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노동조합에 대한 인식 및 참여요인 분석 : 사회복지종사자를 중심으로

        채구묵,Chai, Goo-Mo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 한국사회복지학 Vol.54 No.-

        본 논문은 사회복지노동조합에 대한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인식상태를 파악해 보고, 노동조합참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본 후, 노동조합의 성공적 조직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안들을 탐색해 보았다. 노동조합에 대한 인식상태 분석결과, 대다수의 사회복지종사자들은 사죄복지노동조합 결성과 참여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조직화에 대해서는 노동조합과 전문가조직을 함께 구성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절대다수였고, 노동조합 설립을 위한 전략에 대해서는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의식제고, 노동조합 결성추진을 위한 기초조직 구성, 복지대상자 및 시민의 지지를 이끌어낼 개혁대안 마련 순으로 나타났다. 참여요인 분석결과, 분석모델내 독립변인 중에서는 행동에 대한 태도(긍정), 주관적 규범(준거인), 주관적 규범(사회성원들), 지각된 행동통제가 높을수록, 일반적 특성에서는 남성, 낮은 직위, 낮은 악력, 이용시설 종사자일수록, 근무환경적 특성에서는 시설운영의 민주성 전문성이 낮을수록, 근무시간이 길수록 노동조합 참여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조합의 성공적 조직화를 위한 과제로, 첫째 사회복지종사자들로 하여금 노동조합 참여가 본인들에게 긍정적 결과를 가져다 준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활동을 전개하고, 둘째 사회복지종사자들의 노동조합 참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변사람들로 하여금 노동조합 참여를 지지하도록 전략을 추진하며, 셋째 사회복지노동의 윤리성 전문성 비생산적 특성이 노동조합 결성과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는 인식을 사회성원들이 가질 수 있도록 활동을 전개하고, 넷째 사회복지종사자가 본인의 의지에 의해 노동조합 가입이 자유스러울 수 있도록 조직환경을 조성하며, 다섯째 사회복지종사자, 사회복지대상자 및 시민의 지지를 이끌어 낼 정책대안을 개발하여 활동을 전개하고, 여섯째 사회복지노동조합 업무를 능률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반조직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eeks the countermeasures for the successful organ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labor union after examining social welfare workers' cognizance about a labor union and analyzing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ir participation in a labor union. An analysis of social welfare workers' cognizance about the social welfare labor union. demonstrates that (1) most social welfare workers have positive opinions about a labor union organization and the participation in a labor union, (2) a great part of workers prefer forming a labor union and a professional organization together in relation to the organiza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and (3) the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organization of a labor union are in the order of the uplift of social welfare workers' consciousness, the constitution of the basic organizations which propel the formation of a labor union, and the preparation of policy countermeasures which attain the supports of clients and citizens.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in a labor union shows that the attitude toward the participation behavior (positive results), subjective norm (specific individuals), subjective norm (social constituent member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 the analysis model, male, lower position in officers, and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in democratic characteristics, and lower democratic and professional managements in officers and longer working hours in labor environmental conditions affect positively the participation in a labor union. These results suggest several assignments for the successful organ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labor union. First the activities that make social welfare workers recognize the beneficial results bringing about by the participation in a labor union need to be carried out, second strategies that persuade the influential individuals to supports the participation in a labor union need to be developed, third activities that make the social constituent members understand the ethical, professional, and non-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works not to be confronted with the organization of a labor union should be pursued, fourth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s in which social welfare workers can freely participate in a labor union according to their intentions need to be made up, fifth the policy countermeasures which attain the support of social welfare workers, clients and citizens should be developed and carried out, and finally the basic organizations that effectively propel the formation of a labor union need to be constituted.

