 캐나다, 스위스, 대만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결점이 동일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간접보유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증권소재지가 타당한 연결점이 될 수 없다는 인식 하에 이를 포기하고 ‘관련중개기관’을 중심으로 한 이른바 ‘PRIMA’ (Place of Relevant InterMediary Approach) 원칙을 기초로 연결점을 구축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간접보유증권 거래는 대규모의 빈번한 거래 및 서로 연계된 금융기관의 도산에 따른 시스템 위험의 증가 등 그 특수성으로 인해 상당한 예측가능성(predictability)과 사전적인 법적 확실성(ex ante certainty)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행 국제사법의 해석만으로는 간접보유증권 거래에 관한 명쾌한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국제사법에 간접보유증권의 물권적 쟁점에 관한 명문의 연결규칙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명확한 연결규칙의 도입으로 거래당사자와 제3자에게 예측가능성과 법적 확실성을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불필요한 분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권거래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고에서는 향후 예정된 국제사법의 개정과 관련하여 간접보유증권의 물권적 쟁점에 관한 연결규칙의 신설안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한 기존의 유가증권 관련 규정의 개정안을 함께 제시한다. 간접보유증권의 국제재판관할에 관하여는 별도의 특별관할 규정을 둘 필요가 없음을 규명한다. In the modern era, investors usually do not hold securities certificates such as share certificates and bond certificates by themselves but hold them indirectly through intermediaries like securities firms and banks where they have securities accounts. For instance, when a Korean investor purchases certain share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the shares certificates he bought are not distributed to him but are held with and safe-kept at the Korea Securities Depository (“KSD”), the sole central securities depository in Korea. He indirectly holds the share certificates in custody with the KSD through his intermediary in the form of co-ownership and co-possession. The securities holding pattern has changed from a direct to indirect one, coupl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a private international law (“PIL”) analysis, the conventional common view was that proprietary aspects of securities transactions with foreign elements should be governed by the law of the place where securities certificates are located (the lex cartae sitae). However, it is also a common view that the lex cartae sitae cannot be applicable to indirectly held securities, also known as intermediated securities, because one of the fundamental purposes of PIL - finding a closest connection with the questions in dispute - cannot be attained if the lex situs rule applies to intermediated securities. Hence, the Hague Conference and European Union adopted the Hague Securities Convention, Securities Settlement Directive, and Financial Collateral Directive, which abandon the lex cartae sitae as the proper connecting factor and instead introduce specific PIL rules tailored for intermediated securities. The United States, Germany, Canada, Switzerland, and Taiwan also take the same statutory measures of adopting special PIL rules for intermediated securities. The PIL rules introduced by such countries and international and regional instruments, though different in detail, at least have the common feature in that they give up the lex cartae sitae and adopt the Place of Relevant Intermediary Approach (“PRIMA”), which focuses on relevant intermediaries as the most appropriate connecting factor in determining the law applicable to the proprietary aspects of intermediated securities. Intermediated securities transactions involve massive, frequent and speedy deals. The intermediated system could face systemic risks due to complex linkage between intermediaries if an intermediary in the system becomes insolvent. Thus, such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d securities transactions and the intermediated system require substantial predictability and ex ante certainty. This necessitates a clear and specific PIL rule for proprietary aspects of intermediated securities in the future Korean PIL Act because application of the PRIMA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Korean PIL Act has limitation. A clear connecting factor for intermediated securities in the Korean PIL Act will bring predictability and ex ante certainty to relevant parties and third parties. Thus it may prevent unnecessary disputes in advance and contribute to vitalisation of cross-border securities transactions. In this respect, this paper presents a proposal for new PIL rules for intermediated securities in relation to the expected amendment to the Korean PIL Act.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for a special jurisdiction rule for intermediated securities in the Act.

