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소련 음악

        채혜연(Chae Hae 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러시아 프롤레타리아 음악가 협회’는 레닌, 붉은 군대, 그리고 혁명을 주제로 1929년부터 1932년까지 소련음악계에 군림했다. 그러나 1932년 예술조직의 재편성에 따라 ‘러시아프롤레타리아 음악가 협회’는 해체되고 ‘소비에트 작곡가 동맹’이 창립되었다. 쇼스타코비치를 비롯한 1920년대의 ‘레닌그라드 현대음악협회’의 작곡가들은 ‘소비에트 작곡가 동맹’의 회원이 되었다. 그들은 앞으로 자신들은 ‘러시아 프롤레타리아 음악가 협회’의 체제 보다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작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쇼스타코비치의《므첸스크군의 맥베드부인》(1930-1932)은 소련사회가 이렇게 변화하는 시기에 완성되었다. 특히 쇼스타코비치는 이 오페라를 통해 여성의 비극을 사회적 관점에서 보고, 그 상황을 고발한다. 한편 1934년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선포된 이후 작곡가들이 대중성과 단순성에 역점을 두면서 당성, 민중성, 사상성으로 작품을 작곡하였다. 뛰어난 음악의 예는 프로코피에프의《키제 중위》, 미야스코프스키의《교향곡 제16번》, 크니퍼의《교향곡 제4번》, 그리고 드제르진스키의 《고요한 돈강》등이다. 1934년부터 2년동안 공연된《므첸스크군의 맥베드 부인》은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도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1936년 「프라브다」는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을 형식주의와 포르노 퇴폐 음악으로 규정하였다. 쇼스타코비치는 노력 끝에《교향곡 제5번》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 음악가’라는 찬사를 받고 복권되었다. 단순성과 대중성으로 작품을 쓰기 위해 고국에 돌아온 프로코피에프도 이 시기에 《피터와 늑대》,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그리고 많은 영화음악 등을 작곡하면서 자신이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곡가임을 확인시켰다. 대중성과 단순성 그리고 예술성을 가진 1930년대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품들이 난해한 기법을 사용한 현대음악작품보다 대중에게 더 엄청난 힘을 발휘했다. The Russian Association of Proletarian Musicians (RAPM) had influenced the Soviet Union Music in Leningrad in 1929-32 with subject to Lenin, the Red Army and the Revolu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1932, RAPM was dissolved and the Union of Soviet Composers was founded. Former members of the Leningrad Association of Contemporary Music (LACM) including Shostakovich became members of the Union of Soviet Composers. They believed that in the future they would be able to compose more freely than under the system of RAPM. Shostakovich's The Lady Macbeth of the Mtsensk District was completed during this period in the Soviet Union. Shostakovich attempted to vindicate the heroine and portray her as a victim of the stifling atmosphere of the Nineteenth century. He denunciated the situation. Socialist Realism was launched in 1934. Socialist Realism describes Communist truth, party spirit, and nationality as an expression of the interest of the Proletariat. Soviet composers were expected to ensure the application of this formula. The outstanding representatives of Socialist Realism were Prokofiev's Lieutenant Kije, Miaskovsky's The Sixteenth Symphony, Knipper's The Fourth Symphony, and Dzerzhinsky's The Quiet Don and so on. The Lady Macbeth of the Mtsensk District won enormous, national and worldwide success in 1934-36. However, abruptly Pravda criticized Shostakovich's opera The Lady Macbeth of the Mtsensk District. It was labelled as formalistic, and sexual pornographic music. With his Fifth Symphony, Shostakovich was rehabilitated as the Socialist Realism Composer. Prokofiev returned to the Soviet in the middle of the Thirties to compose some simple and popular works. Prokofiev was considered as a Socialist Realism Composer with such works as Peter and the Wolf , Alexander Nevsky, and many pieces for film. Among the Socialist Realism Music, those compositions which contain popularity, simplicity, and artistry had a more powerful effect on the masses than difficult modern music.

