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1년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상 데이터 보호와 부정사용행위의 규제 - 2021. 12. 7. 신설된 (카)목을 중심으로 -

        차상육 한국정보법학회 2022 정보법학 Vol.26 No.2

        The revised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protects data by newly establishing (Ka)mok as one of the types of unfair competition listed in Article 2, Subparagraph 1 to regulate the unfair(or unlawful) use of data with prescribed requirements among the data under the ‘Framework Act on the Data Industry’(as an acronym). This legislation method of behavior regulation is not a method of granting exclusive rights such as data ownership to big data maker, so it can prevent concerns in the data trading community that it can cause a chilling effect because it can be too big a barrier to the wide distribution of data. It can be said that the data protection plan under the revised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was newly established in (Ka)mok by accepting most of the legislation of the data protection plan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of Japan in 2018. There is a difference in detail between the two. Under the revised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he data protection plan of (Ka)mok is not an exclusive monopoly grant method, but a passive protection method of behavioral regulation, so it can be evaluated as a more flexible approach to the use activation method required by the data trading community. In the future, the tasks of the new provisions(’Ka’ mok) on the regulation of unfair(or unlawful) use of data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will be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supplementary general clause an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general tort laws(under Article 750 of the Civil Act).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에서는 제2조 제1호에 열거된 부정경쟁행위 중 하나의 유형으로서 (카)목을 신설하여 약칭 ‘데이터산업기본법’상의 데이터 중 소정요건을 갖춘 데이터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를 규제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를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행위규제의 입법방식은 빅데이터 작성자에게 데이터 소유권(data ownership) 과 같은 배타적 독점권을 부여하는 방식이 아니어서, 데이터의 폭넓은 유통에 너무큰 장애가 될 수 있어 위축효과(chilling effect)를 유발할 수 있다는 데이터 거래계의우려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평가된다.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상 데이터보호방안은 일본의 2018년 부정경쟁방지법상 행위규제 방식에 의한 데이터보호방안의 입법 내용을 대부분 수용하여 새롭게 (카)목에서신설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양자는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기는 하다. 개정 부정경쟁방지법상 (카)목의 데이터보호방안은 배타적 독점권 부여방식이 아니라 행위규제방식의 소극적 보호방식인 점에서 데이터 거래계에서 요구하는 이용활성화 방식에 보다 유연하게 접근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향후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카)목의 데이터 보호 신설조항의 과제는 (카)목과 일반적 보충조항인 (파)목(타인성과 부정이용행위)과의 관계 설정 문제 및 (카)목과 일반 불법행위 법리(민법 제750조 이하)와의 관계 설정 문제 그리고 (파)목(타인성과 부정이용행위)과 일반불법행위 법리(민법 제750조 이하)와의 관계 재정립 문제라할 것이다.

      • KCI등재

        미국특허침해소송에서 손해배상액 산정에 관한 최근 동향

        차상육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5 IT와 법 연구 Vol.0 No.10

        This article is intended to highlight and review some key patent damages issues and some recent patent law decisions that grappled with them. United States patent law(35 USC §284) entitles patent patentees to an adequate compensation for losses resulting from patent infringement. The Court of Appeals for the Federal Circuit(CAFC) measure a patentee's loss as lost profits attributable to the infringement or as a reasonable royalty during the infringement period. Although Congress has statutorily provided for discretionary enhanced damages, a judicially created threshold requires courts to find willful infringement before awarding enhanced damages. Since 1983 Underwater Devices decision, courts have interpreted willful patent infringement as the breach of a "duty of due care" that the infringer owes to the patentee, thus equating willfulness with negligence. In its August 2007 Seagate decision, CAFC raised the standard for willful patent infringement from negligence to "objective recklessness." The new standard makes it harder to obtain enhanced damages from a patent infringer. In a decision eagerly anticipated by the patent community, CAFC in Lucent v. Gateway vacated the jury award of $358 million and closely scrutinized the district court's application of the hypothetical negotiations approach used to determine reasonable royalties. The Lucent v. Gateway court carefully scrutinized the evidentiary value of past licensing agreements used to estimate royalties under Georgia-Pacific and found the evidence lacking. This approach deviated from historic practice and represented the newest effort by the court to prevent excessively large jury awards. The Federal Circuit's rulings in Lucent and post-Lucent cases have improved the patent damages system and should help prevent excessively large jury awards in the future. Lucent v. Gateway represents a significant shift in the Federal Circuit's patent damages jurisprudence. In a series of opinions spanning from Lucent Technologies Inc. v. Gateway Inc. to Uniloc USA Inc. v.Microsoft Corp., CAFC has emphasized the need for greater rigor in presenting, challenging, and reviewing a claim for patent infringement damages. In the months following Uniloc v. Microsoft, a number of district courts have applied a strict articulation of the entire market value rule. And Uniloc v. Microsoft left no doubt that the ‘‘25 percent rule of thumb’’ as a tool for determining a reasonable royalty is dead. On Jan. 4, the U.S. Court of Appeals for the Federal Circuit held as a matter of Federal Circuit law that the 25 percent rule of thumb is a fundamentally flawed tool for determining a baseline royalty rate in a hypothetical negotiation. Since that rule was the basis of the damages calculations heard in the instant case, the court said that the district court erred by not excluding the testimony.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ors, we might reach such a conclusion that these recent trends in damages calculating for U.S. patent infringement lawsuits result from some reflective considerations about US CAFC’s pro-patent policy and the highly excessive damages.