      • KCI등재

        청년실업과 신규대졸자 실업의 실태, 원인분석 및 과제

        채구묵(Chai Goo-Mo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3

        본 연구는 청년실업과 신규대졸자 실업의 실태 및 원인을 분석해 본 후, 청년 및 신규대졸자 실업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해 보았다.<br/> 청년실업과 신규대졸자 실업의 실태 및 원인 분석을 요약해보면, 첫째 외환위기로 급증한 청년실업률은 2000년 이후 상당히 완화되었으나 아직도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며, 둘째 외환위기로 급증한 신규대졸자 실업률은 2000년 이후 완화되어 현재 외환위기 이전과 비슷한 수준이나 신규대졸자 실업자 수는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많이 증가하였고, 셋째 청년실업의 원인분석 결과 경제성장률과 경제성장의 고용탄력성(고용창출력)이 낮을수록, 대학진학률이 높을수록 실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신규대졸자 실업 원인분석 결과 경제성장률과 경제성장의 고용탄력성이 낮을수록, 신규대졸자 증가율, 청년층 대비 대졸자 비율, 시간추세가 클수록 실업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br/> 청년 및 신규대졸자 실업 완화를 위한 정책과제로, 첫째 노동수요 확대를 위해 경제성장률을 높일 수 있는 경제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경제성장의 고용탄력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용창출력이 높은 산업.직업을 육성해야 하며, 둘째 노동공급 측면으로 신규대졸자 실업 완화를 위해 대졸자 수를 산업수요에 맞게 조절할 필요가 있고, 셋째 노동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완화를 위해 중.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 활성화, 대학교육의 현장성 강화 등 학교교육과정을 개선하고, 청년실업 문제를 체계적, 종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통일된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ties and causes of youth and new college graduate unemployment, and seeks some assignments for mitigating youth and new college graduate unemployment.<br/> An analysis of the realities and causes of youth and new college graduate unemploymen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outh unemployment rate, which rapidly increased after the IMF economic crisis, slowly decreased after 2000, but was still somewhat higher in 2002 than that before the IMF. Second, new college graduate<br/> unemployment rate, which rapidly increased after the IMF economic crisis, slowly decreased after 2000 and became a similar level to that before the IMF economic crisis, but the number of the unemployed new college graduates highly increased after the IMF. Third,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youth unemployment shows that<br/> economic growth and the employment elasticity of economic growth negatively affect the unemployment rate, and the rate of entrance into colleges positively affects the unemployment rate. Fourth,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new college graduate unemployment demonstrates that economic growth and the employment elasticity of<br/> economic growth negatively affect the unemployment rate, and the increase rate of new college graduates, the college graduate/youth population ratio, and the time trend positively affect the unemployment rate. <br/> These results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mitigating the unemployment rate of the youth and new college graduates. First, in order to increase labor demand, emphasis must be placed on preparing economic conditions which can raise economic growth rate and on fostering industries and occupations which have high<br/> employment elasticity. Second, in the aspect of labor suppl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number of new college graduates corresponding to labor demands in industries. <br/> Third, in order to redress the mismatch between the demand and the supply of the youth labor marke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remedying educational systems such as the activ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he reformation of college education to match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vided in colleges and the skills requirements of the world of work, and preparing a unified program to support the youth unemployed systematically and synthetically.

      • KCI우수등재
      • IMF 경제위기 이후 비정규 근로자의 증가 원인 분석 및 과제

        채구묵(Chai Goo-moo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2 비판사회정책 Vol.- No.12