      • KCI등재

        증권형 및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제도의 규제차익에 관한 연구 - 스타트업의 자금조달 활성화 관점에서 -

        천창민(Changmin Chun) 한국기업법학회 2021 企業法硏究 Vol.35 No.1

        지난 2020년 8월 27일부터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내지 P2P대출 행위를 규율하는 온라인투자연계금융법이 시행됨으로써 자본시장법에 의해 규율되고 있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과 더불어 자금제공자(투자자) 측면에서 투자성을 수반하는 투자형 내지 수익추구형 크라우드펀딩 제도의 법제화가 완성되었다. 온라인투자연계금융법은 P2P대출을 대안적 중소서민금융을 위한 제도로 도입한 측면이 있지만, 개인인 중소서민뿐만 아니라 법인이나 비법인 사업체를 운영하는 업주들도 P2P대출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대출형 크라우드펀딩도 증권형 크라우드펀딩과 같이 자금조달 생태계의 제일 아래쪽에 위치한 스타트업의 중요한 대안적 자금조달 수단으로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증권형과 대출형 크라우드펀딩은 자기자본과 타인자본 조달 수단이냐로 구분할 수 있겠지만, 근본적으로, 양자 모두 스타트업의 자금조달 수단이라는 점에서는 경제적으로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양제도의 규제논리와 규제차익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인지에 관한 이론적·정책적 측면의 연구는 향후 양제도의 발전과 스타트업의 활발한 자금조달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 논문은 제도가 도입된 후 지난 5년간의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시장현황을 분석하며, 시장이 제도 도입의 취지에 따라 주로 3년 이하의 스타트업의 자금조달 수단으로 안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금조달 금액도 주로 3억원 이하의 금액을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조달하고 있으며 일반투자자도 100~200만원 정도의 소액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시장은 대출총액이 누적기준 10조원에 달할 정도로 매우 빠른 성장을 이루었으나, 빠른 성장의 그늘과도 같이 연체율도 20% 이상에 달할 정도로 그 부작용이 여럿 드러나고 있음을 소개하였다. 온투법 시행에 따라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시장의 부작용이 어느 정도 안정화 되고 다시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느냐에 따라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시장의 재성장 여부가 달려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 논문은 증권형과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규제의 기본적인 구조와 주요내용을 설명하고, 다음으로 스타트업의 자금조달 수단으로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민형배 의원안과 금융위원회의 발전방안에서 개선하고자 하는 쟁점을 간략히 소개한다, 개선방안으로서, 이 논문은 발행한도 산정방식과 전매가능성 기준의 개선, 발행적격증권 및 발행인의 범위 확대, 광고규제의 완화에 대한 논점을 전개한다. 향후 민형배 의원안의 국회 논의시 이와 관련된 논점도 같이 논의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를 통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이 어려운 시기에 스타트업의 중요한 자금조달 수단으로 애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Online Investment-linked Finance Act also known as the P2P Lending Act which regulates P2P lending i.e., lending-based crowdfunding activities became effective from August 27, 2020 through which, along with securities-type crowdfunding, the legislation of investment-type or profit-seeking crowdfunding systems that involve investment in terms of money providers i.e., investors has been completed in Republic of Korea. The Online Investment-linked Finance Act introduced P2P lending as an alternative system for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finance, but not only individual small and medium-sized people but also business owners who run businesses could use P2P lending; thus lending-based crowdfunding could function as an important alternative financing tool for startups. In this regard, securities- and lending-based crowdfunding can be distinguished by equity and debt capital formation methods, but fundamentally, both are economically similar in that both are start-ups" financing methods. Therefore, a theoretical and policy study on how to understand the regulatory logic and regulatory arbitrage of both systems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both systems and as facilitation of financing means for startups. This paper analyzes the status of the securities-based crowdfunding market over the past five years after the system was introduced, and confirms that the market is well settled as a means for financing startup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foundation history like the introduction purpose of the system. In addition, the amount of funding is mainly raised through crowdfunding with less than KRW 300 million, and ordinary investors are also investing small amounts of about KRW 1 to 2 million. The lending-based crowdfunding market has very fast grown, with the total amount of loans reaching KRW 10 trillion on a cumulative basis, but several side effects have been revealed, with the default rate reaching more than 20%, just like the shadow of rapid growth. This author believe that the re-growth of the lending-based crowdfunding market will depends on how much such side effects of the P2P lending market stabilize and how much confidence can be restored in the market. Next, this paper explains the basic structure and main contents of securities- and lending-based crowdfunding regulations, and then briefly introduces issues that are included in MP Hyungbae Min"s draft bill amending the Capital Markets Act and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s development plan of securities-based crowdfund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this paper further explores regulatory improvement issues maintained by this author that are points on the overhaul of calculation method of the issuance limit, improvement of the criteria for resaleability, expansion of eligible securities and issuers, and deregulation of advertisement regulation. It is hoped that the parliamentary discussion of MP Hyungbae Min"s draft bill will also include the issues I raised in this paper in the future. Through this, I hope that securities-based crowdfunding can be used as an important means of financing for startups in times of difficulty.

