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상징동물연구

        천진기(Cheon Jin-Gi) 우리문학회 2011 우리文學硏究 Vol.0 No.32

        이 글은 2009년 현재 276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그 지역 상징 동물의 종류 및 지정 경위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있다. 특히 지역의 상징동물로 가장 많이 차지하는 새(비둘기, 까치 등)을 중심으로 동물기호와 상징이 어떤 문화적 변화를 겪고 있는지를 밝혀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지방자체단체에서 그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동물로 지정된 이유는 ① 일상적으로 친근한 동물, ②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물, ③ 지역에 많이 서식하거나 도래하는 하는 동물, ④ 지역 특산물과 관계된 동물, ⑤ 지역의 역사와 전통에 관련된 동물, ⑥ 지역 축제와 연관된 동물 등으로나눌 수 있다. 지역 상징동물의 종류는 총 46종으로 날짐승 28종, 뭍짐승 7종, 물짐승 10종 등 이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날짐승, 즉 조류가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동물로서 대다수를 차지한다. 날짐승은 비둘기, 까치, 갈매기, 백로 등 28종으로 전체 상징동물의 91% 이상을 차지한다. 비둘기가 63개, 까치는 60개 지방자치단체에서 그 지역 상징동물로 지정하고 있다. 거의 50% 가까이가 비둘기와 까치이다. 그런데 이들 동물기호와 상징들이 최근 들어 급격한 변화양상을 보인다. 우리와 친근한 동물들도 상황과 여건에 따라 유해한 존재로 전락한다. '평화를 상징하는 친근한 새, 비둘기', '반가운 소식을 전하는 까치소리'가 이제는 천덕꾸러기가 되었다 이 글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그 지역을 상징하는 동물을 중심으로 현황을 살피고, 종류와 의미 등을 분석정리한 것이다. 상징동물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새를 중심으로 문화읽기를 시도했고, 특히 비둘기, 까치에 대한 최근 상황변화까지 추적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what cultural changes occur in preferences and symbols of animals centering on birds (doves, magpies, etc.) which are the most widely chosen as the regional symbolic animals. The study also intends to find out the types and meaning of the symbolic animals as well as the process of how they were selected in 276 regional local governments as of 2009. The reasons for the local government to select their symbolic animal are: ① familiar and ordinary, ② designated as a natural heritage, ③ inhabit in a large number or arrive to settle in the region, ④ related to the indigenous product, ⑤ related to the local history and tradition, ⑥ related to the regional festivals. The number of symbolic local animal types is total of 46 including 28 winged animals, 7 land animals, and 10 aquatic animals. Noteworthy here is that winged animals, in other words, birds are the most commonly selected to represent the region as the symbolic animal. The regional symbolic birds are total 28 species including doves, magpies, seagulls, white herons, and they are over 91% of the symbolic animals. Ducks, mandarin ducks, phoenixes, wild geese, cranes, white herons, peacocks, pheasants, magpies, crows, hawks, and eagles fly in to flowers and trees in singular, in pairs or in a flock. The birds do not simply flock to the tree but they have their own 'cultural grammar' to build the nest. To read the cultural grammar of the bird as the regional symbolic animal is to study what kind of bird fly into a culture in how many numbers and with what kind of flower or tree they match and what symbolic meaning do they have in what type of space. In 63 local governments, doves are chosen as their symbolic animal and magpies are picked in 60 local governments. Nearly 50% of the local government selected doves and magpies. However, these animal preferences and symbols seem to have changed drastically in recent times. Even the most familiar birds turn to harmful being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and the situation. Doves symbolizing peace and magpies known to bring good news are now viewed as pests. Focusing on the symbolic animals of the local government, the current state as well as the types and meanings of the regional symbolic animals are discussed. Among the symbolic animals, the reading of the cultural grammar of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bird is attempted and the recen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doves and magpies are traced.

