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인 대학생 친구 간 대화에 나타난 「さ」의 사용양상

        차소영 ( Cha So-young ),이은미 ( Lee Eun-mi )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7 日本硏究 Vol.0 No.72

        In this study, the use and function of `Sa` in the convers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 friends in Japanese were investigated. The functions of `Sa` in the conversation were classified into `Consent requirement`, `Strengthening`, `Attention-getting`, `Emotion express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Sa` is used in a larger number of utterances and is used at a higher rat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conversation than in male university students `convers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 both male university students `conversation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conversation, there is a common feature that `Sa` functions mainly as `Attention-getting`. However,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usage of function of `Sa`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at the ratio of `Strengthening` is relatively higher in male university students` conversation tha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conversation..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regarded as an example to support the fact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language is gradually weakening in modern Japanese society.

      • KCI등재

        대학생 친구 간 대화에 나타난「ね」의 담화상의 기능 - 성차 요인을 중심으로 -

        차소영 ( Cha So-young ),이은미 ( Lee Eun-m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7 日語日文學硏究 Vol.100 No.1

        In this study, the use and function of `Ne` in the conversation between twenties university students friends were investigated. The functions of `Ne` in natural conversations were classified into `faciliative`, `attention-getting`, `softening`, `confirming`, `verbal-filler` and `re-confirm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Ne` is used in a larger number of utterances and is used at a higher rat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conversations than in male university students` conversatio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 both male university students` conversations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conversations, there is a common feature that `Ne` functions mainly as `faciliative` and `attention-getting`. However,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usage of function of `Ne` between male and female. Although the distinction of use of language between males and females is becoming weaker in modern soc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emales still use `Ne` a little more than males.

      • KCI등재

        연구보문 : 코돈최적화를 통한 합성 조직형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인자의 형질전환 담배 내 발현

        심준수 ( Joon Soo Sim ),차소영 ( So Young Cha ),한정순 ( Jeong Soon Han ),강솔 ( Sol Kang ),헤마바티 ( He Ma Va Thi ),김용환 ( Yong Hwan Kim ),한범수 ( Bum Soo Hahn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0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혈전용해제로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t-PA를 담배에서 생산하기 위해 t-PA 유전자를 코돈최적화를 통해 합성하여 담배 rbcS 프로모터하에서 발현을 유도하였다. 합성된 t-PA 유전자는 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담배 형질전환을 실시하였고, 동물세포 유래 t-PA와의 인공 혈 전용해 활성 및 분자량의 동등성 등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1. 담배의 codon usage에 맞게 t-PA 유전자를 합성하였고, 담배 형질전환체 잎에서 피브린 분해 활성이 있는 효소학적으로 안정된 재조합 t-P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2. 합성 t-PA 유전자의 담배 genomic DNA내의 삽입과 전사는 PCR과 RT-PCR법으로 측정하였고, t-PA 유전자의 PCR 산물(1.6 kb)을 관찰하여 담배 염색체내에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t-PA의 전사체 크기에 해당하는 1.6 kb의 PCR 산물을 관찰하여 담배 잎 내에서 정상적인 전사가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 담배 형질전환체 잎의 전체 수용성 단백질 중 합성 t-PA 의 평균 발현양은 0.03 μg/TSP mg으로 측정되었고, 가장 높은 발현양은 0.0903 μg/TSP mg로 관찰하였다. 4. 담배 잎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합성 t-PA 단백질의 피브린 분해 활성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재조합의 t-PA 단백질과 동등한 활성을 나타냈고, 담배 형질전환체들의 피브린 용해 활성의 평균값은 0.2589 cm2 lysis zone을 나타냈고, 피브린 용해 활성의 최대치는 0.9 cm2 lysis zone이었다. 5. 형질전환 담배 잎에서 발현된 재조합 합성 t-PA의 분자량을 분석한 결과 동물세포 유래 t-PA와 유사한 크기의 65 kDa으로 확인하였다. 6. T-PA 단백질을 발현하는 담배 형질전환체들은 식물체의 키, 색깔, 모양, 잎의 개수, 성장속도, 종자의 생산량 등과 같은 표현형에 있어 야생종 담배와 별 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후대에도 안정적인 t-PA 활성을 나타내었다. Human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t-PA) which is found in blood and tissues is one of the proteolytic enzyme. T-PA causes fibrin-specific plasminogen activation that can dissolve blood clots in the vasculature. In order to produce recombinant t-PA(st-PA) proteins in transgenic tobacco plants, the t-PA gene was codon-optimized and cloned into a plant binary vector(p221a-rbcS-st-PA) harboring a tobacco rbcS promoter, a tobacco etch virus leader sequence, an N-terminal signal peptide of the alfala glucose-regulated endoplasmic recticular protein and a 35S terminator. The plasmid was transformed into Agrobacterium tumefaciens EHA105 and then the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tobacco leaf discs was performed. The insertion of the st-PA gene in genomic DNA of transgenic tobacco plants and the presence of its transcript were verified by PCR and RT-PCR, respectively. We investigated the fibrinolytic activity of recombinant st-PA proteins and quantified their amount to determine the expression level of st-PA proteins in transgenic tobacco leaves.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determined that the highest level of recombinant st-PA expression was 0.09 μg/total soluble protein(mg) in transgenic tobacco plants. The amount of recombinant st-PA proteins in transgenic plants was estimated to range from 0.001 to 0.009% of total soluble proteins. Immuno-blot analysis of transgenic tobacco leaves revealed a single band of approximately 68 kDa recombinant st-PA protein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expression and in vitro activity of recombinant st-PA in transgenic tobacco plants. Thus it provides the information for the additional production of recombinant pharmaceutical proteins using plant system.

