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천성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 strength and happines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scales of character strength, happiness and teacher efficacy to 456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kindergarten or child care center in Busan, Gyung-nam, Daegu and Gyungbuk province.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factors based on the data collections. And mediated model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eacher efficacy has the mediating effect on the character strength and happiness or no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 First, character strength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Also, teacher efficac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Second, teacher efficacy worked as partial mediation about character strength affecting on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 it is discuss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성격강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행복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대구, 경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456명을 대상으로 성격 강점 척도, 행복감 척도, 교사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성격강점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강점은 교사효능감 및 행복감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교사효능감은 행복감과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은 성격강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아교사의 경우 성격강점 수준이 높을수록 행복감 수준이 높고 성격강점에서 행복감으로 가는 과정에서 교사효능감이 매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학교 집단상담의 실제

        천성문,김창오,함경애,윤영숙 한국카운슬러협회 2010 相談과 指導 Vol.45 No.-

        초․중등 학생들은 집단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또래관계를 통해 대인관계를 배우며, 조직에서 적응하는 경험을 통해 성장하기도 하고 반대로 상처를 입거나 좌절하기도 한다. 따라서 집단의 치료적 기제를 잘 반영한 활동 프로그램과 효과적인 집단지도자에 의해 촉진되는 집단상담 체험은 학생들에게 자신감과 대인관계역량개발, 조직적응력의 향상 등 학생들의 삶을 행복하게 가꿔줄 수 있는 가능성을 담은 학교 상담의 접근 방법이다. 그러나 아동, 청소년의 발달 특성에 초점을 둔 집단상담의 연구는 상당수 있으나 아직 학교 집단상담의 특수성과 가능성을 극대화하려는 직접적인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에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학교 집단상담의 주요 이론과 연구 성과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 집단상담의 운영의 실제와 학교 집단상담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려 한다.

      • KCI등재

        여성 한부모의 행복증진을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천성문,강경란,함경애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지역과 세계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cinematherapy program on the Happiness of the Woman Single Paren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were 20 woman single parent in Busan and divided into two groups; 1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the controlled group. The group cinematherapy program has been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240 minutes one times a week (total 8 times). Each group was measured two times, a pre-test and a post-test. Participants were given scales measuring self-esteem, parent-child relationship, depression and happine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ased on the reports on changing experiences from participants along with observations on behaviors in each session, a qualitative research as well as a content analysis was don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steem,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level of happiness while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of depression after this cinema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program was found generally high regarding the way to conduct this program and request on involvement in a follow up program as well as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rated positively. Consequently, this result revealed that the program could be a proper alternative for the happiness of woman single parent. 본연구의 목적은 여성 한부모의 행복 증진을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본 프로그램 취지에 동의한 P시의 한부모 여성 20명 중 실험, 통제 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무선배정 하여, 총 8회기, 회기당 240분의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사전-사후 검사가 두 집단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종결 후 실험집단 참여자 각각 120분 개인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프로그램 만족도를 살펴보았을 때 프로그램의 내용뿐만 아니라 진행방법, 후속 프로그램 참여 여부 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해 전체적으로 본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여성의 행복증진에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대학생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 정신역동적 상담에서 상담경과에 따른 꿈의 내용 변화 분석

        천성문,박현조 경성대학교 2000 論文集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dream trans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ion of psycho-dynamic counselling and the differences of the dream transformation as the counselor's experience level. Materials of study were 49 dreams in the protocols of 4 cases. Two cases were conducted by an expert in psycho-dynamic counselling, others by two primers. The dreams were scored using the Functional scoring system. The counselling course was divided into 6 periods per 5 ses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verage of dreamer activity, dream clarity and dreamer expression scores gradually rose across the counselling processes. The feeling intensity scores were more than 'moderate' except the fourth period in the expert's cases. The origin of feeling and the dream setting shown a preponderance of present and mixed dreams. The percentage of dreams in which the dream appears younger than he is in waking life consistently increased whereas that of 'same age' dreams decreased. The porportion of dream characters showed minimal changes; they were mostly dreams with 'both and known' and 'known' characters. In the overall rating, the percentage of 'real' and 'symbolic to real' was more than the 'symbolic' dream across the time. The change patterns were similar in counselor's experience level with the exception the feeling intensity, origin of feeling, dream setting and overall rating.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dream transformation with regularity occurs as psycho-dynamic counselling progresses and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manifest dream as an indicator of its clinical progress.

      • KCI등재후보

        인지행동적 분노치료 모델 설정을 위한 탐색적 연구

        천성문,이영순,이현림 한국동서정신과학회 1998 동서정신과학 Vol.1 No.1

        최근 분노가 모든 정서장애의 기저감정이라는 인식과 더불어 분노의 치료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분노치료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분노치료 성과연구들이 대부분 인지행동적 치료접근법을 사용하였고, 이에 대한 치료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료의 효율성이 입증되고 있는 인지행동적 치료접근법의 모델들을 살펴보고, 이 모델들의 연구동향과 과제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또한 서로 다른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노개념과 분노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인들을 서술하였고, 인지행동적 접근의 형태를 취하는 대표적인 치료모델과 선행연구 그리고, 미래의 연구과제에 대해 논하였다. Even though anger often appears as a significant client concern, Outcome research has hagged behind other areas such as treatment of anxiety and mood disorders. To date, the most researched interventions has been cognitive-behavioral approaches that are effective in reducing anger in various populations. From this viewpoint, this study intend to review the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s model in the treatment of anger problems. Several dominant treatment models are discussed, the Emotional control model of anger reduction, Social Skill Model, Combined Cognitive-relaxation intervention Model etc. Empirical Studies expla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for helping clients deal with anger related problems.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 KCI등재

        낙관성증진 프로그램이 학교폭력피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천성문,최영미,김미옥 한국재활심리학회 2015 재활심리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낙관성증진 프로그램이 학교폭력피해 중학생의 자기존중감과 스트레스대처방식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낙관성증진 프로그램은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10명으로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아존중감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한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낙관성증진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청소년의 자살시도 및 극복경험에 관한 질적분석

        천성문,함경애 한국재활심리학회 2015 재활심리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회 이상 자살을 시도했던 청소년 7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살생각 및 시도 등의 자살행동과 극복경험을 규명하는 것이다. 부산시 중고등학교 전문상담(교)사에게 각 학교에 자살시도를 한 후 6개월 이상 자살시도를 하지 않았고 현재 자살생각이 100점 만점에 10점 이하인 청소년들을 파악하도록 협조 요청하였고 파악된 청소년들이 자발적 참여의사로 지원하였다. 이들 중 3명을 제외한 7명은 2∼3회 걸쳐서 자신의 자살시도경험에 대해서 인터뷰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을 바탕으로 일대일 면담방식으로 진행하고 추출된 자료에 대해 CQR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이들은 자신을 무가치하고 타인에 대해 복수심이 강하지만 자살 밖에 해결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였다. 자살시도시 고통을 잊기 위한 동기로 우울감과 분노, 혼란을 경험했으며 시도 후 후회감 등의 부정적인 영향과 함께 삶에 대한 시각이 바뀌는 경험을 하였다. 끝으로 적극적으로 변화하려고 노력하고 주위의 지지를 받고 상황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면서 자살시도를 극복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의 자살행동과 극복경험에 대한 심층적이고 총체적인 질적 분석을 통하여 자살행동 청소년의 자살 극복 과정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