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한지역에서의 관측 지중온도의 기후학적 특성 및 변동경향

        차소영,서명석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21 기후연구 Vol.16 No.1

        Soil temperature (SoT) is one of the important climate elements for the land-atmosphere interactions. In this study, the climatic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SoT were analyzed at nine locations for the period of 1966 to 2020. In addition, effect of precipitation on the interannual variations of SoT was also addressed. The monthly average of the SoT shows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tions regardless of location. While there a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depth, the interannual variations of SoT occur more strongly at the shallow layer during summer comparatively other seasons. The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T and precipitation of summer shows that the large interannual variations of SoT in summer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ong interannual variations of precipitation of same season. According to the depth the range of SoT is larger in winter and summer and smaller in spring and autumn. Generally, air temperature and SoTs are increasing due to global warming. However, the increasing trend varies and depends on the location and depth of the study area. Most of investigation stations are revealed a strong increasing trend, particularly, at the shallow layer during summer season.

      • 고해상도 격자형 상대습도 자료 산출을 위한 객관분석 간 비교 및 지리적 특성에 따른 장기변화 경향 분석

        차소영,서명석,류승오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상대습도는 대기의 수증기의 양을 설명하는 변수 중 하나로 기온에 영향을 받는다. 상대습도는 시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구름, 안개, 스모그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침은 물론, 증발산을 조절함으로써 수문학 과정과 지표 에너지 수지 과정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강수의 발달을 포함한 수권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대습도의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상대습도는 지구온난화와 도시화의 영향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줌에도 불구하고 기온과 강수량 같은 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2015 2019)동안의 기상청의 ASOS, AWS 지상관측소에서 관측한 일평균 상대습도 자료에 가장 보편적인 객관분석 기법인 IDW[Inverse Distance Weighted]와 MK[Modified Korean]-PRISM[Parameter-elevation Regression on Independent Slopes Model] 기법을 적용하여 1km 고해상도 격자형 자료를 생산하였다. 이렇게 생산된 고해상도 자료를 이용하여 연평균⦁계절 평균, 경년 변동성 및 변동경향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두 방법으로 산출된 자료의 검정은 Jackknife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IDW의 객관분석 기법이 MK-PRISM보다 산출 수준이 높았다. 이를 통해 상대습도의 경우 고도 등 지리적 환경을 적게 받음을 확인했다. 5년 연평균 상대습도의 경우 65 75% 사이의 분포를 보이며 서고동저의 양상을 보이는 반면 경년 변동성(변동계수)은 반대로 동고서저를 보이고 있다. 계절 평균의 경우 몬순의 영향으로 여름, 가을, 봄, 겨울 순으로 높게 나타나지만 경년변동은 겨울, 봄, 가을, 여름으로 역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경년변동성의 경우 연평균의 공간 분포와 정반대의 공간분포를 보였다(평균: 서고동저, 경년변동: 동고서저). 특히 봄철의 경우, 평균과 경년 변동성의 동서 방향에서의 지역적인 편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상대습도의 기후학적 특성변화와 그 원인 분석을 위한 분석도 진행하였다. 30년간 연속적인 관측을 수행하고 있는 67개의 지점을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와 도시화가 상대습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GIS정보[해양도]와 GK2A의 지면 피복 자료를 이용했다. 해안-도시, 경작지, 기타, 내륙-도시, 경작지, 기타로 6개로 분류한 후 Mann-Kendall 검정 통계량과 유의수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기온과 노점온도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상대습도는 해양도 및 지면 피복에 따라 다양한 변화경향을 보였다. 지난 30년간 기온은 전반적으로 상승했지만 노점 온도는 해안과 내륙의 변화 경향에 큰 차이가 있었다. 특히 도시-내륙에서의 감소 경향이 두드러지며 증가를 보인 계절에도 다른 지면 피복에 비해 가장 적은 증가 경향을 보였다. 상대 습도의 변화 경향은 노점 온도의 변화 경향과 상당 부분 일치하였는데, 상대습도의 감소 경향은 도시화로 인한 지연 피복의 감소가 일으킨 현상임을 제시하였다.

      • dexamethasone이 미각혐오 학습의 상승 효과에 미치는 영향

        차소영 한국심리학회 1998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3 No.1

        미각 혐오 학습에서는 복합 조건 자극이 무조건 자극인 앓이와 짝지워 제시될 때 현저 단서는 비현저 단서의 조건화를 차폐(overshadowing)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승시키는데, 그 기제를 본 연구에서는 dexamethasone을 사용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실험 1에서, dexamethasone을 주사한 후 미각 혐오조건화를 시킨 결과, 혐오가 통제군에 비해 약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볼때, dexamethasone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공포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 2에서는, 먼저 혐오조건화를 시켰다. 다음 dexamethasone을 주사하고 혐오의 정도를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는 통제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dexamethasone를 주사하지 않고 혐오를 재검사하였을 때에는 통제군에 비해 혐오가 강하게 나타났다. 즉 dexamethasone에 의한 혐오 감소 효과가 지속적이지 않았다. 그런데 만약 어떤 처치가 학습의 연합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면 그 처치 효과가 비교적 영속적이어야 될 터인데, dexamethasone의 주사 효과는 그렇지 못하다. 따라서 이 약물은 연합 과정과는 무관한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 3에서는 dexamethasone의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미각 혐오 학습에서 나타나는 상승 효과의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실험군은 사카린과 아몬드 향을, 통제군은 아몬드 향을 조건자극으로 하여 혐오 조건화를 시켰다. 다음 아몬드 향에 대한 혐오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혐오가 강력하였다. 즉 상승효과가 확인되었다. 그 후 dexamethasone을 주사하니 집단간 혐오의 차이가 없었다. 즉 상승 효과가 사라졌다. 이러한 결과들에 의해 판단해 볼 때, 상승 효과의 원인은 자극들 사이의 연합때문이 아니라, 아마도 혐오 장면이 일으키는 공포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When compound CS is paired with sickness which is US, salient CS potentiates rather than overshadows nonsalient CS in taste aversion learn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by means of dexamethsone, the cause of the potentiation phenomena. In experiment 1, by administering dexamethasone to rats before aversive conditioning, aversion to saccharin was weaken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The result suggests that dexamethasone reduces fear under the stress situation. In experinemt 2, weakened aversion to saccharin was reversed when dexamethasone was not administered. This means that the effect of dexamethasone is transient. It is supposed that if a treatment influences associative process of learning, the effect of the treatment should be relatively permanent. And the effect of dexamethasone is not permane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dexamethasone is irrelevant to associative process. In experiment 3, experimental group was aversively conditioned with saccharin and almond, and control group was with almond alone. Then, dexamethasone was administered to both group. The outcome was that general aversion reduction resulted in, and potentiation effect disappeared, too. Thu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potentiation effet results from the difference of associative strength between groups. Rather, it is more related with fear.

