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호랑이 석상(石像) 현장 연구

        천진기 한국박물관학회 2014 博物館學報 Vol.- No.26

        한국 문화 속에서 호랑이는 다양한 모습과 상징으로 나타난다. 한국의 호랑이 석상은 왕릉, 마 을, 사찰, 명당터의 풍수비보, 지역[대학]상징물 등 다양한 모습으로 고대에서 현대까지 전국에 걸쳐서 분포하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장사례를 중심으로 호랑이와 관련된 일곱 개의 동물석상의 명칭, 재질, 위치, 수량, 형태, 기능과 역할, 제작시기 등을 밝혀 보고자 했다. 호랑이와 관련된 석상의 명칭은 호석(虎石)ㆍ범바우ㆍ용호석ㆍ호랑이초석ㆍ개바위ㆍ코끼리상 등이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돌로 만든 호랑이 상이 대부분이다. 마을과 고을의 중앙이나 입구 에 위치한 호랑이 석상은 액을 막는 수호신 역할을 한다. 풍수지리와 관련한 석상은 호랑이의 기운 이 너무 강해 그 기운을 누르거나, 제압하기 위해서, 명당 터를 표시하기 위해서, 명당 터를 발복시 키기 위한 문화적 장치로서 석상을 이용했다. 호랑이 석상은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읽혀진다. 그림 속의 해학과 장승의 얼굴, 미륵의 위엄이 동시에 표현된 조형예술이다.

      • KCI등재후보

        박물관 자료와 박물관 미래

        천진기 한국박물관학회 2015 博物館學報 Vol.- No.28

        이 논문은 “‘지금 여기’를 어떻게 기록하고 수집하고 남길 것인가?”, “대량 생산 소비시대에 박 물관에서는 무엇을 수집하고 연구할 것인가?”, “인류문화의 보편성과 다양성을 찾아 현재 인류문화 를 관통하는 문화요소는 무엇인가?”, “수집된 박물관 자료를 어떻게 조합하여 입체적인 역사문화 전시로 표현할 것인가?”, “다양하고 방대한 박물관 자료를 이용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서비스할 것 인가?” 등에 대한 질문을 국립민속박물관 사례를 통해 해답을 구하고자 한다. 박물관 자료는 유형 문화재 중심의 이른바 ‘물건’ 중심의 박물관 자료 수집에서 벗어나 무형유산자료, 음원?사진?동 영상 등 아카이브자료, 디지털 운영체계와 쇼프트웨어까지로 확대가 필요하다. 박물관 자료는 유형 /무형, 아날로그/디지털, 역사/지금(현재)의 구분이 아니라 통합과 융?복합이 필요하다. 박물관자 료는 유물, 텍스트, 음성, 사진, 영상 등으로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들 자료를 디지털 형식으로 콘텐츠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한다. 이용자들은 유형/무형의 다양한 형태의 박물관 자료를 자유롭게 검색 공유할 수 있게 되고 박물관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용자들은 성별, 연령, 위치, 국적 및 관심사 등에 관계없이, 어떤 디바이스를 사용하든 간에 맞춤형 박물관자료를 제공받 을 수 있게 된다. 미래의 박물관에서는 박물관 자료의 통합과 활용이 더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다. 박물관 자료와 정보를 이용자들에게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것인가에 박물관에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전통 공예기술의 전승체계에 관한 현장적 접근 -공예학 삼론(工藝學 三論)-

