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촌 문제로서의 가축전염병 -일제시대 신문에 나타난 구제역-

        천명선 ( Myung Sun Chun ) 한국농업사학회 2012 농업사연구 Vol.11 No.1

        1930년대 이후 현대사의 혼란과 축산업의 현대화 과정에서 구제역에 대한 농촌사회의 역사적 경험은 잊혀졌으며 이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이슈가 되었던 두 번의 구제역 유행에서 도움을 주지 못했다. 그러나 20세기 초반 한국 내 구제역은 우역 및 탄저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가축전염병 중 하나였다. 당시는 일제 식민지 하에서 일본식 근대 방역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방역 제도와 인력이 재정비 된 시기이다. 가축전염병은 축산생산력을 감소시키는 가장 큰 위해 요소이기 때문에 국가적이고 조직적인 관리가 진행되었다. 구제역이 전파력은 강하지만 치사율이 높지 않은 질병임이 잘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가축전염병예방 법규에 법정전염병으로 명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강제적인 살처분은 수행되지 않았다. 일본인 수의사들을 중심으로 수행된 근대 방역책은 당시 축우 개량 사업, 농촌 진흥 운동 등과 맞물려 농촌사회에 변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가축위생통계와 더불어 신문자료는 촌락 내 전통수의 인력의 재교육, 일본인 수의사와 농촌사회의 마찰, 농촌사회 내 가축방역을 위한 자경단 활동, 축력 농법과 가축전염병의 관계 등에 대한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구제역을 비롯한 가축전염병 방역에 대한 일본의 식민지 위생정책의 단면을 보여주기도 한다. 신문자료에 따르면1919년과 1933년의 구제역은 당시 가장 규모가 큰 가축전염병이었으나 발생과 대처방안은 서로 달랐다. 조사된 163개의 신문기사 중 117개가 1933년 구제역 발생에 집중되어있었다. 1919년에는 구제역 발생 규모와 발생지역 면에 있어 가장 심각한 유행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에는 치사율이 높은 우역과탄저가 주요 관심사였으며, 아직 근대 방역조직이 완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그 심각성이 부각되지 않았다. 그러나 1933년에는 일본 이출우 검역 중에 구제역이 진단된 것을 계기로 심도 깊은 연구와 전반적인 조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1930년 대 우역과탄저 발생 감소와 일본으로의 이출우 증가추세에서 그 배경을 추측해 볼 수 있다.이처럼 일제시대 구제역 발생 자료를 통해 가축전염병에 대한 대처방안이 원인체의 발견과 수의학의 발전뿐만 아니라 경제적, 제도적, 사회문화적 영향 하에 있었음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Foot and mouth disease is not a new epizootic in Korea. However, the whole society panicked about the recent FMD outbreak in 2010/2011. Lack of societal experience and memories of the disease leads to underestimate the social and cultural impact of the disease. To prevent another chaos of animal pandemic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what can be learned from the history. Because over 80% of populations were engaged in agriculture industry, FMD in the early 20th should be investigated as a complex rural issue, not simply as an eradication process of an infectious disease. Sanitary modernity and colonial sanitary policy can also give a clue to analyze the FMD outbreaks in that turbulent era. The colonial Japanese ruling body in Korea strictly controlled livestock diseases in the context of efforts to increase livestock productivity and build a shield against epizootics for Japan. According to the animal disease statistics the major FMD outbreaks occurred in 1919 and in 1933. Although the damage of the first outbreak in 1919 was worse, the second outbreak in 1933 received more attention. 117 out of 163 FMD articles found in three biggest newspapers were concentrated in 1933. It was well informed that FMD was highly contagious but not lethal and most important measure against the disease was restriction of livestock movement. Although the regulation permitted the culling strategy against FMD, the infected animals were not slaughtered, nor vaccinated. Prevention strategy against animal diseases and response of rural community were also different between the two outbreaks. It was caused by the changes in rural economic situation, livestock policy, animal disease prevention laws, cattle exports and quarantine to Japan, and supply of veterinary professionals.

