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경증, 불안, 자기효능감 및 진로탐색행동 간의 경로모형 검증:조절초점이론의 관점으로

        천석준,이기학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2 No.4

        Based on the Regulatory Focus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neuroticism could prompt one'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under a certain circumstance. For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odel fit of the path model driven by the hypothesis that perceived anxiety about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ill enhance performance by providing positive motivational cues to an individual who is high in neuroticism while self-efficacy will impede performance. 223 college students(93 men and 130 women) completed measures of neuroticism,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state anxiety,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regulatory focus strategies. This survey was designed as having two types, one including the instruction about positive role models, the other having negative role models. Then in order to classify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contextual conditions, we randomly assigned the participants to these two types. The results revealed that career exploration anxiety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hile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negatively mediated that relationship. This study also looks into whether relevant variables vary depending on different regulatory focus mechanisms, and whether accordance/discordance between dispositional regulatory focus and situational regulatory focus affects the suitability of this study’s path model. When one was more prevention focused, the extension of neuroticism and perceived anxiety was higher. But when one was more focused on promotion, he had higher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And when the dispositional and situational regulatory focus were correspondent, the path model could be applied. Explanations for unexpected outcom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론(Regulatory focus theory)에 근거하여 부정적인 기능만이 강조되어 온 신경증이 특정 맥락 하에서의 진로탐색행동 촉진여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진로탐색행동과 관련하여 지각된 불안은 신경증이 높은 개인에게 적합한 동기적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수행을 향상시키지만, 성공적인 수행에 대한 기대감인 자기효능감은 이에 상응하지 않을 것이란 가정 하에 설정한 경로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생 223명(남학생 93명, 여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신경증척도, 진로탐색자기효능감척도, 상태불안척도, 진로탐색행동척도, 조절초점전략척도가 포함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상황적 맥락에 따라 참가자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긍정적인 역할모델 지시문 또는 부정적인 역할모델 지시문이 포함된 두 종류의 설문에 참가자들을 무선 할당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경로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탐색행동관련불안은 정적으로,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은 부적으로 신경증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서로 다른 조절초점기제에 따른 관련 변인에서의 차이 여부를 조사하고, 개인의 성향적인 조절초점과 상황적으로 일시적으로 유도된 조절초점의 일치여부에 따라 본 연구의 경로모형의 적합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예방초점일수록 신경증과 진로탐색행동관련불안이 크며, 향상초점일수록 수행에 대한 자신감인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향과 상황적 조절초점이 일치하는 경우에서만 본 연구의 경로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과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에서의 Holland 흥미 유형별 내적·맥락적 장벽 요인의 효과모형검증연구

        천석준,이기학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2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influence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consisting of both internal career and contextual barriers on career-decision making processes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pursuit of career domains. 57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sub-factors of perceived contextual barrier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career domains as defined by Holland's RIASEC themes. The perceived contextual barrier consisted of 3 sub-factors; material constraints, social influence, and discrimination. Perceived contextual barriers significantly influenced career related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career interest, and career decisions in all Holland themes but the paths of theses variables differed according to Holland's themes.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both internal career barriers and contextual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Holland's RIASEC themes. Explanations for unexpected outcom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이론을 적용하여 Holland 흥미유형에 따른 한국 대학생의 희망 진로분야의 맥락적 그리고 내적 진로장벽이 진로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N=574명)이 지각하고 있는 맥락적 장벽의 하위요인을 구명하고, Holland의 RIASEC 유형으로 구분한 각각의 진로분야별로 자기효능감, 진로흥미, 진로결정 등의 변인에 진로장벽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한국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맥락적 장벽은 ‘물질적 제약’, ‘사회적 영향’, ‘지역 차별’ 등 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Holland 유형의 모든 진로분야에서 맥락적 장벽의 지각이 진로결정 변인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분야에 따라 맥락적 장벽의 지각과 자기효능감, 진로흥미, 그리고 진로결정 간의 경로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진로장벽과 맥락적 장벽을 진로장벽에 포함시키는 경우에도 Holland 진로유형에 따라 진로결정변인들 간의 관계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Tinto의『분리-전환-통합』 모델에 입각한 대학생활적응검사 Ⅰ·Ⅱ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천석준,김영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 신입생들의 1학년 1학기 이후 중도탈락 이행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 전념수준과 대학의 학문적․사회적 체계에 통합된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관련 하위요인들을 Tinto의 ‘분리-전환-통합’ 모델에 입각하여 각 시점별로 대학생들의 적응수준 변화양상을 평가할 수 있도록 대학생활적응검사Ⅰ과 Ⅱ로 독립된 형태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3단계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1에서는 대학생활적응검사Ⅰ의 구성 타당도와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 2에서는 대학생활적응검사 Ⅱ의 구성 타당도와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3에서는 대학생활적응검사 Ⅰ과 Ⅱ를 통해 측정한 결과가 실제 1학년 1학기 이후의 중도탈락 여부를 예측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일련의 연구를 통해 대학생활적응검사 Ⅰ·Ⅱ가 비교적 안정적인 구조를 지니는 척도임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중도탈락 행동을 예측하는데 어느 정도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들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article undertaken with Korean college freshmen developed and validated Student Adjustment Test(SAT) Ⅰ·Ⅱ. Based on Tinto's theoretical model of 'separation-transition-integration stages'. each of two instruments was performed at different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suggested stages of adjustment, and these instruments were designed to assess the level of initial commitment to the university and the level of integration between a freshman and a university, which have been assumed to influence freshman's decision related to early departure after the first semester. Three studies were performed. The first study examined the construct and concurrent validity of SAT Ⅰ. The second study investigated the construct and convergent validity of SATⅡ. The las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dictive validity of SATⅠ·Ⅱ. The results through a series of studies suggested that SATⅠ·Ⅱ are validated instruments, and contributed to predict freshmen's early departur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간보기 “?” 의 차별적 사용에 대한 한국과 미국 간 비교 문화적 검증: 혼합 문항반응분석의 적용