        천진기 한국민속학회 2017 韓國民俗學 Vol.66 No.-

        Revitalization projects in the Traditional Crafts lacks holistic approaches in transmission sites of living heritage and policy, producers and consumers, aesthetics and usability,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as a whole till now.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ee the ongoing transmission sites of living heritage that has only been partially discussed over the years, find an establishment plan for Three-way theory of a technology study through the Credit Bank System and the Standard Curriculum of Academics, suggest the Three theories; the theory of a Master craftsman, the theory of quality raw materials, and the theory of transmitting knowledge and its craftsmanship, as key elements to look for proper Transmission plans in the Traditional Crafts. 전통공예의 활성화라는 큰 주제를 놓고 지금까지 전승현장과 정책, 생산자와 사용자, 심미성과 실용성, 전통성과 현대성 등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공예품 중심의 접근보다는 공예문화에 대한 천착이 이루어지고, 이런 맥락에서 재료의 변화, 제작기술 및 도구(시설 포함)의 변화, 장인의식의 변화, 공예품의 변화 등에도 함께 조사 연구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그동안 부분적으로 논의되어 온 전통 공예기술의 전승현장 상황을 살펴보고, 문하생 학점․학력인정제와 표준교육과정을 통해 공예기술의 전승체계 확립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통 공예기술의 전승체계의 핵심요소로 장인론, 재료론, 제작기술(도구)론 등 공예학 삼론을 제시하면서 전통공예의 올바른 계승 방안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 KCI등재

        동물민속(動物民俗) 연구 시론(試論)

        千鎭基 동아시아고대학회 2002 동아시아고대학 Vol.5 No.-

        According to time and places to see animals even if they are same, the fortune telling point of view concerned with animals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prehistoric age, people used animal symbols representing a certain meaning to demonstrate a variety of living culture, religion, and thought of the time. Many animal images were shown in drawings incised on rocks and cave paintings as well as mural paintings in the graves, clay dolls, and pottery. These animal symbols are reflected in people's conscious world of those days and depict a part of living culture. Koreanancestors embossed the symbolic and suggestive meanings manifested in the outward figure and behavior of animals. Most animal figures appeared in ancient relics and sites can't be wholly interpreted. Cultural and ideological backgrounds of the time should be first understood and their contexts studied to understand the animal symbols precisely appeared in Korean culture. The folklore related to animals approves their spiritual power and represents the relations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many-sided human life. Relics decorated with animal figures reflect the conscious world of ancient people and include a part of living culture. Research on the folklore as to animals can be started from this point of time. The approaching system on animal folklor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basic kinds : diachronic and synchronic approach, the use of folkloric and scientific models, and the approaching system understanding the spatial world structure via animals. I investigated animal symbols shown in Korean culture by employing these approaching systems. Unlike the folkloric study of other fields, the study on the folklore in regard to animals deserve notice in the concrete objects expressing animals such as archaeological excavations and artistic materials and their basic characters. The language comprises the sign system to deliver information. The diversity of animals appeared in Korean culture act as the symbolic system of signs and characters in various cultural relations and deliver the cultural information throughout all periods and fields. Animal symbols serve as a password and a key to the secret of culture.