      • KCI등재

        스코필드 박사의 학문세계

        천명선 ( Myung-sun Chun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의학사연구소 2016 연세의사학 Vol.19 No.1

        Frank W. Schofield was an excellent veterinary scientist who produced about 140 academic works during his 50 year career. In 1910 he started his career as a brilliant young scholar graduating with highest honor at Ontario Veterinary College. During the enthusiastic service in Korea he reported the 1918 influenza pandemic in Korea and tired to discover the pathogenic of the Ontario Veterinary College for 35 years. The most well-known academic success was the research on sweet clover, the cause of sudden hemorrhage in cattle with his age 33. This lines of early academic success strengthened the force of his character as scientist. After his retirement, Schofield returned resources he created the best results in research. He worked with creativity and did his research beyond disciplines. Schofield``s academic success was based on intellectual curiosity and his faith in solving the problems to help people in difficulties.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가축기형체에 대한 기록

        천명선 ( Myung Sun Chun ) 한국농업사학회 2013 농업사연구 Vol.12 No.1

        조선왕조실록은 가축의 질병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담고 있다. 이 자료들은 비록 과학이나 의학적 이론에 근거한 관찰의 기록은 아니지만 질병의 발생과 분포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축질병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동물기형에 대한 중세적 해석은 재앙의 상징이나 재이의 예고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실록 색인 ‘수의학’, ‘생물’, ‘축산’등으로 분류된 약 2000 건의 기사중 196건의 가축 기형체 출산 기록을 분석하였다. 기형체는 그 형태와 특징이 잘 묘사되어 있어 대부분 유형을 구분할 수 있었으며 그 기록은 중종 대에서 영조 대까지 집중되어 있었다.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기형체는 결합쌍생체였으며 주요 동물은 소였다. 이밖에도 다지 기형과 무지증 등도 소, 개, 닭, 산양 등에서 관찰되었다. ‘암탉이 변하여 수탉이 된’ 사례와 마찬가지로 가축 기형체 발생에 대한 정치적인 해석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기형발생기록의 절대적인 수나 재위기간 1년당 평균 기록은 명종, 효종, 현종, 숙종 재위기간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자연발생률을 고려할 때 그 기록이 과도하게 부풀려졌거나 일어나지 않은 사건을 거짓으로 보고했을 확률은 낮아 보인다. 또한, 실록의 한정된 자료만으로 단언하기는 힘들지만 환경의 영향, 또는 전염병들의 영향으로 특정 시기에 기형체의 발생이 집중되었다고 보기에도 무리가 있다. 또한, 이것이 일반 대중에게 재앙의 상징으로 두려움이나 혼란을 야기했거나 축산 생산성에 위협적인요소였다고 보기도 어렵다. 실록에 기형체 발생을 기록함에 있어 정치적 해석을 경계하는 사례가 언급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것이 조선 후기 이후 기형학 또는 발생학의 발전으로 이어지는 과학적 해석에 대한 지원으로 이어지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Birth defects of humans and animals were not considered as diseases but as natural disaster in the Middle Ages. In this study, 196 cases of animal birth malformations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were classified with the modern concept of teratology. 90% of animal birth malformations were classified as conjoined twins. Half of all animal cases belonged to cattle. Cranial duplication of cattle and posterior duplication of chickens were the most frequent cases. Polymelia of cattle, horses and chickens was also found. Occurrence patterns, concentrated during the period from 1500 to 1750, were similar to those of repeated severe weather changes, famine, and epidemics during the same period. This similarity in the occurrence patterns might explain the exceptional increase of birth defects because congenital anomalies could b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and contagious diseases. In the Choson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 portentology, natural phenomena such as weather, diseases, and earthquakes were signs for maladministration and justified restraining the king`s power. Therefore, the records of animal birth defects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have been understood from a political context. However, in spite of a strong relationship to the political situation, the records written and chosen by Confucian historiographers hardly seem to be factious and intentionally exaggerated. Taking the differences in the records` density and the duration of a king`s time on the thrown into account, the incidence rate reported in the Annals of Choson dynasty was not extraordinarily high. The political argues on birth defects of domestic animals in the Middle Ages in Korea did not motivate the scientific development of teratology but limited it to pure political actions.