      • KCI등재

        대조국전쟁 이후 스탈린체제 말까지 소련의 음악

        채혜연(Chae, Hae 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4

        본 논문은 대조국전쟁 이후 스탈린체제 말까지의 소련의 음악을 연구한다. 대조국전쟁 기간 동안 애국심이 모든 예술의 주제였다면, 1948년 결의안 발표 이후 소련의 음악은 사회주의 리얼리즘 음악으로 회귀했다.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무라델리의 오페라 《위대한 우정》에 관하여’를 1948년 2월 10일 발표하였다. 결의안의 시작은 무라델리의 오페라에 대한 것이었지만, 실제는 소련 국민에게 반대되는 형식주의 음악에 대한 비판이었고, 작곡가들이 소련 국민에게 높은 수준의 음악을 주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여기에는 프로코피에프, 쇼스타코비치, 하차투리안, 포포프, 미야스코프스키, 셰발린 그리고 무라델리가 포함되었다. 형식주의 대표적인 작품들로 프로코피에프의 《교향곡 제6번》, 《피아노 소나타들》,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제8번》, 《교향곡 제9번》, 하차투리안의 《교향시》, 포포프의 《교향곡 제3번》, 미야스코프스키의 《피아노 소나타들》, 셰발린의 《현악 4중주》 등이 지적되었다. 이렇게 비판받았던 작곡가들은 불안정한 위치에 있었고, 당은 모든 음악을 리얼리즘과 형식주의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1949년 결의안에서 높은 수준의 비평은 소련 작곡가들이 볼셰비키 당의 정신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기초하여 작곡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이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결의안에서 마젤, 긴즈부르그, 페켈리스, 그루버, 리바노바 등 음악이론가, 음악역사가, 음악학자 35명이 발표되었다. 결의안은 현대음악 비평가뿐만 아니라 음악교재의 저자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작곡가들은 사회주의 리얼리즘 음악을 작곡하였다. 그 중 뛰어난 작품은 다음과 같다. 프로코피에프의 《석화에 관한 이야기》, 《겨울의 화톳불》, 《평화의 수호》,《교향곡 제7번》, 쇼스타코비치의 《숲의 노래》, 《10개의 시곡》 등이다. We study the Soviet Music from 1945 to the end of the Stalin System in this paper. The theme of the all arts was patrotism during the Great Patriotic War. But Soviet Music returned to the Socialst Realism Music after the Resolution of 1948. Although the Resolution of 1948 started with an attack on Muradeli’s oprea, it was a real critique of the formalistic tendency, especially Shostakovich and Prokofiev. It was emphasized that the Soviet composers should give a high level of music to the Soviet people. According to the Resolution, Shostakovich, Prokofiev, Khachaturian, Shebalin, Popov, Miaskovsky, and Muradeli were the formalist composers. The formalistic trend had led Soviet composer to favor forms of instrumental textless symphonic music while disdaining opera and choral music. Many works have been pointed out as the formalism representative works. There were, for instance, Prokofiev’s Sixth Symphony, and Piano Sonatas, Shostakovich’s Eighth Symphony and Ninth Symphony, Khachaturian’s Symphony-Poem, Popov’s Third Symphony, Miaskovsky’s Piano Sonatas, Shebalin’s String Quartet, and so on. At any rate, the composers censured in the 1948 Resolution were in the uncomfortable position. whatever they wrote was immediately analyzed as to realism and formalism. The Resolution of 1949 affected not only critics of contemporary music, but also music historians and authors of textbooks. There were thirty-five names including Mazel, Ginzburg, Pekelis and Livanova.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1949, the principal task of high-principled criticism is to help the soviet composers along the path towards Socialist Realism, in the spirit of Bolshevik partyness, The outstanding representatives of the Socialist Realism Music were composed. There were, for instance, Prokofiev’s The Stone Flower, Winter Bonfire, On Guard for Peace and Seventh Symphony, Shostakovich’s The song of the Forests and 10 Poem on Texts by Revolutionary Poets, and so on.