      • KCI등재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제도 도입 1년의 성과와 법적 과제

        천창민 ( Changmin Chun ) 한국금융법학회 2017 金融法硏究 Vol.14 No.2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강화된 금융규제로 은행의 대출 여력이 저하되었고, 신생·벤처기업 등 중소기업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또한 금융위기를 타개책으로 미국과 EU를 비롯한 금융선진국들의 양적 완화 정책을 펴기 시작함에 따라 제로금리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에 따라 투자자 측면에서는 새로운 수익창출이 가능한 금융상품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영국과 미국 등을 중심으로 인터넷상에서 정보게시자와 정보이용자의 쌍방향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는 Web 2.0 기술을 접목한 후원형(보상형), 대출형 크라우드펀딩이 빠르게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2012년 4월 5일에 제정된 미국 JOBS(Jumptstart Our Businesses Startups)법 제Ⅲ편에서 규정하고 있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제도는 제도적 측면에서 세계각국의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제도 구축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고, 이에 따라 상당수 국가에서 미국과 유사한 취지의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제도를 구축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도 2015년 7월 24일 자본시장법을 개정하여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제도의 기초적인 구조를 설계하였으며, 자본시장법 시행령과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등을 통해 제도의 내용을 보다 구체화하였다. 한국형 크라우드펀딩 제도는 동 시행령의 시행일인 2016년 1월 25일에 맞추어 개시되었고, 지난 2017년 1월 25일을 기점으로 제도 도입 1주년이 되었다. 지난 1년간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이 업력 3년 이하의 신생·벤처기업 등에게 주요한 자금조달 경로로 안착하고 있는 등 제도의 유용성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제도의 규제강도가 강하여 제도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고 이에 따라 보다 많은 기업과 투자자에게 혜택이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어,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차원의 자본시장법 개정안 발의도 활발하다. 이에, 이 글에서는 자본시장법상 구현된 크라우드펀딩 제도를 개관함으로써 크라우드펀딩 제도의 도입목적과 체계를 간략히 소개하고(Ⅱ), 다음으로, 지난 1년의 성과에 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국내 크라우드펀딩 시장의 현황과 특징을 소개한다(Ⅲ). 이어 크라우드펀딩 활성화와 관련한 주요 법적 과제를 소개하고 크라우드펀딩 제도를 구성하는 세부적 장치들의 입법취지를 소개한 후 해당 쟁점에 관한 분석과 평가를 시도한다(Ⅳ). 끝으로, 이상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며 결론을 도출한다(Ⅴ). The keys of the Korean securities-based crowdfunding regime, which was enforced from 15 January 2016 are to mitigate the existing securities regulation (public offering regulation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es regulation) and to provide for complementary investor protection mechanisms for facilitation of start-up companies` capital formation. The crowdfunding regime tries to strike the balance of the interests of industrial policy and investor protection, while adopting an alternative funding method, called crowdfunding. In this article, I analyse the past one year`s results of the Korean crowdfunding market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the US market. Although the Korean crowdfunding market has not shown an explosive growth like loan-based crowdfunding (also known as P2P lending), it is found that the regime has became an important alternative financing means. Meanwhile, after reviewing the 10 legal challenges in relation to the crowdfunding regime`s facilitation, I suggest that regulations on investment limit, one-year resale restriction, prohibition of investment and management advice, restriction of advertisement need to be reviewed for amelioration. I also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urrent regulatory defects as to the loan-based crowdfunding, which causes a herding effect resulting a negative effect on the securities-based crowdfunding market. Although not covered in this article, in addition to the 10 legal challenges for the `facilitation`, I stress that there are some legal tasks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investor protection. This is because the facilitation without establishing a credible market supported by investor protection can not be sustainable. Therefore, this article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ontinuing discussions on the issues of investor protection, although this article could not address such issues due to the constraints of the pages.