      • AHCISCOPUSKCI등재
      • AHCISCOPUSKCI등재
      • 조선시대 가축전염병 -개념, 발생 양상 및 방역을 중심으로-

        천명선 ( Myung Sun Chun ) 한국농업사학회 2014 농업사연구 Vol.13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oncept of Yeok (epidemic disease) and its outbreaks, diagnosis, etiology, treatment and prevention in the traditional veterinary medicine. The term of U Yeok (infectious disease of cattle) implied unusual outbreaks of endemic or epidemic disease of cattle, which did not distinguish the causes of diseases. Inferring from the epizootic statistics of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 rinderpest, anthrax, blackleg and Foot and mouth disease could be taken in consideration under the term U Yeok. In the veterinary classics the Yeok was differentiated with the terms of On Yeok (infectious disease), Chang Yeok (pestilence), Si Yeok (seasonal epidemics) and Chol Yeok (acute epidemics). In Korea, U Yeok was prevalent throughout the 15-18th centuries. Specifically U Yeok in the 17th century was supposed to have been ‘rinderpest’by the evidence of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rapid spread, seasonal characteristics, simulataneous outbreak with cattle epidemics in Japan. Incidence rate and propotional mortality or case fatility were hard to estimate due to the unaccurate or viased date from the historical documents. It was believed that epidemic diseases were caused by broken macroscopic balance due to the evil spirit, irregular weather change, change of Qi, unclean environment, and overcrowding. Historical documents often reported simultaneous outbreaks of human and animal epidemics after unexpected climate change which could influence Qi of the earth ruling agriculture. Controling and preventing epizootic diseases were considered as the virtue of loving living-beings and benevolent government in the Middle Age in Korea. Epizootic policies were focused on preserving draft animal power and sustaing food supply for people. For treatment of illness, recovering the balance and function of the body of an individual was considered to be is more important than establishing a standard treatment for a specific disease. Therefore herbs and minerals were used to alleviate symptomes of fever, nasal discharge, or anorexia to the infected animals.

      • KCI등재

        일제강점기 가축전염병의 지리적 분포

        천명선(Myung-Sun Chu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9 문화 역사 지리 Vol.31 No.1

        인간은 의도와 필요에 따라 가축을 특정 지역에 배치하고 이동시킨다. 따라서 가축 질병의 지리적 분포는 병원체와 동물, 그리고 인간 행위와 환경의 복합적인 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한반도 내 가축전염병 분포의 지역별 특성과 각 질병의 특성에 따른 정책적, 사회적 대응 방식에 근거하여, 주요 가축전염병을 국경형 질병(우 역, 구제역, 우폐역), 토착형 질병(탄저, 기종저, 광견병), 유입형 질병(돈역, 계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가축 질병의 지리적 분포에 근거한 분석은 근대 이후 한반도에서 가축 질병 발생 양상은 병원체의 특성뿐 아니라 방역 정책과 제도는 물론 가축의 도입과 사육, 대중의 반응과 인식을 포함하는 사회문화적 요소를 포함한 것으로 가축 질병의 전파를 해석하는 통합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Geographic distribution of livestock diseases is a complex outcome of the interaction between pathogen, animals, humans, and the environment. In this study, geographic distribution of livestock infectious diseases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livestock infectious diseases policy, outbreak and spread of the diseases, and social response. Major livestock infectious disea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border type (rinderpest, foot-and-mouth disease, and contagious bovine pleuropneumonia), endemic type (blackleg, anthrax, and rabies) and invasive type (classic swine fever and chicken plague). A perspective of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livestock diseases reveals not only the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pathogens but also the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livestock production, public response, and awareness of livestock diseases.