      • KCI등재

        대조국전쟁 시기의 소련음악

        채혜연(Chae, Hae 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4

        대조국전쟁은 1930년대 이후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강령으로 작품 활동을 계속 해왔던 소련의 음악가들에게 애국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래서 오페라, 성악음악 뿐만 아니라 오케스트라 작품, 그리고 발레까지 애국심을 주제로 작품이 만들어졌다. 예를 들면 카발레프스키의 《모스크바 근교》, 《위대한 조국》, 프로코피에프의 《전쟁과 평화》, 《교향곡 제5번》. 《바이올린 소나타 제2번》, 《피아노 소나타 제7번》, 《피아노 소나타 제8번》, 미야스코프스키의 《교향곡 제22번》, 《교향곡 제23번》, 《키로프는 우리와 함께 있다》, 하차투리안의 《교향곡 제2번》,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제7번》, 《교향곡 제8번》, 《교향곡 제9번》,《피아노 3중주 제2번》,《현악4중주곡 제2번》등 수많은 작품들이 작곡되었다. 한편 쇼스타코비치가 작곡한 ‘전쟁 3부작 교향곡’은 《교향곡 제7번》, 《교향곡 제8번》, 그리고 《교향곡 제9번》을 말한다. 《교향곡 제7번》의 제1악장은 ‘레닌그라드 전투’를 생생히 표현하고 있으며 제3악장은 러시아적 시공간 감각을, 마지막 악장은 다가올 승리를 표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편성의 악기편성이 사용되었다. 특히 이 《교향곡 제7번》은 표제음악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극치를 보여준다. 《교향곡 제8번》의 제3악장은 폭탄의 화염속의 스탈린그라드를 묘사하며 마지막 악장에서 가장 여린음으로 연주되며 끝나는 것은 승리를 축하하는 요란함이 아니라, 진정한 평화에 대한 더 강한 동경을 표현하고 있다. 《교향곡 제9번》은 종전에 대한 쇼스타코비치의 찬가이다. 이 곡은 앞의 두 개의 교향곡과 다르게 좀 더 간결하고 산뜻하며, 관현악법은 실내음악과 같이 고전적이다. 쇼스타코비치는 인류역사상 일찍이 전례가 없었던 참혹했던 전쟁의 엄청난 규모와 격정 그리고 러시아어와 국가를 지키기 위한 러시아 국민의 투쟁과 삶을 표현하기를 원했다. 그는 이를 위해 일반적 교향곡 형식을 뛰어넘는 ‘전쟁 3부작 교향곡’으로 작곡했다. 이는 그 자체로 대조국전쟁에 대한 서사시이자, 다큐멘터리이며, 한 편의 대하드라마였다. The Great Patriotic War awakened the patriotism of Soviet composers who worked with general principal of Socialist Realism after 1930s. Many masterpieces were composed in operas, vocal musics, symphonic works and ballets with patriotic theme. There were, for instances, Kabalevsky’s The Great Motherland and Near Moscow, Prokofiev’s War and Peace, Fifth Symphony, Second Violin Sonata, Seventh, and Eighth Piano Sonata, Myaskovsky’s Twenty-second Symphony, Twenty-third Symphony and Kirov is with Us, Khachaturyan’s Second Symphony, Shostakovich’s Seventh Symphony, Eighth Symphony, Ninth Symphony, Second Piano Trio, Second String Quartet, and so on. Shostakovich’s ‘War Triptych Symphony’ includes the Seventh, Eighth and Ninth Symphony. In the Seventh Symphony, the first movement is a vivid description of Leningrad Combat, the third movement describes the Russian space-time sense, and the finale movement is a description of the coming victory of the War. Great orchestration is used for the maximum effect of Leningrad Combat. Specially the first movement of the Seventh, ‘The Leningrad’, is actually programmatic. In the Eighth Symphony, the third movement is a description of the Stalingrad under shell-fire, the finale movement is ended as pianissimo, not for noisy congratulation of the victory but for the most strong longing for the real peace. The Ninth Symphony is Shostakovich’s celebration of the end of the War. In contrast to the Seventh and Eighth Symphonies, the Ninth Symphony is more laconic and neat, orchestrated with chamber music-like and classical style. Shostakovich wanted to express the extraordinary scale and passion of the miserable War which had never been experienced in human history, and Russian people’s struggle for their rights to exist as a nation and protection the Russian language against the enemy. Shostakovich used the unique form of symphony as composing the ‘War Triptych Symphony’, and the concerned form is discu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1920년대 소련음악에 나타난 다양성, 대중성, 창조성

        채혜연(Chae Hae 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8 노어노문학 Vol.20 No.2

        러시아혁명은 농민과 노동자들에게 예술을 가져다주었다. 그에 따라 예술은 인민에게 속해야 했고 인민에 의해 이해되어야 했으며 사랑받아야 했다. 그리고 예술분야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실험이 장려되었다. 신경제정책 시기의 경제 발전의 여파는 문화예술정책에도 나타났고, ‘현대음악협회’와 ‘러시아 프롤레타리아 음악가 협회’의 창립을 이끌어냈다. ‘현대음악협회’는 혁명을 통해 음악은 새로운 표현의 형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러시아 프롤레타리아 음악가 협회’는 혁명을 통해 음악이 노동계급을 위한 표현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시기에 소련의 현대음악은 서구음악 못지않게 여러 가지 현대적인 기법을 다양하게 실험적으로 창조할 수 있었고 프롤레타리아 음악은 대중을 위한, 그리고 대중에게 이해될 수 있는 음악을 만들었으며 혁명과 체제를 선전하기 위한 음악을 만들어냈다. 카스탈스키, 다비덴코, 코르치마레프, 그리고 크라세프 등은 대표적인 프롤레타리아 음악가들이었고 모솔로프, 미야스코프스키, 쉬체르바초프, 포포프 그리고 쇼스타코비치 등은 대표적인 현대음악가들이었다. 그러나 코르치마레프는 현대음악기법을 사용하였고, 미야스코프스키는 대중을 위해 음악을 단순하게 작곡하기도 했다. 쇼스타코비치는 1920년대 후반에 대중과 혁명 체제를 위한 곡들을 작곡했다. 이렇게 예술에서 자유가 인정되었던 1920년대의 소련음악은 다양성과 대중성 그리고 창조성을 지니고 있었다. 1920년대에 진보와 보수, 현대음악과 프롤레타리아 음악이 공존했던 모스크바와 레닌그라드는 베를린과 비인에 결코 뒤지지 않은 음악도시였다. 그리고 이러한 극단적인 두 개의 음악이 소련음악에서 공존했다는 사실은 음악사상 최초의 중요한 사건이었다. Russian revolution gave the arts to farmers and workers. V. Lenin believed that the Arts belonged to them, and they must be understood and loved by them. Due to the success of the NEP, cultural art policy was pursued, and organization such as 'Association of Contemporary Music' (ASM) and 'The Russian Association of Proletarian Musicians' (RAPM) were founded. While the ASM argued that the revolution necessitated new forms of expression, The RAPM maintained that the Revolution enabled music to be made exclusively for the working class. Modern Soviet Music of 1920s was characterized by its diverse and experimental nature. Proletarian musicians composed for the masses and for the propaganda of the revolution and the Establisment. Kastalstki, Davidenko, Krasev, and Korchmarev were proletarian composers. Shcherbachov, Popov, Myaskovsky, Mosolov, and Shostakovich were modern composers. But Korchmarev used the contemporary music techniqe and Myaskovsky composed simply for the mass. Shostakovich was a great contemporary composer but he composed the proletraian music in modernistic style for the masses and the revolutionary system in the late 1920s. Because Soviet Music, during the 1920s, was permitted to have freedom of expression, it become known for its variety, popularity, and creativity. It was different from Western music in that Modern music and Proletarian music were based on the Russian Revolution. At any rate, during the 1920s Leningrad and Moscow were never behind the other cities, such as Berlin and Wien. It was very important in music history that conservatism, progressivism existed in modern and proletarian music in the Soviet Union.