      • KCI등재

        독일판례상 응용미술의 보호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차상육 한국저작권위원회 2021 계간 저작권 Vol.34 No.1

        In Germany, the copyright protection threshold for works of applied art was somewhat high due to the so-called “Stufentheorie” established in the case of protecting applied art. German judicial precedents held that the minimum amount of creativity alone would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for originality could not be met. In other words, the German “Stufentheorie” is a standard for judging the works of applied art and is a method of thinking that requires a high level of creativity. The objective of this “Stufentheorie” approach was to maintain the meaningful coverage of design legislation to avoid the full overlap of copyright law and design law on design protection. However, in a November 2013 ruling on the ‘Geburgstagszug’ case, the Supreme Court of Germany explicitly abandoned the conventional “Stufentheorie”. As a representative case of taking a traditional theory, the so-called ‘Silverdistel’ case took protective standards that required relatively high creativity compared to other works. The German “Stufentheorie” was only valid in terms of legislative history and protection contents, based on the continuous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Germany's Old Design Act (1876 legislation, abolished 2004) and the Copyright Act.. In short, the Supreme Court of Germany has explicitly declared the abandonment of the “Stufentheorie”. In other words, a “Stufentheorie” approach is now difficult to find, given the protective attitude of German applied art related to Post Geburtstagszug after Germany's ruling on the ‘birthday train I’ in 2013. In this regard, the high standard of creativity now has only historical meaning. 종래 독일에서는 판례상 응용미술 보호에 관하여 정립된 이른바 단계이론(“Stufentheorie”)으로 인하여 응용미술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보호 문턱이 다소 높았다. 독일 판례는 최소한의 창작성을 발휘하는 것만으로는 창작성 요건을 충족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었다. 즉 독일의 단계이론(Stufentheorie)은 응용미술의 저작물성 판단기준으로서 고도의 창작성 기준을 요구하는 사고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 단계이론적 접근법의 목적은 디자인 보호에 대한 저작권법과 디자인법의 완전 중복을 피하기 위해 디자인 법제의 의미 있는 적용 범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2013년 11월 ‘생일열차(Geburtstagszug)’ 사건 판결에서 독일 연방대법원은 종래의 단계이론을 명시적으로 포기하였다. 종래 단계이론을 취한 대표적 판례로서 이른바 ‘엉겅퀴풀(Silberdistel)’ 사건에서는 응용미술저작물에 대하여 다른 저작물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고도한 창작성을 요구하는 보호기준을 취하고 있었다. 독일의 단계이론(Stufentheorie)은 입법연혁뿐만 아니라 보호내용에 관한 실질적 측면에서도 독일의 구 디자인법(1876년 입법, 2004년 폐지)과 저작권법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밀접한 체계적 관계를 전제로 하여야 비로소 타당한 해석론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종래 응용미술의 저작권보호문제에 대하여 전형적인 판례(대한방직사건)에 따라서 ‘독립적인 예술적 특징과 가치’라는 보호기준을 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우리 법원의 태도는 독일 판례상 단계이론의 형성과 전개에서 보여준 체계적 사정과는 거의 관계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독일 연방대법원과 일본의 지적재산고등재판소가 종래의 단계이론적 접근방법을 명시적으로 포기한 점에 비추어 보면, 다른 저작물유형에는 타당하지 않는 고도의 창작성 기준을 가지고 응용미술의 저작물성을 판단한다는 해석론은 이제 더 이상 그 이론적 존재의의나 타당성을 잃은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요컨대 독일연방대법원은 최근 단계이론의 포기를 실질적으로 선언하였다. 즉 2013년 독일의 ‘생일열차Ⅰ(Geburtstagszug)’ 사건 판결이후, Post Geburtstagszug 관련 독일 판례상 응용미술의 보호 태도를 보더라도 단계이론적 접근방법은 이제 찾아보기 어렵다. 이런 점에서 2000년 개정 저작권법 이전의 구 저작권법 판례인 대한방직사건 판결에 따른 고도의 창작성 기준에 기초한 응용미술의 저작물성 판단방법은 이제 역사적 유물로서 연혁적 의미만이 남아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유럽연합(EU) 디자인법상 디자인권의 효력 제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인용 또는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복제행위’를 중심으로 -