      • KCI등재

        연잎과 민들레 추출물에 의한 S. mutans 성장억제 효과

        최보람(Chi, Bo-Ram),조다영(Jo, Da-Young),차소영(Cha, So-Young),최민지(Chi, Min-Ji),정혜원(Jeong, Hye-Won),강경희(Kang, Kyung-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2

        최근에 연잎과 민들레 추출물의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항산화작용, 항알레르기효과, 항 균작용, 항암활성 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lony forming unit와 흡광도를 측정하여 연 잎과 민들레 추출물이 S. mutans에 미치는 성장억제효과를 연구하였다.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S. mutans의 성장억제 율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S. mutans의 성장억제율도 높아지는 결과를 얻었다. 이로써 연잎과 민 들레 추출물은 S. mutans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본 연구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Results regarding the anti-oxidative, anti-allergic, anti-bacterial and anti-cancer effects of lotus leaf and dandelion have been reported through active research on the medical effects of medicine prepared from crude drugs. This paper aimed to examin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lotus leaf and dandelion extracts on S. mutans by evaluating the colony forming unit and growth curve.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inhibition rate of S. mutans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lotus leaf and dandelion extracts, the higher the extract concentration was, the higher the growth inhibition rate of S. mutans was. This paper therefore verifies that lotus leaf and dandelion extracts have an effect in inhibiting the growth of S. mutans.

      • KCI등재
      • dexamethasone이 미각혐오 학습의 상승 효과에 미치는 영향

        차소영 한국심리학회 1998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3 No.1

        미각 혐오 학습에서는 복합 조건 자극이 무조건 자극인 앓이와 짝지워 제시될 때 현저 단서는 비현저 단서의 조건화를 차폐(overshadowing)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승시키는데, 그 기제를 본 연구에서는 dexamethasone을 사용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실험 1에서, dexamethasone을 주사한 후 미각 혐오조건화를 시킨 결과, 혐오가 통제군에 비해 약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볼때, dexamethasone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공포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 2에서는, 먼저 혐오조건화를 시켰다. 다음 dexamethasone을 주사하고 혐오의 정도를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는 통제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dexamethasone를 주사하지 않고 혐오를 재검사하였을 때에는 통제군에 비해 혐오가 강하게 나타났다. 즉 dexamethasone에 의한 혐오 감소 효과가 지속적이지 않았다. 그런데 만약 어떤 처치가 학습의 연합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면 그 처치 효과가 비교적 영속적이어야 될 터인데, dexamethasone의 주사 효과는 그렇지 못하다. 따라서 이 약물은 연합 과정과는 무관한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 3에서는 dexamethasone의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미각 혐오 학습에서 나타나는 상승 효과의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실험군은 사카린과 아몬드 향을, 통제군은 아몬드 향을 조건자극으로 하여 혐오 조건화를 시켰다. 다음 아몬드 향에 대한 혐오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혐오가 강력하였다. 즉 상승효과가 확인되었다. 그 후 dexamethasone을 주사하니 집단간 혐오의 차이가 없었다. 즉 상승 효과가 사라졌다. 이러한 결과들에 의해 판단해 볼 때, 상승 효과의 원인은 자극들 사이의 연합때문이 아니라, 아마도 혐오 장면이 일으키는 공포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When compound CS is paired with sickness which is US, salient CS potentiates rather than overshadows nonsalient CS in taste aversion learn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by means of dexamethsone, the cause of the potentiation phenomena. In experiment 1, by administering dexamethasone to rats before aversive conditioning, aversion to saccharin was weaken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The result suggests that dexamethasone reduces fear under the stress situation. In experinemt 2, weakened aversion to saccharin was reversed when dexamethasone was not administered. This means that the effect of dexamethasone is transient. It is supposed that if a treatment influences associative process of learning, the effect of the treatment should be relatively permanent. And the effect of dexamethasone is not permane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dexamethasone is irrelevant to associative process. In experiment 3, experimental group was aversively conditioned with saccharin and almond, and control group was with almond alone. Then, dexamethasone was administered to both group. The outcome was that general aversion reduction resulted in, and potentiation effect disappeared, too. Thu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potentiation effet results from the difference of associative strength between groups. Rather, it is more related with fear.