        본 논문은 IMF 경제위기 이후 한국의 비정규 근로자 증가추세와 증가원인을 분석해본 후 비정규 근로의 건전한 정착을 위한 몇 가지 과제를 탐색해보았다. 비정규 근로자의 증가추세 특징은, 첫째 임시 및 일용근로자 비율은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높은 수준이며 1997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둘째 단시간근로자의 비율은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낮은 수준이나 1997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셋째 공식적으로 허가된 파견업체에 의해 파견된 근로자 수는 많지 않으나 실제로 파견근로를 수행하고 있는 근로자는 많은 실정이다. 1997년 이후 한국에서 비정규 근로자의 급격한 증가는 변화된 국제경제환경에의 적응과 IMF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노동유연화 정책의 확대적용에서 초래되었으며, 그 이후 계속적으로 비정규 근로자가 증가한 이유는 비정규 근로자를 고용함으로서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있고, 다른 OECD 국가들과 달리 기업의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업무에 비정규 근로자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노동관련 법규 및 제도 때문이다. 비정규 근로의 건전한 정착을 위한 과제로, 첫째 고용보장적인 면에서 기업의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업무에는 상시고용과 직접고용을 원칙으로 하며, 단기간근로, 단시간근로, 파견근로를 사용할 수 있는 대상업무 및 대상기간을 엄격히 규제해야 하고, 이러한 기본적인 요건을 위반한 경우에 대한 사법적 효력과 제재규정을 명시해야 할 것이며, 둘째 노동복지적인 면으로 비정규 근로자가 임금, 부가급여 등에서 차별적 대우를 받지 않도록 균등대우의 원칙이 확립 되어야 하고, 비정규 근로자에 대한 사회보험의 적용을 정규 근로자와 같은 수준으로 확대해야 할 것이며, 셋째 고용보장적인 면과 노동복지적인 면을 실질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비정규 근로자의 노동조합 조직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crease trends and causes of nonstandard workers after the IMF economic crisis in Korea, and seeks the assignments for the sound settlement of a nonstandard employment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rease trend of nonstandard employ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temporary employment rate of Korea is higher than those of other OECD countries and has rapidly increased since 1997. Second, the part-time employment rate of Korea is lower than those of other OECD countries, but has rapidly increased since 1997. Third, the number of workers employed by official temporary-help agencies is not large, but the number of workers who actually work as dispatched employees is large. The rapid increase of nonstandard employment in 1997 was caused by the adoption of flexible employment policy in order to adapt Korean society to the changed world economic environments and to overcome the IMF economic crisis, and the reasons of continuous increase of nonstandard employment since 1997 are the labor laws and systems to provide benefits for employers by employing nonstandard workers and to enable the employers to employ nonstandard workers continuously for ordinary and continuous works. The assignments for the desirable settlement of nonstandard employment are suggested in three aspects. First, the regular and direct employment principle for ordinal and continuous works should be established, the appropriate works and periods liable for temporary, part-time, and temporary-help service employment should be strictly regulated, and the legal sanction and validity against the violation of these basic requisites should be arranged. Second,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should be adopted for nonstandard workers not to be discriminated in a salary and fringe benefits, and the application of social insurances for nonstandard workers should be enlarged to the standard of ordinary workers. Third, devices to revitalize the organization of labor unions should be prepared to substantially secure labor welfare and employment security aspects.

      • KCI등재

        신규대졸자의 취업 및 임금수준 결정요인 분석

        채구묵(Chai Goo-Mo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4

        본 연구는 중앙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 자료(2003-2005)를 이용하여 신규대졸자의 취업 및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본 후, 신규대졸자 실업완화 및 임금격차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취업여부 결정요인의 경우 학교소재지에서 경기·인천지역, 학교성적이 좋을수록, 취득자격증의 전공 및 취업관련 정도가 높을수록 취업가능성을 높이도록, 학교군에서 비수도권 사립대는 취업가능성을 낮추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형태 분석결과 (1) 정규직 결요인의 경우 학교소재지에서 경기·인천지역, 학교성적이 좋을수록, 취득자격증의 전공 및 취업관련 정도가 높을수록, 의약간호보건계열·사범계열은 취업가능성을 높이도록, 학교군에서 비수도권 사립대, 수도권 전문대, 비수도권 전문대는 취업가능성을 낮추도록 영향을 미치며, (2) 비정규직 결정요인의 경우 학력에서 전문대, 학교군에서 수도권 전문대, 비수도권 전문대는 취업가능성을 높이도록, 비수도권 사립대는 취업가능성을 낮추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금수준 결정요인의 경우 남자가, 연령이 많을수록, 의약간호보건계열, 사범계열은 임금수준을 높이도록, 비정규직, 학교소재에서 경기·인천지역, 전라지역은 임금수준을 낮추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대졸자 실업완화 및 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대학교육을 전문인력 양성 및 산업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개선해야 하고, 둘째 노동시장에서 성차별을 완화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되어야 하며, 셋째 자격증이 실질적으로 업무수행능력 및 생산성 향상과 연결될 수 있도록 자격증 취득과정을 개선해야 하고, 넷째 산업의 지방분산을 통한 지역균형발전정책이 이루어져야 하며, 다섯째 신규대졸자 취업을 촉진하기 위한 체계적·종합적인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and wage of new college graduates by using Youth Panel Data(2003-2005) of the Work Information Center, and seeks assignments for mitigating unemployment and wage disparities of new college graduate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shows that the Kyunggi·Inchon district in school locations, higher school records, and qualification certificates positiv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while the private college group in the non-capital area negatively affects the employment rate. Second,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standard employment demonstrates that the Kyunggi·Inchon district in school locations, higher school records, qualification certificates, and the major group of medical science, pharmacy, nursing science and health science, and the major group of education positiv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while the private college group in the non-capital area, the junior college groups in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negativ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Third,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nonstandard employment shows that the junior college graduation in scholarly attainments, the junior college groups in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positiv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while the private college group in the non-capital area negatively affects the employment rate. Fourth,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wages demonstrates that male in sex, the older in ages, the major group of medical science, pharmacy, nursing science and health science, and the major group of education positively affect the wages, while nonstandard employment, Kyunggi·Inchon and Cholla districts in school locations negatively affect the wages. These results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irst, college education should be reformed to cultivate professional manpower who are required by industries. Second, alternative measures to mitigate sex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s should be prepared. Third, the process of attaining qualification certificates should be reformed in order that it is actually connected to the abilities of work performances and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Fourth, a locally balanced development must be realized through the decentralization of industries. Fifth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program need to be prepared to promote the employment of new college graduates.