        차상육 한국지식재산학회 2023 産業財産權 Vol.- No.75

        The inclusion of Image Design Protection in the 2021 revised Design Protection Act and Graphic Symbols in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Design Protection Act of 2023 does not require materiality, so it seems to be very similar to the design definition regulations of the EU Community Design System. In this way, legislative attempts to expand the scope of protection for designs that have left the article(goods) to meet the emergence of new forms of design and its need for protection ar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However, the expansion of design protection areas due to the enlargement or the addition of exceptions of the requirement on an article's properties results in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free-use targets themsel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e adjustment of conflicting interests such as reducing the free use area of design, especially considering the balance of legal interests between rights holders and users. According to comparative legal considerations, when comparing the EU Design Act with the Korean Design Protection Act on the point of view the legal limitations of design rights, it is distinguished from our design protection law in that the European Design Act includes the article of "citation or education copying" {Article 20(1)(c)} of the CDR. Looking at the European Community design system, it is deviating from the requirements for similarity of an article's properties by taking an abstract structure of design protection. In other words, the European Community Design System uses the concept of a product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an article, and stipulates the reasons for Limitation of the rights conferred by a Community design{CDR Article 20(1)(c)} in consideration of coordination with copyright law. In view of this, I think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acts of reproduction for the purpose of making citations or of teaching" (CDR Article 20 (1)(c)) as a legal reason for limitation of design rights as a legislative bill under the Korean Design Protection Act in the future.

      • KCI등재

        인공지능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셋의 지적재산법상 보호 -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

        차상육 대한변호사협회 2020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94

        데이터셋의 지적재산법상 보호와 그 데이터셋의 이용활성화를 위해서는 주로 권리부여방식의 저작권법의 개정방안과 행위규제방식의 부정경쟁방지법의 개정방안을 각각 검토할 수 있다고 보인다. 데이터셋을 영업비밀로서 보호하는 방안은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시대에서는 데이터셋의 공개 및 활용을 장려한다는 견지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면이 지적될 수 있다. 또 데이터셋을 특허권에 의한 보호하거나 혹은 그와 흡사한 배타적 독점권을 부여하는 보호방안은 권리자와 이용자의 법익균형의 면에서 부적당한 면이 생길 우려가 없지 않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시대에서는 데이터셋에 관한 권리자의 이익 보호뿐만 아니라 데이터셋의 이용 및 활용에 따른 이용자의 이익도 함께 보호하는 균형 있는 입법이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이 글은 데이터셋 보호 관련하여 현행 지적재산법을 분석하고 나아가 주요국의 데이터셋 관련 법률의 비교법적 분석을 통해, 특히 데이터셋의 저작권법상 보호와 한계에 대한 해석론과 입법론을 비롯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order to protect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datasets and to promote the use of the datasets, it is possible to examine both the amendments of the copyright law of the method on granting rights and the amendments of the unfair competition law of the method on the regulation of acts. Protecting datasets as trade secrets may be undesirable in terms of encouraging the disclosure and use of dataset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big data. In addition, protection measures that protect datasets by patent rights or grant exclusive monopoly rights are not adequate in terms of the balance of legal interests between the owner and the user. In the AI ​​and big data era, it is required a balanced legislation that protects the interests of the owners of datasets as well as the interests of the user of the datasets. In summary,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meaningful theory of interpretation and legislation in copyright law and unfair competition law through analysis of our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law in relation to dataset protection and further comparative analysis of laws on datasets in major countries.