      • KCI등재

        한반도에서 상대습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및 군집화

        차소영,서명석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22 기후연구 Vol.17 No.3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elative humidity (RH) based on the past 110 years (1911-2020) weather station data in Korea.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average and the trend of RH have changed over the research period. Overall, the RH for the recent 30 years (1990.12- 2020.11) showed decreasing trends in winter and spring and increasing trends in summer and autumn. The decreasing trends in winter and spring were mainly due to a decrease in the dew point temperature (Td) and a rapid increase in temperatur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ing trends in summer and autumn were mostly related to an increase in Td. Our cluster analysis using K-means clustering classified Korea into 6 clusters. The western coastal region has the highest RH and the smallest temporal variation, with an increasing trend, whereas large cities and the eastern coastal region have the lowest RH and a large temporal variation with a decreasing trend. We also observed that each cluster has its own seasonal variations such as the magnitude of seasonal variation and the time when the minimum RH occurs.

      • 미각혐오 학습의 상승 효과에 대한 조건자극 간 연합의 영향

        차소영 한국심리학회 1990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2 No.1

        미각 혐오학습 절차에서의 냄새 CS에 대한 혐오 냄새 CS 단독으로 제시하는 것보다 맛 CS와 동시에 제시하는 것이 훨씬 강력하다. 이런 상승 효과의 원인은 조건자극간 연합 때문이라는 주장이 상당히 타당성이 있다. 그런데 이런 설명이 옳다면, 조건자극간 연합의 정도와 상승 효과의 정도는 서로 관련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먼저 실험 1에서는 맛자극을 공통으로 한 세쌍의 조건자극(맛-촉각, 맛-소리, 맛-냄새)을 LiCl 주사에 의해 앓이와 짝지우고, 다음에 각 집단에서 상승 효과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보면 맛-냄새 자극쌍에서는 상승 효과가, 맛-촉각에서는 차폐가, 맛-소리에서는 상승과 차폐 어느 것도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의 결과에 근거해서 그 상승 효과의 정도에 따라 조건자극간 연합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검증해 보았다. 복합자극 내 연합의 정도를 알기 위한 절차로서, 먼저 세쌍의 조건자극에 대해 조건화를 시키고 다음날 세 집단 모두에게 맛 자극에 대해서만 추가의 조건화를 시킨후 마지막으로 모든 집단에게 이전에 맛자극과 같이 짝지워졌던 각각의 자극을 제시하여 혐오의 정도를 비교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촉각 자극에 대해서는 혐오가 약하게, 소리 및 냄새 자극에 대해서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소리 자극과 냄새 자극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1과 2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맛-촉각, 맛-냄새 자극쌍에서는 분명히 조건자극간 연합의 정도가 상승의 정도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고 있다. In taste aversion learning paradigm, aversive conditioning of odor CS is stronger when it is presented with taste CS than presented alone. This has been explained to be due to be within-compound association, i.e. association between CSs. If it is true, the strength of association between CSs and the degree of potentiation will be related somehow. Present experiment is aimed to test this relationship. In experiment 1, three pairs of CSs in which taste stimulus was common(taste-tactile, taste-sound, taste-odor) were paired with sickness by injecting LiCl. Thereafter it was examined whether the degree of potentiation of each group was different. Experiment 2 was designed to test that the degree of potentiation in Experiment 1 was in accord with that of within-compound association. Its procedures were as follows. Three pairs of CSs were paired with sickness by injecting LiCl as in Experiment 1. On the next day, taste CS was further paired with sickness in each group. On the fourth day all subjects were tested whether the degree of aversion to tactile, sound, and odor stimulus was differ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hypothesis is supported at least in taste-tactile, taste-odor group.

      • KCI등재후보

        Molecular Cloning of the Myosin Light Chain-2 cDNA of Gryllotalpa orientalis

        차소영,황재삼,김익수 한국잠사학회 2004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Vol.9 No.1

        We describe here the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cDNA encoding a putative myosin light chain-2 (MLC- 2) from the mole cricket, Gryllotalpa orientalis. The G. orientalis MLC-2 cDNA sequences comprised of 615 bp with 205 amino acid residues with a calculated molecular weight of approximately 23 kDa. The deduced protein sequence of G. orientalis MLC-2 cDNA showed 64% and 54% identity to Drosophila melanogaster MLC-2 and D. yakuba MLC-2, respectively. Northern blot analysis confirmed the musclespecific expression of G. orientalis MLC-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