      • KCI등재

        2001년 전부개정 「국제사법」에 따른 법정채권 분야 20년 판례 회고

        천창민(Chun, Changmin) 한국국제사법학회 2021 國際私法硏究 Vol.27 No.2

        2001년 4월 7일 법률 제6465호로 전면 개정된 「국제사법」이 지난 2021년 7월 1일부로 시행 20년이 되었다. 이 글은 국제사법 시행 이후 지난 20년간 우리 법원이 법정채권과 채권양도 및 법정대위와 관련하여 결정한 판결례를 간략히 소개하고 그 의미를 소박하게 평가해 봄으로써 규범과 재판실무의 변화를 점검하고 추후 보완할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제사법 시행 20년의 법정채권과 채권양도 및 법정대위와 관련한 판례에 대해 총평하면 다음과 같다. 법정채권 분야에서 사무관리와 관련한 판례는 섭외사법 하에서와 같이 국제사법하에서도 존재하지 않는다. 외국에서도 사무관리와 관련한 판례는 매우 드문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의 사무관리 관련 판례가 없다는 점에서 의외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부당이득 관련 판례는 사실상 섭외사법을 적용한 도메인이름 사건과 국제사법에 따른 가지급물 반환 사건, 넷플릭스 사건이 부당이득 관련 쟁점을 정면으로 다룬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도메인이름 사건은 이득발생지법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조금 더 구체화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판결로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국제사법 개정과 관련한 논의에 일정한 의의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불법행위 판례는 법정채권 관련 판례 중에서 압도적인 수를 차지하는데, 이 글에서는 총 17개의 판례를 다루었다. 이중 섭외사법을 적용한 판례이기는 하나 강제징용 사건 판례는 격지불법행위에서 피해자의 선택권을 인정한 최초의 대법원 판례로서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헌법적 가치를 정면으로 인정하여 국제사법이 헌법과 밀접한 관련한 가짐을 보여준 의미 있는 판례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섭외사법을 적용한 사건이고 국제재판관할에 관한 판단 부분이기는 하나 고엽제 사건 판례는 제조물책임과 관련하여 1995년에 선고되었던 나우정밀 사건 판례와 동일하게 피고의 예견가능성 요건을 적용하여 원고와 피고의 이익을 모두 고려한 판례로 생각되며 국제제조물책임의 준거법의 연결점과 관련하여서도 동일한 관점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향후 외국 사례와 같이 국제사법에도 제조물책임과 관련한 특별연결규칙을 두는 것도 적극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STX팬오션 미국해사법 적용 사건은 최초로 불법행위에서 종속적 연결을 적용한 사례로서 의의가 있고, 이후 나온 다수의 판례에서 국제사법에 따라 신설된 종속적 연결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실무에서 불법행위지 판단 등과 관련한 긴장을 상당히 완화시켰고, 국제계약법의 중요성을 한층 강화시켰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채권양도 및 법정대위 관련 판례로는 우선 선원임금채권 양도 및 대위 사건은 불법행위 사건에서 발견되는 특징과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상당수의 사건이 해사사건과 관련되어 있어 해사사건은 계약, 법정채권뿐만 아니라 채권양도, 채무인수, 법정대위와 관련하여 다양한 국제사법적 쟁점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것은 해사사건이 상당한 국제성을 가짐을 시사한다. On April 7, 2001,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hereinafter, the “KPILA”), which was completely amended by Law No. 6465, came in force and has been 20 years as of July 1, 2021. This article briefly introduces the judgments Korean court has made in relation to non-contractual obligations, assignment of receivables and legal subrogation over the past 20 years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KPILA. The followings are the general review of the court cases of non-contractural obligations, assignment of receivables and legal subrogation for 20 years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KPILA. In the area of non-contractual obligations, no case in relation to the negotiorum gestio is found under the KPILA as under the Seopwoesabeop which is the previous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before the current one. Judgments related to the negotiorum gestio are also quite rare as in foreign countries; thu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re is no case law that is related to the negotiorum gestio in Korea. In fact, it can be said that the cases in relation to unjust enrichment that deal squarely with the issues related to unjust enrichment are the domain name case to which the Seopwoesabeop was applied, the case of provisional payment return, and the Netflix case to both of which the KPILA was applied. Among them, the domain name case has the most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shows that further development is required for the concept of the place of enrichment. Tort cases account for the overwhelming number of cases in relation to non-contractual obligations, and 17 cases have been reviewed in this article. Although the forced labor case applied the Seopwoesabeop the case not only has the crucial significance as the first Supreme Court decision that acknowledged the victims’ right to choose the connecting factor between the lex loci damni and the lex loci delicti commissi but also fully recognized the Constitutional Law value in PIL issues, demonstrating that private international law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Constitution Law. In addition, the defoliant case, that applied the Seobwoesabeop and was related to the decision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though, is remarkable, in that the case required predictability of the defendants in the case of product liability. The STX Pan Ocean case is also noticeable in that it is the first case that applied the accessory connection in torts under the KPILA. After the STX Pan Ocean case, several cases are found that applied the accessory connection provision through which tensions related to the determination of the lex loci delicti commissi could considerably relaxed. As for the precedents related to assignment of receivables and legal subrogation, the seamen’s wage case shows that the cases with respect to international assignment and subrogation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maritime cases of which characteristics are also well found in tort cases. This means that maritime case involves international characters in many cases; thus require private international law analyses.