      • KCI등재

        패션디자인 보호를 둘러싼 분쟁양상과 법적 쟁점 - 저작권법ㆍ디자인보호법 및 부정경쟁방지법상 판례를 중심으로 -

        차상육 한국지식재산학회 2010 産業財産權 Vol.- No.32

        This paper suggests that Copyright Approach appears to be better alternative for protection of fashion design when compared to design law or unfair competition law. However, for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implementing copyright for fashion, the Copyright Protection of fashion design is necessary to meet realistic needs and provide a realistic duration. In sum, the Copyright Act provide substantive protection to fashion design. In sum, a more substantive, stronger protection of fashion design can be found through the Copyright Act as works of applied art. This paper will be described with the following;In section Ⅱ, this paper will discuss whether or not fashion design currently is or could be protected under the copyright law, highlighting existing doctrines on useful articles and separability and comparing the US and Japanese legal approach to copyright protection for fashion design. The current copyright law will be maintain settled copyright principles concerning physical or conceptual separability and the useful article doctrine. However,highlighting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provisions of works of applied art under the current copyright law, the court must not be continuing to uphold the traditional, restrictive interpretations of the Copyright Act and its provisions of works of applied art.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adopt a limited duration applied to the appropriate protection of fashion designs in addressing the concerns of the overprotection suchlike long-term duration (during the survival of the author and until 50 years after death). In section Ⅲ, this paper will discuss whether or not fashion design currently is or could be protected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law.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law, a designer must show that the sale of a copy is likely to confuse the public, because the public has acquired a secondary meaning for mark. Fashion is notoriously ephemeral and transient. In fact, by the transient and seasonal nature of the fashion industry, the majority of designers will be defeated. Thus, the Dead Copy Prohibition provision was newly established and introduced as an act of unfair competition as Article 2,subparagraph (1), item (Ja) of the amended Act of Unfair Competition Law of 2004. The protection period is very short, only for 3 years as the minimun investment pay-back period. In section Ⅳ, this paper will discuss whether or not fashion design currently is or could be protected under the design law. Under the current Design Protection Act, protection is granted to a new, original and ornamental design for an article of manufacture. However, fashion designs have frequently held to have failed these requirements in the court decisions. Even if they met these requirements, the design right is difficult and expensive to obtain, and entail a lenthy exa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commentator, design law would appear to be a poor fit fashion design. Thus,A non-examination design registration system(Article 2, subparagraph (v))was introduced under the former Design Act(enforced on March 1, 1998). The design registration procedure of Korea is characterized by being referred to as the double track. In section Ⅴ, this paper will summarize conclusions.

