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綾城具氏 族譜의 刊行과 그 特徵

        車長燮(Cha Jang-sup)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2

        능성구씨는 조선후기에 들어와 주요 무관직의 세습을 통해 훈무세가로 성장하였다. 능성구씨가 훈무세가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은 무과급제자의 집중적인 배출과 공신책봉, 그리고 국혼을 비롯한 왕실과의 혼인이었다. 능성구씨는 인조반정을 계기로 본격적인 무반 중심의 훈무세가로 전환하였다. 능성구씨의 족보 가운데 대동보는 일제시대까지 6차례에 걸쳐 발간되었다. 이 가운데 능성구씨 최초의 족보인 1575년에 간행된 『乙亥譜』는 內外譜였다. 이로써 조선전기 족보의 유형은 친손과 외손을 모두 기록하는 내외보가 일반적인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능성구씨 족보의 발간을 주도한 가문은 훈무세가로서 벌열의 지위에 오른 綾城具氏 都元帥派 淳系이다. 이들은 족보발간을 통해 족적 유대를 강화시킴으로써 그들의 사회적 기반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서 중앙에서 정치적 위상을 높이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양동마을 경주손씨(慶州孫氏) 가문(家門)의 가풍(家風)과 계승

        차장섭 ( Cha¸ Jang-sup ) 강원사학회 2021 江原史學 Vol.- No.37

        家風은 대대로 이어져 내려오는 가문의 고유한 생활양식을 말한다. 조선시대 가문은 가풍의 확고히 정립을 통해서 세대가 교체되어도 그들만의 고유한 생활양식을 유지 발전시켰다. 특히 家風은 家學을 통해 전승되었다. 家學은 학문의 전수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지만 가풍은 학문전수와 함께 취미와 경세론, 행동거지 등 생활 양식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구별된다. 경주 양동마을 경주손씨는 淸德과 忠節을 가풍으로 계승 발전시켜왔다. 淸德은 德으로 淸白을 실천하는 것이다. 양동마을 경주손씨 가문의 德에 바탕을 둔 淸白의 가풍은 손사성에 의해 시작되었다. 여러 淸要職을 역임하면서 청백을 몸소 실천하여 관료사회의 모범이 되었다. 그의 맑고 덕스러운 삶의 자세는 ‘淸名’으로서 당대의 호평을 받았으며, 가풍으로서 확립되어 후손들에게 계승되었다. 淸德의 家風은 아들 손소가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가문의 전통인 청덕을 계승하여 실천하였다. 손중돈은 지방관으로 근무하면서 청렴한 자세로 참된 牧民의 道를 실천하였다. 특히 상주목사에 임명되었을 때는 상주 고을의 백성들은 선정비를 건립하고, 丹密縣에 生祠堂을 건립하였으며, 마침내 청백리의 명부에 등재되었다. 그리고 손덕승이 지방관으로 녹봉과 창고의 곡식을 풀어 빈민을 구휼하고 민생의 고통을 덜어주니 백성들이 그의 공덕을 찬양하여 송덕비를 세워 주었다. 忠節은 나라에 충성하고 국왕에게 절개를 지키는 것이다. 충절이 양동마을 경주손씨의 家風이 된 것은 孫昭가 공신으로 책봉되면서부터이다. 손소의 공신책봉으로 양동마을의 이름이 楊左洞에서 良佐洞으로 바뀌면서 손소 이후 국가에 대한 忠節은 양동마을 경주손씨의 家風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양동마을 경주손씨의 忠節 家風은 국가의 위기에 발휘되었다. 임진왜란과 병자 호란이 일어나자 경주손씨 가문은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임진왜란에는 손소의 玄孫인 孫曄, 孫時, 孫魯, 孫宗賀, 孫魯香 등이 떨쳐 일어나 대대적인 의병활동에 나섰다. 그리고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손중돈의 현손 孫宗老가 의병으로 참여하여 전쟁터에서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양동마을에는 그의 충절을 기리는 旌忠閣이 건립되어 있다. 일제의 침략으로 국권이 흔들리게 되자 양동마을 경주손씨의 가풍은 독립운동으로 승화하였다. 성리학적인 학문을 계승하면서 국가가 일제에 의해 위기에 봉착하자 국난극복을 위해 孫晉衡, 孫厚翼 등은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忠節의 家風을 계승하였다. A family tradition(家風) refers to a specific lifestyle that has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ithin a family. During the Joseon Dynasty, family clans maintained their specific lifestyles across generations through establishing their strong family tradition. Family traditions are similar to family learning, whose chief purpose was to hand down knowledge but transcend