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디오 모델링 기반 증강현실을 활용한 수학 연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채창희 ( Chae Changhee ),김동일 ( Kim Dongil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2 지적장애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 모델링 기반 증강현실을 활용한 수학 연산 프로그램이 중학교 1학년 지적장애학생의 연산능력과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중학생 1학년 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설계를 사용해 기초선, 중재 및 유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중재 도구는 과제분석을 통해 만든 개별 단계 비디오 자료를 증강현실 앱을 통해 비디오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개발하였다. 학생과 1:1로 연구자가 직접 중재를 실시했으며, 8주 동안 주1~3회, 회기 당 약 45분씩 총 14회기 중재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인 측정은 BASA-MATH, 연산 수행평가지 및 수학학습태도 검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중재충실도는 평균 96.67%, 사회적 타당도는 교사 93.33%, 학생 95.56%로 나타났다. 수학연산능력과 수학학습태도 검사 결과에 대해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PND, NAP, Tau-U 값을 산출하여 효과크기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 효과 크기는 학생마다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기초선 조건 대비 중재 조건에서 수학 연산능력이 향상 하였으며 유지 기간에도 효과가 지속하였다. 둘째, 모든 참여 학생이 수학학습태도 검사의 하위 영역에서 고르게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신 IT 기술과 전통적인 증거기반 모델링 중재의 결합을 통해 지적장애 중학생의 연산능력과 수학학습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며, 교육현장에서도 증거기반실제로써 증강현실 기반 비디오 모델링 중재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video-based intervention on arithmetic operation skills and attitude in mathematics for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D, using augmented reality(AR)-based program. For this study, three ID students aged 14 years who struggle with learning multiplication and division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he maintenance stage was added to baseline and intervention as well.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over a total 8 weeks. A total of 14 sessions, 45 min per session, 1-3 per week were held in their classroom. To measur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bilities, the standardized test of BASA-MATH and worksheets made by the researcher were used. For measuring attitude in mathematic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1992) was used. The validity of the worksheets and this program were verified by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and mathematics teachers. The intervention fidelity was 96.67%, and social validity was 93.33% for teachers and 95.56% for students. Visual analysis including the effect factor for PND, NAP, and Tau-U was used for each student`s data grap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ideo-based AR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bilities. three stud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ir capacity to solv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problems. Second, the video-based AR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attitude in mathematics.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magnitude of intervention effects among areas, all three students showed improvement in attitude for mathematics. The results indicated a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video-based AR inter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D and arithmetic operation skills and attitude in mathematic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were provided.

      • KCI등재

        질적 지표를 활용한 국내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학생 대상 어휘 중재 연구 동향 분석

        이연재(Yeonjae Lee),채창희(Changhee Chae),김희은(Heeeun Kim),김동일(Dongil Kim)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동향 분석 및 질적 지표 분석을 통해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어휘 중재 연구가 ‘증거기반의 실제’로 여겨질 수 있는가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논문 14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한 후, CEC(2014) 질적 지표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점수를 산출하였다.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어휘 중재 연구는 2002년에 처음 출간된 후 2021년까지 꾸준히 게재되고 있었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중재 방법은 어휘획득전략 지도가, 중재 목적은 어휘력 향상이 가장 많았다. CEC 질적 지표에 따라 평정하였을 때, (준)집단설계연구는 권고지표 4가지를 포함하였을 때 49.6%, 포함하지 않았을 때 62.0%로 양호한 수준으로 지표를 충족하였다. 단일대상연구는 권고지표를 포함 여부와 무관하게 77.3%로 상당히 높게 CEC 질적지표를 충족하였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후속 어휘 중재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Korean vocabulary intervention studies target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difficulties can be regarded as 'evidence-based practice' through research trend analysis and qualitative indicator analysis. After analyz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rend for 14 studies, the score was calculated based on CEC (2014) quality indicators. Vocabulary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difficulties have been steadily published,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st common intervention method was vocabulary acquisition strategy, and the purpose of intervention was improvement of vocabulary. The quality indicator satisfaction ratio of quasi-group-design study was 49.6%. The single-subject study showed relatively higher quality indicator satisfaction ratio of 77.3%.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subsequent vocabulary intervention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