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긍정심리자본과 영감적 동기부여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차영덕(YEONGDUK, CHA)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1 창조와 혁신 Vol.14 No.4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과 영감적 동기부여 특성이 종업원 인게이지머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글로벌화의 가속화,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 비대면 활동 증가 등 경영환경의 변화 가운데 그 중요성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와 선행요인으로서 긍정심리자본 및 상사의 영감적 동기부여에 관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변화된 경영환경에서 종업원의 인게이지먼트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개인의 심리적 역량인 긍정심리자본과 리더십 역량으로서 영감적 동기부여의 구축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일반기업의 임직원을 조사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를 실시하여 통계자료를 확보하였고,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통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에서 독립변수인 긍정심리자본의 네 가지 하위요인은 모두 조직구성원의 인게이지먼트와의 관계에서 정(+)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해당가설들이 채택되었고 긍정심리자본이 기업의 지속적 경쟁우위와 성과창출을 위한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회복력과 종업원 인게이지먼트 간의 관계에서 리더십역량으로서 영감적 동기부여특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가설이 채택되어 상사의 리더십 역량으로서 영감적 동기부여의 조절효과가 부분적으로 규명되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 제고의 중요한 하나의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employee engagement and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pirational motivation. Among the changes in the organization environment, such as the acceleration of globalization,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ncrease in non-face-to-face activities, it examined inspirational motivation as prior factors affecting employee engagement. In this organization environment, it proposes the very impotant implications for leadership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competency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by enhancing employee engag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 engagement. Second, inspirational motivation had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employee engagement.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personal competency and inspirational motivation as leadership competency with employee engagement.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 변혁적 리더십 및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차영덕(YEONGDUK, CHA)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1 창조와 혁신 Vol.14 No.2

        본 연구는 조직성과차원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선행요인으로서 변혁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최근 비대면 활동이 증가되고 있는 경영환경에서 연구가 미흡한 조직성과차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의 선행요인으로서 변혁적 리더십 및 자기효능감에 관하여 검증하여 변화된 경영환경에서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를 낮추어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구축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일반기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검증을 위하여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에서 영감적 동기부여 특성은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와 부(-)의 관계를 나타냈고, 지적 자극 특성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부(-)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해당 가설이 채택되었다.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시험적 가설은 채택되지 않아 자기효능감이 조절변수로 작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변혁적 리더십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수준을 줄이는 영향을 발휘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고 리더십 역량 및 변혁적 리더십의 개발과 구축이 조직의 전반적 성과향상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of transformation al leadership, job-related stress, turnover intention and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Using survey data from employees of the Korean enterprises in Korea, performed correla 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spirational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job related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intellectual stimul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but has no influence on job related stress. Third, self-efficacy had no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traits and job-related stress, or turnover intention.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spirational motiv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leadership competency given its crucial relationship with job-related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