it by including other elements such as hobbies, administration theory, proper manners, and behaviors. The Gyeongju Son Family of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is a fine example of family tradition transfer. The core value of the family tradition has been on cheongduck(淸德; family virtues through a life of integrity and righteousness). This virtue of that family started with Son Sa-Seong, who set an example of incorruptible government employees while he served as high-ranking officers in several important government posts. His dignified and virtuous attitude and lifestyle, which others highly praised and revered, were set as the family tradition and handed down to posterity. The family tradition of cheongduck was carried out by Son Sa-Seong's son, Son So, who served as an official in a local government. Son Jung-don, Son So’s son, also practiced cheongduck virtue while serving as a local government official. When he served as the regional governor of Sangju, the town’s people erected a monument and a pantheon commemoration of his virtue. His name was finally registered in the list of the incorruptible government employee. Son Duk-Seung from the Gyeongju Son family, who also served as an official of a local government, spent his salary and distributed reserved grain for the starved poor people of the town he resided. In return, the townspeople erected a monument in his honor. Another core virtue of the Gyeongju Son family is loyalty, which means keeping fidelity to the King. This family virtue began with Son So's installation as the King's meritorious subject. With his installation, Yangdong Village's name was changed from 楊左洞 to 良佐洞. The virtue of loyalty in the Gyeongju Son family was well exercised when the nation was in jeopardy. The Gyeongju Son family actively participated in civilian army activities in both wars of Imjinwaeran and Byeongjahoran. Dur ing Imjinwaeran, Son So’s great-great-grandchildren Son Hyeop, Son Si, Son Noh, Son Jong-Ha, and Son No-Hyang joined the civilian army to fight against the invading Japanese army. Upon Byeongjahoran Son Jung-don’s great-greatgrandchildren died a glorious death on the battlefield against Cheong Dynasty army. A monument was established in his honor in Yangdong Village. The loyalty in the Gyeongju Son family continued as liberation and independence efforts when our country was invaded and colonized by Japan. Son Jin-Hyeong and Son Hu-Ik from the Gyeongju Son family, who used to devote themselves to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succeeded to the Gyeongju Son family’s virtue of loyalty, instantly committing themselves to the causes of the nation’s independence movement when the war broke out.