      • KCI등재

        민속박물관과 현대생활자료

        천진기(Cheon Jin-Gi) 한국민속학회 2007 韓國民俗學 Vol.45 No.-

        우리들은 물건(things)과 역사(history)에 둘러싸여 있으나, 주변을 구성하고 있는 물건을 과거를 이해하기 위해 활용하지 않는다. 물건을 창안했고, 사용했고, 버렸던 사람과 시대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책을 읽는 노력만큼 물건을 읽으려고 하지 않는다. 이것은 물건으로부터 역사를 읽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물건은 단지 문헌자료만을 읽을 줄 아는 사람들에게는 읽혀지지 않는다. 물건은 과거로부터의 판결만을 들으려는 사람들에게는 침묵한다. 그러나 물건은 말하며, 읽혀 질 수 있다. 물건이 문화라기보다는 물건은 문화적 산물이다. 보고 만질 수 있는 물건을 만들어낸 디자인 구상과 제작방법, 그 이유 등 인간의 지식이 물건에 포함되어 있다. 물질문화연구는 바로 그 물건을 만들어낸 문화 속에서 그 물건의 의미하는 바를 찾아야 한다. 물질문화는 그 물질적인 생산물을 통한 문화의 명시(明示, Manifestations)라고 말할 수 있다. 물질문화에 대한 연구는 그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물건의 연구이며, 일정기간 내의 특정한 공동체나 사회의 관념체계-가치, 사상, 태도와 가설-를 밝히는것이다. 사람들이 만든 물건에는 그것을 주문하거나, 조립하거나, 구입하고나 사용한각 개인들의 관념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반영되어 있으며 더나아가 이들 각 개인들이 속한 좀더 큰 사회의 관념체계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민속은 과거시제가 아니라 현재시제이며, 아니 미래시제로도 연결되는 것이다. 과거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것들을 보존하고 계승하는 것은 그것이 후대(後代)에 대한 우리의 의무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미래는 과거에서 만들어진다. 20세기의 생활자료를 '문화유산(文化遺産)'이라 하기에는 아직 이른 감이 있다. 그러나 옛날 사람들도 청자나 백자, 그리고 목가구나 옷가지가 유물이 되리라고 전혀 생각하지 못했지만 이것들은 오늘날 문화재가 되었다. 따라서 우리 주변에 있는 생활자료들이 지금은 효용가치가 끝나 창고나 쓰레기통에 버려지고 있지만 앞으로 21세기의 삶을 이야기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료이자 역사(歷史)가 될 것이다. 우리가 조각난 퍼즐로 역사를 복원해야 했듯이 후손들이 난지도의 쓰레기를 발굴하여 어색한 21세기의 문화복원 위해 헛되이 애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민속의 현재적 기술과 현재의 생활자료 연구와 수집을 정말로 시작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대량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현재의 생활방식 속에서 어떤 자료를 수집할 것인가도 중요하다. 수 천 수 만 가지의 생활자료를 모두 수집 보관할 수는 없다. 이때는 우리는 조사연구를 통한 기록화와 생활유물의 수집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기록화란 조사 연구하여 영상매체 또는 보고서로 기록해 두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현재 을 의미한다. 현대생활에 필요한 물건의 가지 수와 종류를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곳은 아마 대규모 할인매장일 것이다. 이마트, 농협하나로마트, 백화점 등에서 취급하고 거래하는 생필품의 물건의 수와 명칭을 조사한다면 현대 생활자료의 파악은거의 다 될 수 있을 것이다.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시대의 물질문화연구는 종래와 달리 이런 접근방법도 용이할 것이다. 박물관의 수집은 지역별로 각각의 집을 표본추출하여 그 집의 생활방식과 자료에 대한 총조사를 하고, 그것을 수집하여 연구 보존하는 것이다. 생활문화 관련 유물 수집은 역사성 → 현재성, 희귀성 예술성 → 생활문화적 맥락, 구입을 통한 수집 → 생활문화적 맥락에서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한 기록화와 수집 보존 등으로 일단 요약할 수 있다. We have been actually surrounded by miscellaneous things and their history but they have been virtually no use in understanding the pa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ople who invented, used, and disposed the things, we would read books rather than utilize the things composing our surroundings. This is because it is not easy to read history through the things. To whom can only read literatures, things are unreachable. They have kept silent to whom seeks the judgement from the past. Things do speak and read history. Things can be expressed as cultural products rather than culture itself. It includes human knowledge in designing and making process of visual and touchable things. Accordingly, material culture studies aims to find the meaning of things in relation to its background culture. Material culture is a kind of Cultural Manifestation by means of material product. Research in the material culture aims to understand certain culture by investigating things and to reveal conceptual schemes(values, ideologies, aspects and hypotheses) of particular communities or societies in a certain period. Every man made material reflects various ideas of individuals who ordered or assembled or purchased or used, in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and direct or indirect ways. Moreover it also reflects further expanded ideas of the society as a whole which includes each individual. Folklore exists not in the past tense but the present tense and also links to the future tense. The reason why we preserve and transmit culturally significant things is not because that is our ethical mission to our descendants. Future is caused by the past. It might be premature to say living materials in the 20th century are cultural heritage. Ancient peopel, however, would have never expected that their celadon, white porcelain or wooden crafts and garments could be cultural heritage but they have become so. Accordingly, modern living (ethnographic) materials with no more use dumped into the rubbish bins might be important resources and history to tell our 21st Century lives. It is time to make a sincere start in acquiring modern folk and ethnographic materials so that our ancestors won’t make any vain efforts to restore the 21C culture by excavating wastes as we have restored our history with broken evidences. In modern times of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it is important that to decide which material should be collected. We can not manage to collect and store thousand and hundreds living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take two simultaneous activities: documentation and acquisition of living materials filtered by academic research. When it comes to documentation, people easily come across visual and written recordings through investigation and research. It may be huge supermarkets to be able to find how many and which kinds of living essentials there are. Investigation on the quantity and kinds of living essentials in E-mark, Nonghyup Hanaro mart, and other department stores can explain the overall situation of modern living (ethnographic) materials. It is interesting that the era of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s brought this methodology of material culture research. Museum acquisition is to carry out regional sampling by selecting sample houses, to investigate the living style and materials in each house in a comprehensive way, and to acquire them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preservation. Finally, I would conclude this page by mentioning the procedure of ethnographic collecting activities: historic value→contemporary value, rarity and esthetical value→ethnographic context, acquisition through purchasing→documentation and preservation based on research in conterxt of ethnography.

      • 세시풍속의 미래전설

        천진기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3 한국의 민속과 문화 Vol.7 No.-

        Yearly customs can be assorted into various categories. For example, you can think of occupational custom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cycle and occupation cycle, and religious customs according to the religion as Confucianism, Buddhism or Christianity, and regional customs according to the region where one lives. To understand today's yearly customs as a whole, these customs should be all considered. If the study on yearly customs doesn't only deal with traditional or already disappeared customs, it should also include today's yearly customs and pay attention to current cultural circumstances. New anniversaries have been taking place in past several years. How do these anniversaries affect our society? We need to figure out the origins and how we celebrate those anniversaries. Yearly customs remind us the ancient agricultural society though the society is changing rapidly. Yearly customs are always past tense. We, however, should also study on today's new anniversaries as Valentine's day(14th February), White day(14th March) and Rose day(14th May). Especially when we accept anniversaries and events which has been continued around 30 years as a custom, some events which have last more than 20 years like Valentine's day or White day seem to be settling down. Custom is a not past tense but a present tense and a future tense. It is not because it's our duty to preserve and hand over the worthful culture to our descendants. It is because the future comes from the p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