      • KCI등재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적용범위와 진입규제에 관한 고찰

        천창민(Chun, Changmin) 은행법학회 2021 은행법연구 Vol.14 No.1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한 전 세계적인 금융소비자 보호 움직임과 국내에서 발생한 키코 사태 및 동양그룹 CP 사태 등에 대한 반성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제정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고 이를 계기로 2011년 7월 13일 박선숙 의원안이 최초로 국회에 발의된 이래 약 10년이 지난 2021년 3월 21일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전격 시행되었다. 금융소비자보호법은 금융소비자의 권익을 한층 향상시키고 우리 금융시장의 신뢰도를 또한 향상시킬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 글은 금소법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잘 다루지 않는 적용범위와 진입규제와 관련한 내용을 중심으로 주요내용을 소개하고 다소 문제가 될 수 있거나 해석론이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적용범위에 대해서는 인적, 물적, 영토적, 규범적, 시간적 적용범위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고 관련 부분에서 문제점과 해석론을 전개하였다. 진입규제는 그 의의와 주요내용 및 이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를 제시하였다. 금융과 신뢰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아서 신뢰 없는 금융을 생각하기는 어렵다. 신뢰받는 금융시장을 구축하는 데에는 궁국적으로 금융상품을 소비하는 금융소비자로부터의 신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적절한 보호 제도가 필수적이다. 이런 점에서 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지난 3월 25일부터 시행된 금융소비자보호법이 빠르게 안착하여 금융소비자를 더 우대하고 신뢰받는 금융회사 및 한국 금융시장을 앞당기는 마중물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wake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due to the global move towards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nd the KIKO scandals and the Dongyang CP problem, discussions on the enactment of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FCPA) took place in Korea. The FCPA took effect on March 21, 2021, about 10 years after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Seonsuk Park proposed the first FCPA bill to the National Assembly on July 13, 2011. There is no doubt that the FCPA will further improv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financial consumers and also upgrade the reliability of the Korean financial markets and financial institution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main issues of the FCPA, focusing on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entry regulation thereof, which are not generally covered in relation to the FCPA, and discussions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 the areas that may be somewhat problematic or require interpretation. This article divide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FCPA into personal scope, material scope, territorial scope, normative scope, and temporal scope, and problems and interpretations were developed in the relevant areas. In relation to the entry regulation, this article points out its significance, its main contents, and some problems related to it. Finance and trust are two sides of a coin, so that it is difficult to think of finance without trust. Building a trusted financial market ultimately requires trust from financial consumers who consume financial products, and for this, it is essential to put in place an appropriate protection system for them. In this regard, this author expects that the FCPA will quickly settle down in the practice, giving more preference to financial consumers, as well as helping to advance trust of the financial companies and financial markets in Korea.