      • KCI등재
      • 신라 나무인형사자 고찰

        천진기 한국이사부학회 2010 이사부와 동해 Vol.1 No.-

        ‘백수의 왕’으로 알려진 사자는 아프리카 유럽 서아시아 인도 등지의 열대 초원지대에 서식하는 무서운 동물이다. 사자는 각 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자주 등장하여 그 신성함과 절대적인 힘, 그리고 위엄을 잘 드러내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사자는 서식 하지 않으나 역사기록을 통해 삼국시대부터 사자의 존재를 이미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자는 불법(佛法)을 지키기 위한 수호 신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통일신라 이후는 사자가 무덤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나타나며, 탑의 장식품이나 불교공예품, 그 리고 기와 및 생활용품 등으로 폭넓게 수용되어 사자의 장엄함과 다양함을 볼 수 있다. 특히 단단한 화강암을 소재로 한 석사 자상이 석탑과 석등 등에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다른 나라에는 독특한 예이다. 이사부는 나무인형 사자를 많이 만들어 배에 싣고가 우산국 사람들을 나무인형 사자로 위협해서 복속시켰다는 사실은 틀림 없다. 이사부가 그 당시에 일반인들에게는 처음 알려졌거나 거의 알려지지 않는 무섭고 기이한 사자를 이용했다. 이사부는 이미 한번 마희로서 가야를 정복한 군사전략가이며 지략가였고, 역사가였다. 진정한 싸움에 승자는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 이다. 이사부는 나무인형 사자를 통해 싸우지 않고 우산국을 복속시킨 것이다. 이사부의 식견과 능력으로 그는 이미 그 당시 에 사자에 대한 형상과 성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었다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새롭게 등장한 존재로 엄청난 힘과 무서운 외형 을 가진 백수의 왕이자 불교의 호법신인 사자를 전장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었을 것이고 그것을 우산국 복속 때 군사전략 으로 이용했다. 그렇다면 이사부가 만든 나무인형 사자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첫 번째 사자를 만든 재료가 나무였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두 번째 나무인형 사자의 크기는 얼마였을까? 나무인형 사자를 여러 마리 만들어 배에 나누어 싣고 갔다는 기록으로 보아 트 로이 목마처럼 그렇게 큰 나무인형 사자는 아니었을 것이다. 이사부가 나무인형 사자를 만든 지 122년 후 가장 가까운 시기 에 만들어진 분황사 모전석탑 석사자(石獅子)에 답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 사자상과 비교하여 비슷했거나 위협하기 위 해 좀더 과장되게 만들었을 수도 있겠다. 세 번째 나무인형 사자의 외형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나무인형 사자의 외형적 모습도 석사자들의 외형적 모습과 큰 차이가 없었을 것이다. ‘본 뱀은 못 그려도 안 본 용을 그린다“는 우리 속담처럼 그당시 실제 살아있는 사자를 보지 못했지만 오히려 사자는 일정한 틀을 지닌 모습으로 정형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사부의 나무인형 사자는 아마 그 이후에 만들어지는 신라 사자상의 전범(典範) 또는 전형(典型)이 되었을 것이다. 현존하는 한국 동물상의 대부분은 앞다리를 세우고 뒷다리는 구부린 반좌(半座)의 형태이다. The lion, as known as the king of beasts, currently inhabits the wide open prairies of Africa, Europe, West Asia, and India. This creature frequently appeared in history and culture of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with holding the sacred power and dignity. Even though the lion has never been lived in Korean peninsula, people in that area were recognized the existence of lions since the Three Kingdom period.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s, the lion statue has been acted as a patron in Buddhist temple. Then, after the Unified Shilla Kingdom, the Lion statue has been acted as a guardian of the grave; moreover, it was appeared in pagoda decorations and some Buddhist art crafts. The grandeur and diversity of the lion statue can also be found on the end of roof tiles and utensils. In addition, the lion statues made of granite were used on the pagodas and stone lanterns only in Korea. It is very obvious that Isabu took advantage of the wooden lion when he went to Woosangook (Ulleung Island). He scared the people with the wooden lions as his tactic to conquer the island. The lion Isabu brought was remarkably weird and unknown to the people in Woosangook at that time. Isabu finally conquered the island without battle; he was a real commander who ruled the island with the wooden lions. From this result, the wooden lion’s superior powers and characteristics were greatly demonstrated. Then, at this moment,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wooden lion at the battle field could be our next issue. First, it is clear that the material of the statue was made of wood. Second, the size of the statue was definitely not big as the Trojan horse since he carried several wooden lions on the boat. We can assume the size of the lion from the stone lion statue at Bunhwangsa Pagoda which was made only 120 years after the battle of Isabu. The size might be very similar or slightly bigger than the stone statue of the pagoda for emphasizing the fierceness. Third, the entire figure of the wooden lion would also be very similar to the stone lion at Bunhwangsa Pagoda. Although they had no chance to see the real lion at the time, it seems that the figure of lion statues had a certain regulations. According to this, the lion statue made by Isabu seemed to become a standardization of Shilla’s lion statue after the battle. Most of the remained animal statues in Korea were sculpted with the raised upper limbs and bended lower lim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