      • 근대 우역 개념 및 방역제도의 변화

        천명선 ( Myung Sun Chun ),심유정 ( Yu Jeong Sim ) 한국농업사학회 2015 농업사연구 Vol.14 No.1

        20세기까지 우역(牛疫, rinderpest)은 동아시아의 경제와 민생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회문제였다. 또한, 우역은 전 세계적으로 근대적인 개념의 방역과 검역이 발전하는데 있어 동기를 부여한 질병이기도 하다. 가축위생통계에 따르면 19세기 말까지 전국적으로 위세를 떨치던 우역은 1908년과 1920년의 비교적 대규모 발생을 끝으로 점차 사라졌고 1931년 이후에는 발생이 보고 되지 않았다. 조선 말과 대한제국 시대는 근대적인 방역 제도 인력 양성 제도가 완성되지 않은 혼란의 상태로 전통적 개념의 우역과 근대적 개념의 우역이 혼재되어 있었던 시기이다. 일제강점기 동안 식민지 지배를 바탕으로 한 가축전염병 연구는 종종 찾아볼 수 있으나 이 시기의 연구는 군부(軍部)나 수의(獸醫)조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농민이나 일반 대중의 인식과 우역의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는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제국(1897-1910) 시대 대표적인 두 언론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의 우역 관련 기사 총 110건을 분석하여, 우역의 개념, 우역의 발생, 민간의 인식, 정부의 대응, 전문가의 활동 등을 주제별로 정리하였다. 덧붙여 같은 시기 탄저나 구제역의 발생 및 이들 질병에 대한 인식과 대응방안도 함께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적인 가축 전염병의 개념과 병인론이 한국의 대중과 언론을 통해 어떻게 구성 되었는지에 대한 한 단면을 제시하였다. Rinderpest in the Dae-Han Empire (1897-1910) represented modernization of agriculture, veterinary service and quarantine system in Korea.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changing public perception of cattle plague through analyzing the two main newspaper articles on rinderpest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20th century. The ambiguous concept of rinderpest was differentiated from anthrax and other epizootic diseases of cattle, although there was still the confusing use of the medical terms. Concepts of germ theory, immune and vaccination were adopted in everyday words without any special education. Rinderpest became more important because it was a barrier against the export live cattle to Japan, which decreased benefit to rural community. Hygiene was one part of the effective ideology to colonize Korea. Modernized Japanese veterinary professionals investigated epizootics in Korea and provided the Dae-Han Empire with informations and workforce for prevention of livestock diseases. They tried to build modernized quarantine system in Korea to prevent rinderpest from the China and Russia to Japan. Although there were efforts to modernize the veterinary and livestock system in private sector in Korea, it was not strong enough to lead the main stream of change.

      • SCOPUSKCI등재

        국내 수의과대학생의 스트레스 경험 연구

        김재은,주설아,천명선,이동혁,남상섭,Kim, Jae Eun,Joo, Seola,Chun, Myung-Sun,Lee, Donghyuck,Nahm, Sang-Soep 대한수의학회 2020 大韓獸醫學會誌 Vol.60 No.2

        The quality of a veterinary service depends on the veterinarian's physical and mental health. However, a veterinarian's mental health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more vulnerable than that of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As many veterinary students will enter the veterinary profession in near futu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ir psychological status. This study examined stressors affecting student life in one veterinary school.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levels were assessed using questionnaires and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The results obtained from questionnaire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veterinary students with psychological distress was higher than expected. The major stressors experienced by the veterinary students were academic, economic, and environmental. Qualitative study using a photovoice method revealed that the students in this study felt relatively deprived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veterinary schools. In addition, they were distressed by the school environment and limited human relationship. Our results suggest that veterinary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be aware of students' psychological distress and should undertake systematic improvement in their educational system by altering counseling programs, curricula, and school culture principles.