      • KCI등재

        주제별 논단 : 연구논문 ; 한국형 비과세 저축계좌제도의 설계방향에 관한 서론적 고찰

        천창민 ( Changmin Chun ) 한국금융법학회 2015 金融法硏究 Vol.12 No.1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hereinafter,“FSC”) unveiled its“Plan to Introduce a Korean version of Individual Savings Account (hereinafter, “KISA”)”in September 2014 followed by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s announcement that it would adopt the KISA in connection with reforming the existing tax-exempt savings schemes. According to the Plan, a KISA is defined as a single account that holds diverse financial products and provides tax exemptions to any income. The KISA scheme is expected to take concrete shape after Korea-specific conditions (e.g., Korea’s existing tax-exempt financial products, the current state of savings and investments, and the financial income tax scheme), as well as a thorough review on overseas similar schemes, such as Individual Savings Account (hereinafter,“ISA”) in the UK, Tax-free Savings Account (hereinafter,“TFSA”) in Canada and Nippon Individual Savings Account (“NISA”) in Japan. Although little is known about the KISA scheme yet, the FSC’s September 2014 Plan offers rough outlines. Except for the income tax exemption on interests and dividends, the KISA scheme is expected to diverge from the ISA, TFSA and NISA schemes in many ways; eligible account holders, annual contribution limits, eligible financial products, types of tax benefits, etc. In the near future, the Korean government is expected to draw out its blueprint which maps out policy objectives and concrete designs for Korea’s tax-free savings account scheme. Tax-free savings account schemes in the UK, Canada, and Japan offer important, common implications for how to promote precautionary savings: First, savings and investments held by low- to middle-income earners must not face any withdrawal restriction, and second, financial consumers should be able to choose from financial products to suit their household needs and risk preferences. Arguably, how to design a tax-free savings account schem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ouseholds’ financial asset accumulation, and interests among financial industries. The hope is that regulators will carry out an exhaustive review and comparison on overseas cases and apply the results to Korea’s current situation in order to establish a more complete tax-free savings account scheme.

      • KCI등재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규제 흐름과 감독기구의 역할에 대한 연구 - 유럽 암호자산시장규정(MiCAR)안을 중심으로 -