      • KCI등재

        소득불평등 실태, 원인분석 및 과제

        채구묵(Chai Goo-Mo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1

        본 연구는 소득불평등 실태 및 원인을 분석해 본 후, 소득불평등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해 보았다. 소득불평등 실태 및 원인 분석을 요약해 보면, 첫째 외환위기로 급등한 소득불평등도는 1999-2004년 동안 증감을 반복하였으며 2005년 현재 외환위기 직후와 같이 높은 수준이고, 둘째 소득불평등도 원인에 대한 장기분석(1985-2004년) 결과, 실업률, 비정규직비율, 지가상승률이 높을수록 소득불평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외환위기 전후(1995-2004)의 소득불평등도 원인분석 결과 실업률, 비정규직비율, 대?소기업임금비율이 높을수록 소득불평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넷째 장기자료(1985-2004)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던 지가상승률이 외환위기 전후자료 (1995-2004)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장기자료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대ㆍ소기업임금비율은 외환위기 전후 자료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과제로, 첫째 실업률을 낮출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둘째 비자발적 비정규직 비율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하고, 셋째 부동산 가격을 안정 또는 인하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넷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를 줄일 수 있는 중소기업 종합지원대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s and causes of income inequality and seeks assignments for mitigating income inequality. An analysis of the conditions and causes of income inequalit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come inequality, which rapidly increased after the economic crisis, increased and reduced repeatedly during 1999-2004, and remained a level in 2005 as high as that of the year directly after the economic crisis. Second,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income inequality by utilizing the long-term data(1985-2004) shows that unemployment rate, nonstandard employment rate, and the rising rate of land prices positively affect income inequality. Third,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income inequality by utilizing the data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1995-2004) demonstrates that unemployment rate, nonstandard employment rate, and the workers' income ratio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 enterprises positively affect income inequality. Fourth, the rising rate of land prices which significantly affects income inequality in the data of 1985-2004 does not affect income equality in the data of 1995-2004, and the workers' income ratio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 enterprises which does not affect income inequality in the data of 1985-2004 significantly affect income equality in the data of 1995-2004. These results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mitigating income inequality. First, alternative plans to reduce unemployment rate must be prepared. Second, policies to reduce nonstandard employment rate should be established. Third, programs to stabilize or lower the land prices must be deliberated. Fourth, a master-plan to support small to medium enterprises must be carried out in order to reduce the wage differentials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 to medium enterprises.

      • KCI등재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이 실업에 미치는 영향

        채구묵(Chai Goo-Mo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3

        본 연구는 OECD 18개국의 8년간(2000-2007년) 패널자료를 이용한 결합회귀분석에 의해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실업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본 후, 한국의 적극적노동시장정책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했다. 분석결과,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은 실업률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둘째 적극적노동시장정책 세부프로그램 중 직업훈련은 실업률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셋째 구직서비스와 고용보조는 부분적으로 실업률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적극적노동시장정책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으로, 첫째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을 확대하고 체계적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노동수요에 맞추어 체계화ㆍ전문화해야 하고, 셋째 고용보조의 경우 대체효과, 전치효과, 자중손실효과가 적도록 프로그램을 계획ㆍ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넷째 구직서비스의 경우 실업률 감소에만 초점을 두지 말고 재실업 예방, 소득불평등 완화, 생산성 향상 등을 고려한 정책을 개발ㆍ추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ctive labor market policy on unemployment by pooled cross-section time series analysis utilizing panel data of 18 OECD countries, and seek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s of the Korean active labor market poli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tive labor market policy negatively affects unemployment rates. Second, vacational training program among three major active labor market programs has a negative effect on unemployment rates. Third, employment service program and employment subsidy program have partially negative effects on unemployment rates.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active labor market polic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systematize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Secon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should be systematized and professionalized according to labor demand. Third, employment subsidy programs need to be planned and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 of minimizing a substitution effect, a displacement effect and a deadweight loss effect. Fourth, employment service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nd carried out under the consideration of not only the reduction of unemployment rates but also the prevention of re-unemployment, mitigation of income inequality and improvement of productivity.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근무조건 실태, 개선 방안 및 전략