      • KCI등재

        타르코프스키 영화의 소리에 관한 연구

        채혜연(Chae, Hae 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4

        타르코프스키의 영화음악은 소리를 지니고 있는 이 세계의 자연스러운 모습이고 인간의 삶의 한 부분이다. 타르코프스키는 <잠입자>에서 현실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바그너의 《탄호이저 서곡》과 라벨의 《볼레로》의 음악을 짧게 사용하였다. 그리고 ‘금지구역’이란 이상적인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아르테미예프가 14세기의 모테트의 선율을 사용해서 작곡한 《전자음악》을 사용하였다. 타르코프스키는 <잠입자>에서 효과음을 사용하여 자연적인 소리를 많이 표현하였고, 가난과 비참한 환경을 보여주었다. 타르코프스키는 이론적으로 완전하게 만들어진 영화는 음악이 들어설 자리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향수>에서 영화음악을 아주 조금 사용했다. 예를들면, 고르차코프를 위한 베르디의《레퀴엠》과 도메니코를 위한 베토벤의《교향곡 제9번》의 ‘제4악장 환희의 송가’이다. <향수>에는 <잠입자>와 마찬가지로 자연의 소리, 즉 물소리, 새소리, 비오는 소리 등과 함께, 현대문명의 상징인 자동차 소리와 소음 같은 쇳소리 등이 효과음으로 사용되었다. 절제되어 선택된 음악은 노래의 가사가 극의 상황과 내용에 일치함으로써 영화의 내용을 극대화시켰다. 특히 타르코프스키의 롱테이크 기법과 자연의 소리, 그리고 인류 최고의 음악과의 환상적인 조합은 관객으로 하여금 신의 존재를 느끼게 한다. 타르코프스키의 영화음악과 효과음에 대한 탁월한 선택은 그의 영화를 예술적·철학적으로 최고의 반열에 오르게 하였다. Tarkovsky"s film music is the natural aspect of this world and the part of human life. Tarkovsky used Wagner"s 《Tannhauser Overture》and Ravel"s 《Bolero》in the <Stalker> to express the real world. He also used Artemeyev"s 《Electronic Music》for ‘prohibited areas’, namely, Ideal World. Tarkovsky used a lot of natural sounds, and sound effects to show the miserable poverty and the misery in the <Stalker>. The audience looked exactly Stalker"s miserable life. Tarkovsky told that if the movies were made completely theoretical, there were no place to film music. He used very little music in film, for example, only Verdi"s 《Requiem》for Gorchakov and Beethoven"s 《Symphony No. 9》for Domenico were used in the <Nostalgia>. Similarly as in the <Stalker>, the sounds of nature-the sounds of water, birds, rain, and the car with the noise as symbol of modern civilization, were used in the <Nostalgia>. Restrained and selected music, matched with the lyrics of the song and the dramatic situations, maximize the contents of the film. The audience feel the presence of God through his long take technique, the sounds of nature, and the fantastic mix of the best music(《choral symphony》and 《Requiem》). Tarkovsky made his movies being artistic and philosophical through his unique film music and sound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