      • KCI등재

        구제역 관련자들의 체험과 그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전은희(Eun Hee Jeon),천명선(Myung Sun Chun) 한국농촌사회학회 2012 農村社會 Vol.22 No.2

        본 연구는 질적 접근을 통해 2010년-2011년 Y시의 구제역 관련자들(농가와 공무원, 개업 수의사)이 구제역 사태를 어떻게 체험하였으며, 그 의미와 시사점은 무엇인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농가는 구제역 사태 동안 고립감과 불안에 시달리고 있었다. 또 살처분과 매몰로 인한 트라우마를 겪고 있었으며 살처분 이후에도 허탈과 분노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리고 각기 다른 정부 부처의 혼란스러운 행정 지침들로 인해 정부를 불신하고 있었으며, 매몰지 탐색과 백신 분배의 과정에서 이웃과 갈등하고 있었다. 또한 농가들은 혼란스럽고 까다로운 보상 기준으로 인해 재산상의 피해를 입고 있었으며, 구제역에 대한 지역사회의 몰이해로 소외감을 느끼고 있었다. 공무원들은 구제역 기간 내내 인력부족과 과로에 시달리고 있었다. 또 농가들과 마찬가지로 살처분의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일부는 인격의 붕괴를 겪고 있었다. 또한 구제역 사태가 진정된 이후에도 구제역을 막아내지 못했다는 자책감과 무력감에 괴로워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공무원들은, 폭주하는 민원과 각기 다른 농가의 요구 등으로 농가와 갈등하고 있었다. 이는 정부 기관에서 하달되는 모순적인 행정 지침들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었다. 또한 공무원들은 인력 부족과 과로 등으로 조직내 불화에 시달리고 있었으며, 구제역 현장에 대한 이해 없이 일방적으로 공무원들을 질타하는 상부기관과 언론을 원망하고 있었다. 백신 예방 접종에 동원된 개업 수의사들은, 인력부족과 과로, 비전문성으로 인한 상해의 위험, 고객의 상실로 인한 무료함과 우울증에 노출되어 있었다. 또 고객의 유실과 생업의 중단으로 경제적 손실에 노출되어 있었으나, 이 과정에서 새로운 관계맺기 와 거래처 확보에 이르기도 했다. 이상의 논의에 기초하면, 구제역 관련자들의 체험은 하나의 "구조적 폭력"으로 규정될 수 있다. 구제역 관련자들은 구제역 사태를 개인적·정신적, 경제적, 사회적 폭력으로 체험하고 있었으며, 이는 경제적 논리에 기초하여 일방적으로 구제역 사태를 진압하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에서 기인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향후 구제역 사태에서는, 구제역을 단순히 경제적 문제로서가 아닌 사람과 생태, 그리고 공동체의 문제로 이해하는 근본적 인식의 재고가 요구된다. 더불어, 관련자들의 트라우마와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체계적인 대응 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아울러 구제역 체험자들의 트라우마에 대한 제도적, 학문적 관심이 요구된다. The aim 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analyze what the citizen, veterinarians and public officers in City Y experienced and felt during Foot and Mouth Disease outbreak 2010-2011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s in the animal disease control and recovery policy. The livestock farmers in City Y suffered from isolation and anxiety during the process of the disease detection and diagnosis. Experience of culling and burying animals left them traumatic memory and despondency and anger remained long after the process. Conflicts among the livestock farmers about burial sites or distribution of vaccines and the unclear guidelines of local and central authorities drove them into more stressful situation. Furthermore lack of understanding of neighbors and local communities made them feel isolated in the community.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farms caused by FMD were underestimated in the compensation policy. During the FMD outbreak public officers were suffering from overloaded work, fatigue and trauma caused by culling process. They expressed their feeling of guilty and failure that they could not control the disease. They blamed upper authorities and public media for shortage of manpower and an inconsistent policy resulting in their conflicts with farmers and with colleagues. Veterinarians practiced in the community temporally lost their job during the FMD outbreak, which was not covered by compensation policy. Those who mobilized to vaccinate cattle and pigs also were exposed to the risk of injury and economic loss during the closing their clinics. From the study the FMD experience of community members is described as a "systemic violence," caused by the arbitrary policy based on economic strategy. The change of FMD perception as economic loss to as problem of human, ecosystem and whole community, improvement of a community based recovery policy including treating trauma of all members, more flexible and clear guidelines against the epizootic, and systemic support for further researches on that issue could b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