      • KCI등재

        강릉 선교장의 형성과 발전

        차장섭(Cha, Jang-syup)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장서각 Vol.0 No.39

        강릉의 선교장은 ‘만석꾼’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대지주였다. 영동지방은 물론 강원도 일대의 땅 상당부분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선교장이라는 당호에 ‘莊’을 붙인 것은 장원이라는 의미이다. 선교장은 1760년대에 처음 성립된 이래로 200여 년 동안 주인의 의지와 경제적인 배경, 그리고 시대적 변화를 바탕으로 건축적인 확장과 함께 가문의 지위를 상승시켰다. 선교장은 양반이라는 명분보다는 경제적 이익이라는 실리를 선택하였다. 선교장은 과감하게 염전의 운영을 통해 부를 축적하였다. 그리고 이앙법 등 새로운 농업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개간을 통하여 새로운 농지를 확대하였다. 이처럼 선교장은 명분과 체면을 중요시하는 사회적 논리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이익을 가져다주는 경제적 논리를 바탕으로 대장원을 경영하였다. 선교장은 경제적인 부를 바탕으로 가문의 지위를 단계적으로 높여서 閥閱과 동일한 수준에 이르렀다. 첫 단계로 경제력을 바탕으로 납속을 통해 空名帖을 구입하였다. 공명첩에 명시된 직위는 비록은 實職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국가로부터 합법적으로 직위를 인정받는 것이다. 1대 이내번은 공명첩의 구입을 통해 몰락 양반의 위기에 몰린 가문의 양반적 지위를 공고히 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과거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는 것이다. 관직에 나아간다는 것은 경제적인 보장뿐만 아니라 가문과 개인의 지위를 유지 발전시켜주는 가장 좋은 방법이었다. 3대 이후는 적극적인 경영으로 만석꾼의 지위에 오른 다음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러나 두 아들 이용구와 이의구가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그리고 한양 재동에 60칸 주택을 구입하고 居京人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단계는 벌열가문과의 혼인하는 것이다. 婚姻은 자신뿐만 아니라 가문의 지위를 상승시키거나 유지하는데 기능하였다. 4대 이용구의 아들 이회숙과 이회원은 서울에 거주하면서 서울에 거주하는 벌열가문들과 혼인하였다. 이회숙은 당시 벌열가문인 기계유씨의 사위가 되었으며, 이화숙은 반남박씨의 사위가 되었다. 당시 벌열가문과 혼인을 하는 것은 중앙의 주류사회에 편입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선교장의 지위는 경화사족의 수준으로 상승하였다. 넷째 단계는 문집의 간행을 통해 가문의 학문적,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는 것이다. 선교장은 장서와 저술, 출판 등을 통해 가문의 문화적 지위를 높이고자 하였다. 선교장은 지방에서 보기 드문 장서가로 서적의 개방을 통해 학자들과 교류하였다. 그리고 석판인쇄기를 구입하여 문집을 직접 인쇄하여 출판함으로써 학문이나 문화적 수준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이르렀음을 과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선교장은 가문의 사회적 지위에 걸맞는 공익적인 의무를 실천하였다. 6대 이근우는 한말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국가를 회생시킬 방안으로 근대학교인 東進學校를 설립하였다. 신식교육을 통해 쓰러져 가는 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울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한일합방 이후에는 국가의 광복을 위해 독립자금을 지원하였다. The owner of Seongyojang was a big landowner who was rich enough to be called ‘Manseokggun,’ which literary means a person who owns fields yielding as much as 10,000 seok of rice. He owned large lands in Yeongdong and Gangwon-do areas, and, tellingly, the ‘jang’ whose meaning is a manor was added to the name of the house Seongyo. Seongyojang was established in the 1760s and developed and expanded through the owners’ resolution and economic background in conjunction with the changes by time period over 200 years. Seongyojang pursued practical interest over rationale of Yangban class. It accumulated a fortune from even running saltpan business, which was not considered to be a decent one. It also expanded landownership of the farming field through irrigation and agribusiness. It established a big manor and managed it by means of business mind and logic rather than social ethics of rationale and decency required to Yangban class. With wealth and fortune accumulation, Seongyojang raised the family status step by step to the level of a meritorious family clan. The first step it took was the purchase of ‘ Gongmyeongcheop.’ The position manifested in ‘Gongmyeongcheop’ was not a real one but significant enough to be legitimately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The first generation of Seongyojang Lee Nae-beon solidified his family clan as Yangban class through the purchase of ‘ Gongmyeongcheop.’ The second step was entering into state ranking officials through the state examination, ‘gwageo.’ Becoming a state ranking official was the best way to obtain economic security and establish and upgrade social status of an individual and family unit. After having established the status of ‘Manseokggun’ during the first three generations, Seongyojang family began to take ‘gwageo,’ only to fail. Finally, the fourth generations Lee Yong-gu and Lee Ui-gu passed ‘gwageo’ and entered the officialdom. They bought a big house of 60 rooms in the capital Hanyang and began to live as its residents. The third step was the marriage to families of political power, which was a convenient means of increasing status of oneself and the whole family. Lee Yong-gu’s two sons, Lee Hoe-suk and Lee Hoe-won, married to some families of political power in the capital city. Lee Hoe-suk married to a daughter of the Yoo family of Gigye, while Lee Hoe-won to the Park family of Bannam. Through these marriages, Seongyojang was able to raise its family status to the level of ‘Gyeonghwasajok,’ the gentleman class of Seoul and its suburbs. The fourth step was ostentation of the family’s academic and social status through the publication of family’s anthology. Seongyojang made an effort to improve the family’s cultural status by publishing collection of works. With a vast collection of books, which was rare to a local family, Seongyojang opened its study to the public and became correspondent with scholars. It even printed anthology and published it, boasting that it reached a high level of scholarship and culture. Lastly, Seongyojang fulfilled public good appropriate to the family’s social status. The sixth generation Lee Geun-woo established a modern-style Dongjin School with an ambition of revitalization of its homeland at the turn of the century. The main intention of establishing the school was to raise the talented young generations with new education in order that they would keep their homeland from falling. This family also financed the Korean restoration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