        이필석,천석준,이선희 한국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3 No.3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응답자들이 평정척도 상의 중간보기 “?”를 서로 다르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비교 문화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직무기술척도(Job Descriptive Index)에 대한 한국과 미국 집단(각각 932명)의 응답을 다집단 범주적 확인적 요인분석(Multi-Group Categorica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과 혼합문항반응이론(Mixed-Model Item Response Theory)으로 분석하였다. 다집단 분석결과, 두 집단 간에 측정틀 동일성과 측정단위 동일성은 성립하였으나, 임계치 모수의 구조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문항반응이론을 실시한 결과, 한국과 미국집단 모두에서 응답범주에 대한 반응양상이 다른 세 개의 하위 잠재집단이 존재하였다. 이 중 “?” 응답범주를 많이 선택하는 “?” 선호집단에 대한 보다 자세한 분석 결과, 미국 표본에서는 “?” 선호 집단의 비중이 매우 적고, 응답범주의 순차성 가정이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 표본에서는 “?” 선호집단이 다른 하위 잠재집단과 유사한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을 비교적 일정한 간격을 지니는 순차적 평정척도의 중간보기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간보기 “?”의 사용에 대한 적용적 시사점 및 추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differential use of the middle category “?” opti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workers using the 2009 version Job Descriptive Index(JDI). For this purpose, a multi-group categorica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mixed-model item response theory(MM-IRT) analysis were conducted across a Korean worker sample and American normative sample (N=932 for each). The multi-group analysis result supported configural and metric invariance across the groups. However, the threshold structure was not invariant across the groups. The MM-IRT analysis identified three latent subgroups within both Korean and American samples. Overall, the Korean group has larger subgroup class size favoring the “?” option than the American group. An inspection of item parameters revealed the threshold locations of the mixed partial credit model were frequently disordered for the American group, but not for the Korean group.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issu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적서비스 영역에서 청소년상담의 미래 전망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배주미,박현진,천석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0 청소년상담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future outlook for youth counseling in the Korean public sector. The Delphi method was employed to predict the target population, method of delivery, and service systems for youth counseling as a public service. Fifty academic and field experts in youth counseling were initially requested to describe ‘the future outlook for youth counseling as a public service,’ among whom 20 experts completed the second and third Delphi survey rounds. Results have been derived from the responses of those 20 experts. ‘The management systems and strategies’ aspect of the overall outlook involved an increased demand for counseling as a public service, the need for development of services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private institutions, an increase in multidisciplinary expert team approaches, stimulation of localized counseling services and systems networking, growth in online and mobile communications counseling services, furtherance of short-term and online counseling experts training, specialization by local governments, establishment of voucher plans for the low-income groups, emphases on the effectiveness and liability of the counseling services. The ‘target population and contents of counseling services’ aspect of future outlook involved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of the target population of public youth counseling services, an increased need for specialized interventions for psychopathologic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d suicide, the need for multiple intervention methods for adolescent delinquency, internet addiction, and acute social withdrawal, advancement in counseling services for the multicultural, low-income, or underprivileged groups, a rise in the demand for universal school-based prevention programs, and an increased need for career counseling service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공적서비스 영역에서의 청소년상담의 미래전망이 어떠한가를 전문가 델파이 방식을 통해 예측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상담 관련 학계 및 현장전문가 50인에게 ‘공적서비스로의 청소년상담 의 미래전망’을 기술하도록 요청 하였으며, 2차와 3차 델파이조사에 응한 최종 20인의 의견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공적서비스로의 청소년상담과 관련하여 ‘운영체제 및 제도’ 측면에서는 공적서비스에 대한 상 담요구의 증가, 사설기관과의 차별화된 서비스 개발요구, 다학제간 전문가로 구성된 팀접근, 지역중심의 상담 및 시스템 연계 활성화, 사이버 및 이동통신을 통한 상담증가, 사이버상담의 전문가와 단기상담의 활 성화, 지자체별로 특화, 빈곤층에 대한 바우처제도 확립, 상담효과성 및 책무성 강조, 전문학교상담인력에 대한 정책 활성화 등이 전망되었으며, ‘상담대상 및 내용’과 관련된 측면에서는 공적서비스 영역에서의 청 소년상담 서비스 대상의 다양화와 확대, 정신병리 및 우울, 자살 등의 전문적 개입에 대한 요구 증가, 청 소년비행, 인터넷중독, 은둔형외톨이 등의 영역에 대한 다양한 개입 요구, 다문화 및 저소득층, 소외계층에 대한 상담활성화, 학교기반의 보편적 예방교육 필요성 증가, 진로상담 욕구 증가 등이 예측되었다. 마지막 으로 이를 중심으로 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