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지수측정

        차운아(Oona Cha),정태훈(Taehun Jung) 한국경제통상학회 2015 경제연구 Vol.33 No.4

        본고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을 대상으로 Sahin et al. (2014)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각 부문의 매칭 효율성을 고려한 지역, 직종, 임금 미스매치 지수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미스매치의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가 도래한 2008년 후반에 3%를 넘어섰으나, 점차적으로 하락하여 2009년 후반부터 1.5% 부근에서 오르락내리락 하다가 2013년부터 1.7%정도로 약간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직종 미스매치 지수의 경우, 대구와 부 산을 제외하면 최근에 직종 미스매치 지수가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직종으로 인한 미스 매치 정도가 점점 완화되고 있으나, 10% 수준을 보이고 있어 지역 미스매치 지수보다 훨씬 심각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임금 미스매치 지수의 경우, 대전과 서울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2% 부근을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서울의 경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부터 2011년 초반까지 임금 미스매치 지수가 급격히 하락한 점이 다른 지역과 차별되는 점이다. This study quantified the mismatch in Korean labor market in terms of region, occupation and wage using the methodology developed by Sahin et al.(201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ographical mismatch, which once exceeded 3%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late 2008, has been around 1.5% since late 2009 but has slightly increased to 1.7% after 2013. Second, the mismatch due to occupation have alleviated except for Daegu and Busan; however, the occupational mismatch was around 10%, which suggests that the mismatch due to occupation poses a more serious problem than the geographical mismatch. Finally, the wage mismatch was around 2% in most of the areas except Daejeon and Seoul. Especially the wage mismatch has declined dramatically since 2008 financial crisis until early 2011 in Seoul, which separates Seoul from other areas.

      • KCI등재

        엘리트 대학 중심의 학연과 이사 승진과의 관계

        차운아(Cha, Oona) 한국사회경제학회 2014 사회경제평론 Vol.- No.43

        기업에서 엘리트 대학 중심의 학연의 영향이 상당할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이 지배적이나 이에 대한 실증분석은 부족한 편이다. 이 연구는 일본 기업 내 학연과 이사들의 승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이사들의 출신대학 중에서 상위 4개 대학에 속하는 도쿄대, 교토대, 게이오대, 와세다대를 중심으로 사장이 이들 대학 출신일 때 동일 대학 출신을 이사회 구성원으로 승진시키는지 살펴보았다. 사장과 신임 이사의 출신대학 사이에는 일견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기업의 고유효과를 넣어 분석할 경우 와세다대를 제외하고는 사장의 출신대학이 갖는 효과는 사라졌다. 이는 사장이 동일 대학 출신을 이사로 승진시키는 데 영향을 주기보다는 기업에서 특정 대학 출신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짐작케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xistence of alumni tie among elite university graduates in the boardroom.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d whether shachos (Japanese CEO) that are from one of the top 4 elite universities (i.e., University of Tokyo, Kyoto University, Keio University and Waseda University) tend to promote their alumni as new directors in Japanese manufacturing firms. Initial analysis seems to suggest the influence of academic tie in board director promotion: the fact that a shacho had graduated from a particular elite university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promoting a person from the same elite university as new board directors. However, this effect disappeared when firm fixed effects were considered.

      • KCI등재

        일본 기업에서의 가족승계와 기업성과

        차운아(Oona Cha) 한국경제연구학회 2013 한국경제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일본 제조업을 대상으로 가족승계와 기업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1990년부터 2002년까지 동경 및 지방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총 1,419개 기업에서 이루어진 사장교체 2,290건이었으며, 사장교체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 사장과 교체된 사장이 각각 3년 이상을 재직한 경우에 한정하여 가족승계와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최고경영자의 가족승계는 기업 성과의 부진 때문이라고 주장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비가족승계에 비해 가족승계는 기업의 주식수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를 제외한 다른 기업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족승계 중에서도 최고경영자가 엘리트 대학을 나오는 것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는데, 엘리트 대학 출신 여부가 기업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지는 못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ccession and firm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of manufacturing firms in Japan. A total of 1,252 succession events of 1,419 listed firms from 1990?02 where shachos(company presidents) and their successors maintained the tenure of at least 3 years before and after the succession respectively were analyz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 family succession in these firms could not be attributed to suffering firm performances at the time except for stock return, (ii) family succession, as compared to non-family succession,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ubsequent firm performances except for stock retur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having family successors with elite educational background was not sufficient to bring positive firm performances.

