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지식기반사회에서 무용 인적자원의 역량 증진 전략

        차은주(ChaEun-joo),안병순(AhnByoung-soo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기반사회에서 무용 인적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지식기반사회의 특성을 파악하고 쟁점으로 대두되는 역량개발의 개념을 살펴보았으며, 무용역량 관련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고 무용 인적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식기반사회는 지식이 가치 창출의 원동력이 되는 사회로, 각 분야에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전략으로 개인의 역량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는 직무와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둘째, 무용분야에서 역량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무용역량의 개발 방향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으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 인적자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는 무용역량의 중요성 인식 및 역량평가가 필요하며, 우수한 인적자원 확보, 무용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기반 무용 교육과정의 변화와 무용직무분야 분석을 통한 대학교과과정 연계, 무용전공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지식기반사회에서 무용분야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무용 인적자원의 역량 강화에 필요한 실천적 노력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rategy for enhancing competences of dance human resources in knowledge-based society. For achieving this purpose,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concept and the concept of competence development, which is becoming an issue today, were examined. Also, the present sta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competence were analyzed and a strategy for enhancing competences of dance human resources was suggest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knowledge-based society, knowledge is the driving force of value creation and individual competence development is becoming an important task as a strategy to cultivate talent in different fields, specially in the field of job and education. Second, there are competence-related studies in the field of dance, but there is a shortage of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dance competence development and systematic strategies are required. Third,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and evaluate the importance of dance competence as a strategy to develop and strengthen dance human resources. It is required to securing superior human capital, change the competence-based dance curriculum for development of dance human resources, connect with the college curriculum by analyzing the field of dance-related job and develop a program for enhancing competences of dance majo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presenting the orientation of practical effort, which is required for enhancing competences of dance human resources. Ultimately, this would help the field of dance obtain competitiveness in knowledge-based society.

      • KCI우수등재

        학생선수 핵심역량 진단 검사지 개발

        차은주(ChaEun-joo),손환(SonHwa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선수 핵심역량 진단 검사지 개발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선수 핵심역량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요인 구조를 설정하고 초기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초기문항은 전문가 및 중등학교 학생선수 14명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최종문항 개발을 위해 서울지역 중·고등학교 학생선수 6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에서 322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60문항을 선정하였으며, 그 외 304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최종 개발된 검사지는 6개 핵심역량, 17개 역량요인, 6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정체성인식역량은 2요인(자기인식, 자기의지) 6문항, 자기관리역량은 4요인(목표설정, 시간관리, 체력관리, 스트레스관리) 13문항, 진로계발역량은 2요인(진로탐색, 진로의사결정) 9문항, 소통공감역량은 4요인(지도자, 가족, 친구, 사회) 16문항, 리더십역량은 2요인(조직특성인지, 팀워크) 7문항, 창의융합역량은 3요인(도구적상상력, 글로벌문화이해, IT매체활용) 9문항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개발된 학생선수 핵심역량 진단 검사지는 중·고등학교 학생선수의 운동과 학업성취를 판단하는 준거로서 핵심역량 진단 및 강화를 지원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student athletes’core competencies assessment tool. To achieve this, based on precedent stud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 structure of student athletes’ core competencies and developed 102 initial questions through expert group meeting. It also conducted a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of the questions mentioned above in 14 expert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and selected 85 preliminary questions. To draw the final questions, it conducted a survey of 626 student athletes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mong which, it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322 subjects who were assigned to wireless case selection and selected 60 questions. It also condu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remaining 304 subjects and secured validity. It appeared that there were three personal domains and eight subfactors and that there were three social domains and nine subfactors. The Student Athletes’Core Competencies Assessment Tool developed through this procedure has secured its validity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tool to determine the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and support to improve their ability.