        채구묵(Chai Goo-Moo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1 비판사회정책 Vol.- No.33

        본 논문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근무조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살펴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을 탐색해 보았다.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근무조건의 문제점으로 ① 낮은 보수, 장시간 근무 등 열악한 노동조건과 ② 시설장의 비전문성 및 외부인사영입, 중간관리자의 전문지식 활용 미흡, 종사자의 잡무부담 과중, 보수교육 미비, 시설운영의 투명성·합리성 미흡 등 시설운영의 비전문성·비민주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① 봉급(기본급여) 인상 및 모든 종사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단일봉급표 제정, 각종 수당의 확대 적용, 봉급과 수당을 정부보조금으로 지급, 종사자의 법정정원 확대 등 노동조건 개선과 ② 시설장의 자격기준 강화 및 임기제한, 중간관리자의 이직·조기퇴직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 마련, 보수교육의 체계화·전문화, 시설운영의 투명성·합리성 제고 등 시설운영의 전문성·민주성 향상을 들 수 있다. 개선방안을 실현하기 위한 전략으로 ①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조직화(전문가조직 및 노동조합), ② 조직을 이용한 대정부 및 대사회복지시설법인(장) 활동, ③ 종사자 스스로의 개선활동 등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working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workers, and seeks the strategies for realizing the improvement plans.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the working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workers, which are (1) poor labor conditions such as low wages and long-time works, and (2) non-professional and nondemocratic operations of facilities such as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of directors and appointments of directors from the outside, insufficiency for utilizing professional knowledge of middle managers, excessive chores of workers, deficiency of reeducation for workers, and shortcoming of transparency and rationality of facility operations. The plans to resolve these problems are (1) improvements of workers’ labor conditions including the increase of workers’ basic wages and the enactment of a uni-salary table which is universally applicable to all social welfare workers, the expanded application of various allowances to workers, the payment of wages and allowances by government subsidy, and the increase of legal number of workers, and (2) improvement of professional and democratic operations of facilities including the strengthening of qualification criterions for directors and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terms, the preparation of measures restraining early retirement and leaving their jobs of middle managers, the system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reeducation systems for workers, and the promotion of transparency and rationality of facility operations. In order to realize such improvement plans, the following strategiescan be considered such as (1) organizations of social welfareworkers(trade union and professional association), (2) activities againstthe government and the corporation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viaorganizations, and (3) spontaneous improvement activities by social welfare workers.