      • KCI등재

        행동중독 준거 기반 한국형 일중독 척도(Korean Work Addiction Scale: K-WAS)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차운아(Oona Cha),이화령(Hwaryung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23 인사조직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일중독을 행동중독의 일종으로 개념화하고 Griffiths(2005)가 제안한 행동중독 준거 6요인으로 구성된 한국형 일중독 척도(Korean Work Addiction Scale: K-WAS)의 개발·타당화를 목표로 하였다. 특히 행동중독 모형에 부합하는 요인별 다문항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일중독을 행동중독 연구의 틀에 안착시킴으로써 향후 일중독과 과로, 장시간 노동으로 인한 문제와 부작용 해소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문항 개발에는 크게 두 가지의 원천, 즉 (1) 7종의 대표적인 기존 일중독 척도와 (2) 임금근로자 및 자영업자 대상 심층 면접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한 경험 수집을 활용하였으며, 행동중독 준거를 이용한 연역적 접근과 함께 경험 수집을 통한 귀납적 접근을 적용하여 해외에서 개발된 척도들이 포착하지 못한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일중독 특성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행동중독 6가지 준거, 즉 현저성, 기분조절, 내성, 갈등, 금단, 재발의 6요인에 대응되는 총 18문항의 K-WAS 척도를 제안하였다. 분석을 통해 6요인을 포함하는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이 좋은 적합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K-WAS 점수는 일에 대한 몰입을 나타내는 직무열의와 더불어 과도한 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나타내는 번아웃, 직무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대체로 직무번영감,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의 경험과는 약하거나 유의하지 않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중독의 이러한 특성은 번아웃이나 직무소진, 직무열의와 구분되는 특성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 변수와 K-WAS 하위 요인 점수별 상관은 일중독의 양가적 속성을 부각한다. 본 연구는 일중독 연구 및 척도에 대한 비판적 개관을 통해 기존 일중독 개념화와 측정도구의 문제를 지적하고, 일중독의 행동중독 개념화가 일중독 개념을 명세화하고 관련 연구를 통합하는 데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논의한다. Conceptualizing work addiction as a form of behavioral addiction,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Work Addiction Scale or K-WAS based on Griffiths’ (2005) behavioral addiction criteria, i.e., salience, mood modification, tolerance, conflict, withdrawal, and relapse. The preliminary items for K-WAS were developed based on two main sources: (1) data from seven existing workaholism or work addiction scales (WorkBat, WorkBat-B&P, WorkBat-Han, WART, DUWAS, BWAS, and WAQ) and (2)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surveys from Korean workers (employees and self-employed) on their experiences with and related to work addiction. An 18-item K-WAS was derived as a result and analyses showed that the proposed hierarchical secondary factor model with six sub-factors has a good fit. In addition, K-WAS was found to have low to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s with work engagement and burnout but weak or non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riving at work, job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positive affect, demonstrating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extensive workaholism and work addiction studies and scale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developing work addiction items and discusses the usefulness of applying the behavioral addiction framework in work addiction studies—i.e., how it can help refine the work addiction concept and its subdimensions and integrate relevant research.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이사회 규모 및 다양성과 기업 성과 : 미국기업과 일본기업의 비교

        차운아 (Oona Cha) 한국경제통상학회(구 한국경상학회,한국국민경제학회) 2013 경제연구 Vol.31 No.4

        본고는 미국기업과 일본기업을 대상으로 이사회 규모 및 이사회 다양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비교하고 있다. 이사회 규모는 양국의 기업에서 모두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사회 다양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국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일본기업이 경우 연령의 다양성이 기업 성과를 올리는 데에 기여하였지만, 미국기업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반면에 일본기업에서 전공의 다양성은 기업 성과를 올리는 데에 유의한 효과를 갖지 못하였지만, 미국기업의 경우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단순히 이사회 규모를 확대하는 것만으로는 다양성의 증대로 이어지지 않으며, 이사회 구성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령의 다양성, 전공의 다양성 등 다양성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국가마다 다르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통해 이사회 다양성의 확대는 해당 기업이 가지는 사회적, 문화적 환경이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졌을 때에만이 그 효과가 발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board size and board diversity on firm performance in Japanese and US companies. Board size did not affect firm performance significantly in both countries. However, board diversity was found to affect firms in two countries differently. Specifically, age diversit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firm performance in Japan, whereas it did not affect firm performance in the US. In addition, educational background diversity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firm performance in Japan. while 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in the U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versity of the board matters more than the size of the board for firm performance.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the effect of director diversity, e.g., age diversity or educational background diversity, on firm performance depends on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of the firms.

