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스닥시장에서 부실기업 공시의 정보효과와 산업내 정보전이효과 - 유가증권시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차승민 한국회계정보학회 2008 회계정보연구 Vol.26 No.4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effects associated with the announcements of the financially distressed firms both in the Korean Stock Exchange (KSE) and KOSDAQ market.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intra-industry information transfers associated with the announcements of the financially distressed firms. Furthermore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 transfers between the KSE and the KOSDAQ market. The financially distressed firms experience significantly negative abnormal returns surrounding the announcement of the news. Information begins to be reflected weeks before the formal disclosure of the news. The firms in the KSE market experience significantly negative abnormal returns since nine weeks before the announcement, while the firms in the KOSDAQ market experience significantly negative abnormal returns since five weeks before the announcement. The information transfers on the matched firms in both markets show different behaviors by the news. The matched firms in the KSE market seem not to be influenced by the news, which shows the information transfers in the KSE market. On the other hand, the matched firms in the KOSDAQ market experience significantly negative abnormal returns during one month (four weeks) after the announce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tagion effect dominate the competition effect in the KOSDAQ market. 본 연구는 코스닥시장에서 부실기업 공시가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가증권시장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주제에 대해 분석을 시도한다. 첫째, 부실기업에 대한 공시가 해당 기업의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둘째, 부실기업에 대한 정보가 동종 산업의 다른 기업의 주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연구 결과, 부실기업으로 공시되면 해당 기업의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것을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모두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부실기업에 대한 징후가 나타나는 시기에서는 두 시장간에 차이가 있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부실공시 9주전(-9)부터 유의한 음의 평균초과수익률을 보여준 반면, 코스닥시장에서는 부실공시 5주전(-5)부터 유의한 음의 평균초과수익률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부실기업 공시가 있기 전에는 유가증권시장의 초과수익률이 코스닥보도 대부분의 주에서 낮았으며, 부실 공시 2주전(-)부터 코스닥시장에서는 부실의 징후가 본격적으로 주가에 반영이 되기 시작해 부실기업 공시후 큰 폭으로 주가에 반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가증권시장에 비해 코스닥시장에서는 부실기업에 대한 징후가 한달 정도 늦게 주가에 반영되기 시작해 부실기업 공시후에 본격적으로 주가에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두 번째 분석은 부실기업 공시로 인한 산업내 정보전이효과에 대한 두 가지 가설(감염효과가설과 경쟁효과가설) 중 어느 것이 보다 더 설득력이 있는지를 검증해 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경쟁가설이 다소 우위에 있는 것으로 보이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코스닥시장에서는 부실기업 공시 시점부터 공시후 3주까지 약 1달간 유의한 음의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을 나타냈다. 이는 산업내 한 기업이 부실기업 공시를 하게 되면 동일한 산업내의 다른 기업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코스닥시장에서 감염효과가설이 지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부실기업 공시로 인한 정보효과 및 정보전이효과에 있어서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간에 차이가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의 도입이 경영자의 실물적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차승민,문보영,전홍민 한국세무학회 2014 세무와 회계저널 Vol.15 No.6

        This paper investigate whether the adop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KIFRS)is significantly lower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accountinginformation. We divided sample into two segments which are early voluntary adopters(firms thatadopted K-IFRS before the year of 2011) and mandatory adopters(firms adopted K-IFRS since2011) to compare the tendency of real managing earnings as one of the effect of IFRS onbehavior of managers. Also, we used Difference in Difference technique to remove biases insecond period(in the year 2011 and 2012) comparisons between early voluntary adopters andmandatory adopters that could be the result from permanent differences between those groups, aswell as biases from comparisons over time in the mandatory adopters that could be the result oftrends. By using 5,199 Korean firm-year observations from 2009 to 2012 we find that real earningsmanagement seems to be reduced at the adoption of K-IFRS based on the fact that all theproxies of abnormal operating cash flows, abnormal production cost, and abnormal discretionarycost a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its magnitude since 2011. We conclude that more broaderdisclosure practice under K-IFRS prohibits managers from doing real earnings management. Insum, our results suggest that adoption of K-IFRS significantly lower real earnings managementand increase accounting transparency as standard setters expected by changing informationenvironment. 본 연구는 실물적 이익조정 규모를 통해 K-IFRS 도입이 국내 기업들의 회계정보 투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K-IFRS를 조기도입한 국내 기업들과 함께 K-IFRS를 의무도입한 국내 기업들의 최근 자료를 모두 포함하고, Difference-in-Difference 방법을 활용하여 K-IFRS 의무도입기업의 도입 이전 및 이후의 실물적 이익조정 규모의 변화를 KIFRS조기도입기업의 실물적 이익조정 규모 변화와 비교분석함으로써 단순한 연도별 효과가 아닌K-IFRS 도입으로 인한 실물적 이익조정 규모의 변동을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였다. 2009년도부터 2012년까지 우리나라의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5,199 기업/연도를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K-IFRS 의무도입 시점 이후 K-IFRS 의무도입기업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실물적 이익조정 규모의 대용치(비정상 영업현금흐름, 비정상 제조원가 및 비정상 재량적 비용)에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결과는 K-IFRS 도입 후 확대된제반 공시내용에 기반하여 투자자들이 기업의 장기경영성과 및 자기자본비용에 부정적인 영향을미친다고 알려진 실물적 이익조정 여부를 보다 수월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정보환경으로 전환되자경영자들의 실물적 이익조정 수행 유인이 감소되어 나타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이러한 실증결과로 감안해 볼 때 높은 품질의 국제적 정합성을 갖춘 것으로 알려진 IFRS를 우리나라 기업에 대해전면적으로 도입한 금융당국의 기대대로 K-IFRS의 도입은 국내 기업들의 회계정보 투명성을 제고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공판단계에서 피고인 구속기간 제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차승민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72 No.-

        If the Defendant in the case filed for prosecution is in custody, the court can basically detain the Defendant for two months and renew the detention period only two to three times depending on the trial level.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average processing period from the filing date of criminal trials to the final date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and that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investigate and examine all requested evidence due to complex criminal changes, the current arrest system has been in its current shape since the Criminal Procedure Act was revised in 2007. If the detention period in the court is maintained as it is now, it is a big burden for the court to release the Defendant and go to trial without detention after the expiration of the detention period. Then, the Defendant has to have difficulty collecting evidence in his/her favor with restriction, and in the absence of a bail system like the United States, the Defendant may be sentenced just before the expiration of the detention period. In the same context, even if the defendant wishes to be more arrested and the case heard closely, the limitation of the arrest period cannot be avoided under the law, so the defendant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being sentenced through a so-called hasty trial, so the right to a fair trial may be limited. In addition, courts have often conducted trials with the nature of trial-centeredness due to the adjustment of the prosecution and police investigation rights. If the defendant is released and the defendant is tried without detention, it may cause problems in securing the defendant's whereabouts. Looking at legislative cases in Germany,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period of detention in the court during the trial, so it is necessary to devise new measures such as not limiting the period of detention in the court during the trial. I think active use of the bail system, which is used formally in the event of the expiration of the detention period, can also be a way. Originally, according to Article 192 (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investigation of the suspect is also conducted without detention, so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resumption of innocence, it is in principle desirable that the court proceedings are also conducted without de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