      • KCI우수등재

        대학 무용전공자 핵심역량 지표 개발

        차은주(ChaEun-Joo)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5

        본 연구는 대학 무용전공자의 핵심역량 지표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핵심역량 관련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대학무용전공자의 핵심역량 모델을 구성하고 진로개발의 성과가 우수한 21명의 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내용요소의 특성을 살펴보고 개념화하였다. 또한 무용 및 역량 관련 분야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전문가협의회를 실시하여 구성체계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 무용전공자의 핵심역량 지표 개발의 방향성은 인지역량을 기초로 학습역량과 직업역량을 개발하여 현재의 역량이 미래 역량으로 강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 무용전공자 핵심역량 구성요소는 학습역량(학습인지, 학습자세, 학습실천, 학습관리)과 직업역량(진로의식, 직업탐색, 진로설계, 진로계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자의 핵심역량 지표는 학습역량 요소의 경우 11개의 하위지표(학습관점, 자아인지, 자신감인지, 학습이유, 학습태도, 학습계획, 학습활동, 학점관리, 자기관리, 학습환경관리, 학습원칙)와 56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되었으며, 직업역량 요소는 8개의 하위지표(자기 이해, 직업세계, 직업정보탐색, 직장구조탐색, 진로목표, 직업설계, 직업준비, 직업실천)와 46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되었다. 이는 대학 무용전공자가 진로개발을 위해 자기주도적으로 핵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규범적 기준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re competency indicators of university dance majors. For this study, a core competency model of university dance majors was constru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on core competencies and there was an in-depth interview with 21 excellent dance majors, who achieved results in career development to consider and concept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Then an experts’ meeting with 6 experts in dance and competencies was conducted to obtain the validity of the organization syste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orientation of core competency indicators of university dance majors, there is a need to develop learning competencies and vocational competencies based on cognitive competencies in order to enhance future competencies. Second, components of university dance majors’ core competencies were learning competencies (learning cogniti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practice, learning management) and vocational competencies (career consciousness, career search, career design, career development). Third, with regard to core competency indicators of dance majors, components of learning competencies consist of 11 sub-indicators (learning perspective, self-cognition, confidence cognition, reason for learning, learning attitude, learning plan, learning activity, grade management, self-management,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principle) and 56 behavioral indicators, and components of vocational competencies consist of 8 sub-indicators (self-understanding, the occupational world, job information search, workplace structure search, career goal, job design, job preparation, job practice) and 46 behavioral i ndicators. In c onclusion, t his s tudy h as s ignificance b y proposing n ormative s tandards f or s elf-directed enhancement of core competencies, which are required for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dance majors.

      • KCI우수등재

        무용 감성역량 모델 개발 연구

        차은주(ChaEun-joo),안병순(AhnByoung-soo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 조직(집단)의 기능 향상을 위해 무용 감성역량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감성역량 관련문헌고찰을 실시하여 무용 감성역량의 개념을 정립하고 무용 감성역량의 구성개념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무용 감성역량의 개념, 구성요인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무용 감성역량의 수준은 5단계로 기초수준, 실무·경험적 수준, 전문적 수준, 전문·응용 수준, 전문적 수준 그리고 지도 수준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무용 감성역량 구성요인은 개인영역과 조직영역의 2개 영역으로 인식과 조절의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인식차원은 감성인식, 감성이해로 구성되며, 조절차원은 감성조절, 감성활용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무용 감성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이론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무용 조직(집단)의 리더와 구성원의 감성역량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무용 감성역량 개발의 실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ance emotional competence model for functional improvement of dance organizations(group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oncept of dance emotional competence was established, and the construct of a dance emotional competence model was considered, based on emotional competence-related literature. Also,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concept and the components of dance emotional competence.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ance emotional competence was classified into five levels; a basic level, a practical and empirical level, a professional level, a professional and application level and a professional and guidance level. Second, the components of dance emotional competence were divided into recognition and regulation in two areas; a personal area and an organizational area. Recognition of a personal area was subdivided into emotional recognition and emotional understanding, and regulation was subdivided into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application. Also, a organizational area was divided into recognition and regul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would serve as basic data to understand emotional competence characteristics of dance organization(group) leader and members and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dance emotional competence by presenting the concept and the components of dance emotional competence in a theoretical way.

      • KCI우수등재

        다층 모형을 활용한 중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와 인성관계 분석

        박태인(ParkTae-in),조정형(ChoJeonghyung),차은주(ChaEun-joo),김영재(KimYoungjae)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와 인성의 관계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의 위계적 상황을 고려하여 Level-1 학생수준과 Level-2 학교수준으로 나누어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의 중학생과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서울시 19개 구에서 각 중학교 1개교를 선정하여 설문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Level-1 학생수준 1201부와 Level-2 학교수준 64부가 사용되었다. 자료는 다층모형분석 분석을 위해 HLM 7.01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수준에서 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스포츠 인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유의한 요인으로는 주관적 관여도, 학생이 인지하는 선생님 태도,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정도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학생이 인지하는 선생님의 태도가 가장 설명력이 높았고, 주관적 관여도,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정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수준에서 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스포츠 인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유의한 요인으로는 종목 선정 방법으로 나타났다. 그 외 요인인 참여 인원 수, 운영 종목 수, 활동 편성 실태, 클럽 운영 계획, 교내 대회 개최, 교외 대회 개최 등의 요인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포츠클럽참여를 통하여 중학생들에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단순 개인의 특성만을 강조하는 것 보다 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이는 학교스포츠클럽이 더욱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요인을 탐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using multi-level model, to analyze the association factor between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and personal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were, considering the hierarchical characteristic of school, divided into Level-1, a student level, and Level-2, a school level.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club teachers of 19 schools selected from each 19 district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1201 and 6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Level-1 and Level-2 were collected and used in analysis by using HLM 7.01 for multi-level model analysi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based on above method and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significant factor explaining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school club on personality in student level were teacher's attitude perceived by student and followed by subjective degree of involvement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Second, the only significant factor explaining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school club on personality in school level were method of determining sports type and insignificant factors were number of participants, number of administered sports type, actual state of activity organization, planning for running club, participation in inside and outside school competition. It is suggested, therefore, for fostering person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participation in sports club, to operate program by considering character of school rather than just individual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termine factors for more effective operation of school sports clu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