      • KCI등재

        이사회 다양성과 기업성과

        차운아(Oona Cha),정태훈(Taehun Jung) 한국경제연구원 2014 규제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한국 제조업체 이사회의 다양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사회를 구성하는 이사들의 나이, 출신대학, 전공을 중심으로 이사회 구성의 다양성을 파악하였고, 각 기준별로 2개씩의 다양성 지표를 산출하여 총 6개(사내이사와 사외이사를 구분한 것까지 합하면 18개)의 다양성 지표를 중심으로 이들과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이사회의 규모가 커진다고 해서 반드시 이사회의 다양성이 증가하지 않았다. 이는 이사회 규모의 적정성에 대한 논의에서 이사회의 규모가 커질수록 이사회의 다양성이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기업성과가 향상된다는 일련의 주장이 한국 기업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나이 및 출신 대학의 다양성은 기업의 성과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 반면, 전공의 다양성은 그 다양성이 커질수록 기업의 성과에는 음의 효과가 발생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전공의 다양성으로부터 오는 긍정적인 효과보다는 의사결정의 합의 및 조율의 어려움이 오히려 더 크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board diversity on firm performance in Korean manufacturing firms. Board diversity is defined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directors' age, university, and academic major and six diversity indices are adopted for this analysis. First, it is found that increase in board size does not lead to increase in board diversity. This finding shows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oard size and board diversity that previous papers have asserted does not apply to Korean firms. Second, diversity in directors' academic majors is found to affect firm performance negatively; however, diversity in terms of age and university are not found to affect firm performance.

      • KCI등재

        부러움:한국의 “무해한 선망”

        차운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3 No.2

        This research examined the role of emotions associated with upward social comparison processes in Korean's lives. Three emotions, i.e., buroum (benign envy), sisem (malicious envy), and jiltu (jealousy) were compared.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buroum, an equivalent to “benign envy,” and tries to demonstrate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ts unique contribution to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lives of Koreans. Compared to sisem or jiltu, buroum was found to be experienced more frequently and was perceived as more socially desirable; however, it was still nega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were relevant to subjective well-being. Furthermore, examination on the perception of the comparison target indicated that buroum, compared to sisem, was directed toward someone who was close to them or whom they desired to be close. It suggests that buroum might serve a social function of managing relational harmony and strengthening social ties in interdependent culture. This research suggests to bring benign envy back into focus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to understand the role and meanings of buroum in Koreans' affective experiences. 이 연구는 상향 사회비교의 결과로 초래될 수 있는 정서의 하나로서 한국 문화에서 독특하게 나타나는 부러움을 조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러움은 상향 사회비교 대상에 대한 적의를 내포하는 시샘이나 질투와는 달리 한국 사회에서 긍정적으로 인식되는 친숙한 정서이지만 궁극적으로 주관적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더 나아가 상향 사회비교를 피할 수 없는 한국 사회에서 부러움은 사회비교 대상에 대한 사회적 거리를 좁히고 조화를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발달된 정서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서양문화권의 정서 연구에서 배제되었던 “무해한 선망(benign envy)”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환기하고, 한국인의 정서적 삶 전반에 있어서 부러움이 가지는 역할과 의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이사회의 문과 및 이과 비율이 이사 승진과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차운아 (Oona Cha),정태훈 (Taehun Jung) 한국국제경제학회 2012 국제경제연구 Vol.18 No.4

        본고는 일본 기업의 이사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문과/이과 비율이 이사들의 선임 및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문과 출신 기존 이사들은 문과 출신을, 이과 출신 기존 이사들은 이과 출신을 새로운 이사로 선임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문과 출신 비율이 이사회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거나 이과 출신 비율이 이사회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문과/이과 비율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문과의 경우와 이과의 경우가 다르게 나타났다. 문과 출신 이사가 이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면 커질수록 기업 성과는 부분적으로 나빠지는 반면, 이과 출신 비율은 기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board directors` academic majors on directors` promotion to the board and on firm performance in Japan. Directors` academic majors in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bunka`` major group includes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related studies; and the ``rika`` major group includes engineering and sciences.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board composition of bunka and rika tends to be maintained. Second, as the ratio of bunka board directors increases, the firm`s financial performance partially gets worse; the ratio of rika board directors had no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