      • KCI등재

        가족복지정책과 출산율

        채구묵(Chai Goo-Mo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3

        본 논문은 OECD 주요 선진국의 출산율 및 가족복지정책의 변화와 특성을 검토해 보고, 가족복지 유형별 출산율을 비교ㆍ분석해 본 후, 한국의 가족복지정책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해 보았다.<br/> OECD 주요 선진국의 출산율은 1970년대에 인구대체수준 이하로 떨어졌으며, 그 이후에도 완만하게 출산율이 감소했으나, 1990년대에는 출산율이 낮아지는 국가들과 높아지는 국가들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출산율 변화 차이는 1970년대 이후 각국이 채택ㆍ추진한 가족복지정책과 상당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암시해 주고 있다. 주요 선진국들은 1970년대 이후 출산율 감소에 관심을 갖고 인구관련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루기 위해 범정부차원의 인구관련기관을 설립했으며, 가족복지 지원수준을 높여왔다. 그러나 각국의 가족복지 지원수준과 지원형태(노동중심 또는 양육중심)는 해당국가의 정치적 이념, 문화ㆍ역사적 배경, 경제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발전되어 왔다.<br/> OECD 주요 국가들의 가족복지정책을 유사한 특성을 가진 국가군으로 유형화하여 유형별 출산율을 비교해 본 결과, 가족복지 지원수준이 높을수록, 양육중심에 비해 노동중심 지원수준 비중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형별 출산율 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에서도 가족복지 지원수준이 높을수록, 양육중심에 비해 노동중심 지원수준 비중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증가하거나 출산율 감소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주요 선진국의 출산율과 가족복지정책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출산율 및 인구관련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종합적인 대안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범정부차원의 인구관련기관을 설립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가족수당 신설,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의 기간 연장 및 육아휴직급여의 상향조정, 공보육시설 확대 등 가족지원체계를 확대해야 하고, 셋째 양육중심(가족수당 등) 지원수준 보다 노동중심(아동보육시설, 출산휴가 등) 지원수준에 비중을 많이 둘 필요가 있고, 넷째 사회구성원, 특히 청년층에게 자녀를 기르는 것이 어렵지 않으며 행복을 가져다준다는 희망을 갖도록 하는 사회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eeks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family welfare policies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fertility rates and family welfare policies of advanced OECD countries,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 fertility rates among clusters of countries having similar family welfare policies.<br/> The fertility rates of most advanced OECD countries declined below the population replacement level in the 1970s, and continuously declined slowly after that period. But in the 1990s the fertility rate of some countrie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at of other countries declined. Such a difference of fertility rates suggests that there is some correlation between the fertility rate and the family welfare policy of each country. Advanced countries became concerned about the decline of fertility rate, established the government Population Issues Committee in order to deal with population problems, and increased family welfare supports. But the level and pattern(focusing on maternal employment supports or child-rearing supports) of each country's family welfare policies are differently developed according to its political ideology,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and economic environments.<br/> A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fertility rate among clusters of countries having similar family welfare policies demonstrate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family welfare supports is and the level of maternal employment supports in comparison with that of maternal child-rearing supports is, the higher of fertility rate is. And a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fertility rate changes among clusters of countries also show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family welfare supports is and the level of maternal employment supports in comparison with that of maternal child-rearing supports is, the higher the increase of fertility rate is or the lower the decrease of fertility rate is.<br/>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family welfare polic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government Population Issues Committee which can study systematically fertility rates and population problems, and provide comprehensive population measures. Second, family welfare supports should be expand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family allowances, the prolongation of maternity leave and child-care leave and the upward readjustment of child-care leave benefits, and the extension of public child-care facilities. Third, maternal employment supports such as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maternity leave should be given more weight than maternal child-rearing supports such as family allowance. Fourth, it is required to prepare social environments which can provide the youth with the hope that child-rearing is not difficult and gives them happiness.

      • KCI등재후보

        복지국가 유형과 소득불평등 및 빈곤율과의 관계

        채구묵(Chai, Goo-Moo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2 비판사회정책 Vol.- No.37

        본 연구는 복지국가 유형과 소득불평등 및 빈곤율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1) 사회복지비 지출이 많은 복지제도 유형과 적은 복지제도 유형, (2) 보편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과 선별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 (3) 통합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과 조합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 중 어느 유형이 소득불평등 및 빈곤율 완화가 더 큰지 검토해보고자 했다. 분석결과, (1) 사회복지비 지출이 많은 복지제도 유형이 적은 복지제도 유형보다, (2) 보편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이 선별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보다, (3) 통합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이 조합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보다 소득불평등 및 빈곤율 완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소득불평등 및 빈곤율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복지 관련 시사점으로, 첫째 사회복지비 지출을 증대할 필요가 있고, 둘째 아동수당, 무상보육, 고등학교까지 무상교육, 무상급식, 장애수당, 기초노령연금 등 보편적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확대ㆍ도입해야 하며, 셋째 공적연금 등 조합적 복지제도로 되어 있는 것을 통합적 복지제도로 개선하고, 건강보장, 실업보상 등에 통합적 복지제도를 확대ㆍ도입해야 한다. By analyzing the ‘welfare state types’ relation with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rate, this study tries to examine which welfare state types mitigate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rate more largely between (1) a large social welfare expenditure regime-type and a small social welfare expenditure regime-type, (2) a universal welfare regime-type and a selective social welfare regime-type, and (3) an encompassing welfare regime-type and a corporatist social welfare regime-typ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itigations of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rate are larger in a large social welfare expenditure regime-type than in a small social welfare expenditure regime-type, larger in a universal social welfare regime-type than in a selective social welfare regime-type, and larger in an encompassing welfare regime-type than in a corporatist welfare regime-type. The implications concerning social welfare which can help the mitigation of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rate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ocial welfare expenditure. Second, universal social welfare systems such as children"s allowance, free child-care, free education until high school, allowance for the disabled, and basic old age pension should be expanded and introduced. Third, corporatist welfare systems such as public pension should be changed to encompassing welfare systems, and encompassing welfare systems should be expanded and introduced in health security and unemployment compen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