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수손상 장애인의 보조공학기기 사용에 대한 심리사회적 영향 연구

        채수영,안나연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2

        이 연구는 보조공학기기 사용이 척수손상 장애인의 심리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채수영(2008)이 번안한 한국어판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PIADS)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척수손상 장애인 남성 59명으로, 평균연령은 51.03세, 완전손상이 36명 (61.0%)이었으며, 손상영역에 있어서는 흉추손상이 33명(55.9%)로 나타났다. 사용하는 보조공학기기로는 수동휠체어가 34명(57.6%)로 가장 많았으며, 사용기간에 있어서는 10년 미만의 사용자가 25명(42.4%), 보유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의 수에 있어서는 2대가 26명(44.1%)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 31세 ~ 40세의 경우 자기욕구 실현능력과 적응성에서 1.40, 1.59, 자존감은 41세 ~ 50세에서 .81로 높게 나타났다. 사용기간의 경우 10년 ~ 20년 미만이 자기욕구실현능력과 적응성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자존감은 10년 미만의 사용자가 높게 나타났다. 대표적 사용기기의 경우 전동휠체어에서 자기욕구 실현능력과 적응성이 각각 .85와 1.32, 자존감은 핸드컨트롤러에서 높게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에 대한 보조공학기기 사용 인식도와 심리사회적 영향과의 관계에서 인식도간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PIADS 하위척도간의 상관성은 높은 상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척수손상 장애인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가 그들의 심리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current study used the Korean version of PIADS translated by Chae sooyoung(2008) to assess the psychosocial impact on us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of SCI. 59 adults(male) with SCI were analyzed using PIADS. The average age of subjects was 51.03 years. 36 persons of them(61.0%) were complete injury and thoracic injury was 33 persons(55.9%). Manual wheelchair user, 34 persons(57.6%); using less than 10 years, 25 persons(42.4%); participants have two pieces of item showed 26 persons(44.1%). The results of this study, 31-40 years old person was shown 1.40 and 1.59 in competence and adaptability, and 41-50 years old person was shown .81 at the self-esteem. In the period of using the devices, 10-20 years was shown highly by competence and adaptability, and less than 10 years was shown highly at the self-esteem. Also, Power wheelchair was shown .85 and 1.32 in competence and adaptability, and self-esteem was shown highly at the hand-controlle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psychosocial impact on using assistive devic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did not appear, but correlation between sub-scales of PIADS was shown. Consequently, we found that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have positively affected to psychosocial of the patients with SCI.

      • 보조공학기기 심리사회적 영향 척도(PIADS)의 번안절차 및 활용방안

        채수영 한국보조공학회 2008 보조공학저널 Vol.2 No.2

        보조공학기기 사용자들의 기기 사용에 따른 심리사회적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외국의 평가도구인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향 척도를 체계화된 연구방법에 의하여 한국어판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향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우리나라 보조공학 현장에서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포기 가능성들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올바른 보조공학기기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보조공학기기 사용자의 심리사회요소 이해

        채수영,권혁철 한국보조공학회 2007 보조공학저널 Vol.1 No.1

        보조공학(AT)은 사용자의 기능적 이득과 함께 삶의 질(QOL)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된다. 그러나 사람들이 잘 설계된 기능적인 기기들을 거부 또는 포기한다는 것은 처방된 공학의 비사용으로 인해 심각한 문제들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보조공학 기기의 설계자와 제공자들은 기기의 선택, 유지 및 포기를 결정할 수 있는 사용자의 심리사회적 요소에 대한 많은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삶의 질 측정이 보조공학 기기에 대한 결과의 관리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고려되며, 보조공학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되고, 객관적이며, 측정할 수 있는 특별한 측정도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PIADS)의 국내적용을 위한 번안연구

        채수영,조성재,권혁철,공진용,장문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0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6 No.3

        목적 : 이 연구는 보조공학기기 사용자들의 기기 사용에 따른 심리사회적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외국의 평가도구인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영향 척도(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 PIADS)를 체계화된 연구방법에 의하여 번안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PIADS의 번안은 번역의 단계와 예비검사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번역은 총 8단계로 진행하여 26개 항목을 한글화하였다. 예비검사단계는 번역된 평가지의 검증단계로 신뢰도와 구성타당도에 대한 유의성을 검사하였다. 결과 : PIADS 번안에 있어서 단어자체의 번역보다는 사회문화적 환경에 맞게 한글로 번역하였다. 전체 문항에 대한 신뢰도는 .95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하위항목에 대한 구성타당도는 .80 이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 및 재활분야에서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체계화된 연구방법을 통해 번안함으로서 내용타당도를 높였다. 신뢰도와 구성타당도 검사를 통해 국내적용을 위한 평가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nslate the 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 (PIADS), an instrument to evaluate the psychosocial impact of using assistive devices by people with disabilities, into Korean using a systematic methodology. Methods : To this end, the authors have translated PIADS and have conducted a pilot study for the purpose of the validation. A total of 26 item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through eight phases of a screening process.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ranslated version. Results : A significant effort has been made for the translated version of the PIADS to reflect the socio-cultural aspects of the Korean language, rather than simply translating the literal meaning of each word used in the instrument. The results shows that the overall Cronbach's Alpha for the instrument is .95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for each item in the instrument is .80, indicating that the translated version of the PIADS has a high level of reliability. Conclusion :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 practice of occupational therapy as well as assistive technolog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