        천창민 ( Changmin Chun ) 한국금융법학회 2021 金融法硏究 Vol.18 No.3

        연혁적으로, Facebook의 Libra 프로젝트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국제금융감독기구 및 주요국의 관심을 촉발시킨 계기가 되었으며, Libra 프로젝트 이후 국제사회는 급속히 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한 규제체계의 수립과 국제적 공조 및 관련 논의를 진행해 왔다. 이러한 국제적 논의의 선상에서 2020년 9월에 성안된 MiCAR안은 향후 EU 회원국뿐만 아니라 비회원국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MiCAR는 전 세계에서 가장 최신의 가상자산시장 규제법이며, 가장 체계적인 가상자산 규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EU판 스테이블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자산준거토큰 및 전자화폐토큰과 관련하여, MiCAR는 국제적인 규제 논의를 반영하여 정치한 규제체계를 설계함으로써 개별 국가의 기존 가상자산 관련 법률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상세한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을 제시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MiCAR는 일반 가상자산에 대해서는 그 규제수준이 높지 않게 일반 증권규제에서의 증권신고서 규제와 유사한 암호자산백서의 공시규제 정도를 두는 반면, 스테이블코인에 대해서는 국제적 논의를 기초로 발행인에 대한 인가규제, 준비자산규제 등의 상세한 규제를 두고 있음은 물론 중요한 것으로 분류되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해서는 보다 더 엄격한 규제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현재 제21대 국회에는 12개 정도의 가상자산 관련 법안이 제출되어 있으나, 가상자산의 일종인 스테이블코인 규제에 관한 내용을 담은 법안은 발견할 수 없다. 이는 그간 우리나라가 관련 국제적 논의에서 상당히 뒤처져 있다는 것을 그대로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MiCAR안을 기초로 스테이블코인 규제와 관련한 내용을 관련 법안에 반드시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이 FSB 회원국인 우리나라의 위상에도 걸맞은 조치라고 생각된다. 또한, MiCAR안은 중요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하여 감독자협의체를 구성하고 감독기구가 어떠한 권한과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상세한 규정도 포함하고 있어 향후 중요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된 규제 관할을 획정하는데 있어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요스테이블코인의 규제논의는 중요스테이블코인이 가진 금융안정, 통화정책의 전파 등과 관련한 관점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관련한 정책을 수행하는 곳에서 중요스테이블코인과 관련한 규제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연구와 규제정책을 제시해야 함은 물론, 향후 국내 법안의 성안작업 및 법 시행 이후 중요스테이블코인 발행인의 감독 및 감시와 국제공조를 주도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우리나라의 관련 감독기관 간 협업 및 공조에 관한 실무적인 사항도 법안의 성안작업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Historically, the Facebook's Libra project triggere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supervisory bodies and major countries’ interest in stablecoin.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Libra projec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rapidly discussed a regulatory system related to stablecoin. In line with these international discussions, the MiCAR (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 proposal proposed in September 2020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not only EU member states but also non-member countries like Republic of Korea in the near future. The MiCAR proposal is the latest cryptoasset market regulation bill in the world and can be evaluated as showing the most systematic regulation for cryptoasset markets.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asset reference tokens and e-money tokens, which can be called an EU version of stablecoins, the MiCAR is featured with a detailed regulatory system for stablecoins that reflects the related international discussions. The MiCAR introduces a disclosure regulation of cryptoasset white papers similar to that of securities registration statements in securities regulation, while MiCAR specifies detailed and strict regulatory arrangements for stablecoins, such as authorization and reserve assets regulations. Currently, 12 bills related to virtual assets have been submitted to the 21st National Assembly of Republic of Korea. Unfortunately, however, no bill has been found containing stablecoin regulation. This can be an affirmative evidence that Republic of Korea has been far behind in the related international discuss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regulation of stablecoins in the relevant legislation, based on the MiCAR proposal in the future, and such a legislation can is considered as a measure suitable for the status of Korea, a member of the FSB. The MiCAR proposal also includes detailed regulations on which supervisory bodies have certain roles and powers in relation to global stablecoins, which is expected to give certain implications for defining regulatory jurisdiction of global stablecoins in the future. Given that the regulatory discussion of global stablecoins began from the perspective of financial stability and the transmission of monetary policy, the relevant agency of Republic Korea should perform in-depth research on regulatory policies with regard to global stablecoins and lead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course, practical matters concerning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between related supervisory agencies in Korea should also be discussed in the process of the legislation in relation to virtual assets.

      • KCI등재

        영국의 IPO 시장현황과 규제에 관한 소고

        천창민(CHANGMIN CHU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國際去來와 法 Vol.- No.32

        Despite the recent Brexit mode, one of the attractiveness of the UK financial market is that Londons status as an international financial center and the presence of the various and abundant pool of international investors might make enable relatively successful IPOs (Initial Public Offerings). In addition, due to the fact that underwriters fees in the UK are lower than those in the US, the UK financial market is one of the best alternatives to the US market when Korean companies consider IPOs abroad, This article briefly introduces the legal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venture capital backed Korean companies consider the UK securities market as target markets for IPOs and choose it as an exit route. First of all, by looking at the status of the UK IPO market and major exit methods, this article finds out the position of the UK IPO markets and its implications. Even if IPOs are not a major exit method in the UK, however, for Korean companies invested by Korean venture capitals, the UK market can still be considered one of the major IPO markets abroad. This is because if the main target markets of the applicants products or services is in the UK or Europe, or main investors are located in the UK or Europe, the prospective Korean companies would be able to raise fund not only at the time of listing, but also at the time the companies grow and need continuous fund if the companies are listed on the UK markets. Further, It can be also advantageous for the companies’ promotion in the EU or UK. If Korean companies want to directly list their shares on the Premium Main market of the London Stock Exchange (LSE), it will require significant regulatory costs compared with other markets of the LSE. Therefore, it would be a reasonable option for Korean companies firstly to access the Standard Main market. Even in this case, however, there is an obstacle to prove that the reason why the Korean company’s shares are not listed in the home country i.e., Republic of Korea. Last but not least, the AIM as an IPO market suitable for small and medium-sized growth companies, could be actively consider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AIM, the issue that the AIM does not allow the listing in the form of depositary receipts should be taken in to acc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