      • 미각혐오 학습의 상승 효과에 대한 조건자극 간 연합의 영향

        차소영 한국심리학회 1990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2 No.1

        미각 혐오학습 절차에서의 냄새 CS에 대한 혐오 냄새 CS 단독으로 제시하는 것보다 맛 CS와 동시에 제시하는 것이 훨씬 강력하다. 이런 상승 효과의 원인은 조건자극간 연합 때문이라는 주장이 상당히 타당성이 있다. 그런데 이런 설명이 옳다면, 조건자극간 연합의 정도와 상승 효과의 정도는 서로 관련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먼저 실험 1에서는 맛자극을 공통으로 한 세쌍의 조건자극(맛-촉각, 맛-소리, 맛-냄새)을 LiCl 주사에 의해 앓이와 짝지우고, 다음에 각 집단에서 상승 효과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보면 맛-냄새 자극쌍에서는 상승 효과가, 맛-촉각에서는 차폐가, 맛-소리에서는 상승과 차폐 어느 것도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의 결과에 근거해서 그 상승 효과의 정도에 따라 조건자극간 연합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검증해 보았다. 복합자극 내 연합의 정도를 알기 위한 절차로서, 먼저 세쌍의 조건자극에 대해 조건화를 시키고 다음날 세 집단 모두에게 맛 자극에 대해서만 추가의 조건화를 시킨후 마지막으로 모든 집단에게 이전에 맛자극과 같이 짝지워졌던 각각의 자극을 제시하여 혐오의 정도를 비교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촉각 자극에 대해서는 혐오가 약하게, 소리 및 냄새 자극에 대해서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소리 자극과 냄새 자극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1과 2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맛-촉각, 맛-냄새 자극쌍에서는 분명히 조건자극간 연합의 정도가 상승의 정도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고 있다. In taste aversion learning paradigm, aversive conditioning of odor CS is stronger when it is presented with taste CS than presented alone. This has been explained to be due to be within-compound association, i.e. association between CSs. If it is true, the strength of association between CSs and the degree of potentiation will be related somehow. Present experiment is aimed to test this relationship. In experiment 1, three pairs of CSs in which taste stimulus was common(taste-tactile, taste-sound, taste-odor) were paired with sickness by injecting LiCl. Thereafter it was examined whether the degree of potentiation of each group was different. Experiment 2 was designed to test that the degree of potentiation in Experiment 1 was in accord with that of within-compound association. Its procedures were as follows. Three pairs of CSs were paired with sickness by injecting LiCl as in Experiment 1. On the next day, taste CS was further paired with sickness in each group. On the fourth day all subjects were tested whether the degree of aversion to tactile, sound, and odor stimulus was differ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hypothesis is supported at least in taste-tactile, taste-odor group.

      • 신선조체에서 뇌 자기자극에 미치는 MIF 의 효과

        김기석,차소영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1986 行動科學硏究 Vol.8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IF on brain self-stimulation of the rat. The MIF facilitated self-stimulation at both the antero-ventro-medial and the postero-dorso-lateral area of the neostriatum, however, the rate of the increase of the former caused by administration of MIF was larger than that of the latter. These facts suggest that MIF has the same effects as other dopamine agonists have on self-stimulation, and that there is the difference in the sensitivity of dopamine among the various dopaminergic fibers or dopamine innervated cells of the neostriatum. The antero-ventro-medial area is, thus, more important than the postero-dorso-lateral area in brain self-stim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