      • KCI등재

        표준필수특허 관련 해외 판례와 대비한 우리 ‘삼성 대 애플’사건 판결의 재음미

        차상육 한국지식재산학회 2020 産業財産權 Vol.- No.63

        표준필수특허에 있어서 FRAND 선언은 특허권자의 기대 이익과 표준이용자 내지 표준실시자가 보호받고자 하는 신뢰이익이 교차하 고 있으므로, 입법과 정책 그리고 해석론 모두에서 양자의 이익의 균 형이 도모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삼성 대 애플」 사건의 하급심 의 판결은 FRAND 선언의 이러한 이념에 반하는 특허권자의 권리행 사는 권리남용으로 판단될 수 있다는 취지를 선언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위 판결은 표준필수특허 관련 실무계의 당사자들에게 예견가 능성을 높인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향후 선례 판결로서 확립할 가 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우리는 표준필수특허(SEP)에 기한 권리행사(금지청구권) 제한의 법 적근거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와 해외 판례의 접근법을 평가할 때 다 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즉, ①계약법적 접근방법과 ②경쟁법적 접근방법, ③민법의 일반원리(신의칙, 권리남용의 법리)적 접근방법 및 ④ 이른바 ‘종합적 접근법’ 즉 위 ①내지 ③에 더하여 특허법의 목 적과 이념 등 까지 고려하는 접근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 하 급심은 민법의 일반원리(신의칙, 권리남용의 법리)적 접근방법을 주 된 원리로서 금지청구권 제한의 법적근거를 원칙적으로 검토하고, 그 뒤 경쟁법적 접근방법으로 보완하고 있는 것처럼 설시하고 있다 고 평가된다. 마지막으로 특허법의 목적과 이념 등 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표준필수특허(SEP)의 협상과정에 비추어, (ⅰ) 표준특허권자가 willing licensor나 unwilling licensor로 평가될 수 있는 판단요소가 무엇 인지, 또 (ⅱ) 표준실시자가 willing licensee나 unwilling licensee로 평가 될 수 있는 판단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각각 분석하는 것은 표준 필수특허에 관한 협상 당사자에게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왜냐하면 법원이 권리남용 내지 특허권 남용을 판단하는 기준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표준필수특허(SEP)의 라이선스 협상에는 합리적이고 비차별적인 실시료에 관하여 확립된 판단기준이 없기 때문에, 적절한 FRAND 조 건의 실시료에 관하여 당사자 사이의 주장이 종종 대립하고 있다. FRAND 라이선스 조건은 실시료뿐 아니라 크로스라이선스 등의 금 전적이지 않은 조건에 관해서도 포함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다만, 실시료의 산정방법은 개개의 사안마다 당사자가 유연하게 정하는 것 인 점도 고려해야 한다. 특허권자에 대하여 표준에 참가하는 인센티브를 주면서 보다 다수 의 사업자가 해당 표준을 실시하는 것을 촉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 하다. 특허권자와 표준실시자와의 이익의 균형을 어떻게 확보하는 것인가가 문제가 과거에도 향후에도 과제로 등장할 수밖에 없다. 이 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표준화기구(SSO)의 운용상 투명성을 높이도록 관련 당사자가 힘을 모을 필요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FRAND 선언된 표준필수특허의 특허권자가 표준실시 자에 대하여 특허권침해에 기한 금지청구나 손해배상청구 등 권리행 사를 구하는 세계적 분쟁유형과 경향을 고찰하고, 또 어떠한 법적 근 거에 기하여 특허권자의 권리행사를 제한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그 후, 이러한 비교법적 고찰과 대비하면서 우리 하급심 법원이 2012년 선고한 ‘삼성 대 애플 사건’의 판시내용을 재음미하고, 그 시사점 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In the Standard Essential Patents(SEPs), the FRAND declaration must balance the interests of the patent holder and the trust interests to be protected by the standard user or the standard practitioner. The ruling of the “Samsung vs. Apple” case declares that the exercise of the rights of patent holders against this ideology of the FRAND declaration can be judged as abuse of rights.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the above ruling has increased the foreseeability to the parties in the field of SEPs, so it is highly likely to be established as a precedent ruling in the future. With regard to the legal basis of the restriction of exercise of rights (Right to Prohibit) based on SEPs, we can classify as follows when assessing the approach of Korean and foreign precedents. That is, ① the contract law approach and ② the competitive law approach, ③ the general principle of the civil law (Principle Of Good Faith and Principle of Abuse of Rights) and ④ the so-called 'comprehensive approach' that considers the purpose and ideology of the patent law in addition to the above ① to ③. It is evaluated that the lower court in Korea is considering the general principle of the civil law (Principle Of Good Faith and Principle of Abuse of Rights) as the main principle, reviewing the legal basis of restrictions on the right to prohibit, and then supplementing it with the competitive law approach. Finally,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purpose and ideology of patent law are being considered. In addition, in light of the negotiation process of the SEPs,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negotiating party about the SEPs to analyze what the standard patent holder can judge as a willing licensor or an unwilling licensor. Also, it is significant for them to analyze what the standard practitioner can judge as a willing license or an unwilling licensee. These are because it allows the court to know what the criteria for judging abuse of rights or abuse of patent rights are.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types and trends of global disputes in which patent holders of FRAND declared standard essential patents seek the exercise of rights such as right to prohibit or claim for damages due to infringement of patent rights against standard practitioners. In addition, we grasped on what legal basis the patent holder's exercise of rights is restricted. And then, in preparation for such comparative legal considerations, we attempted to reconsider the judgments of the “Samsung vs. Apple case” sentenced in 2012 by the court of the lower court and derive the implications.

      • KCI등재

        글자체 디자인(서체도안)의 저작권법상 보호 -이른바 ‘산돌02’ 서체프로그램 사건을 중심으로-

        차상육 한국저작권위원회 2019 계간 저작권 Vol.32 No.3

        Since the Copyright Act revised in 2000, the protection of applied art has no reason to treat it unlike other works of arts, including pure art. However, in the case of applied art, it is only required to satisfy the separability requir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rules. This rules are the same for copyright protection of typeface designs(font design), a kind of applied art. It is judged that the passive attitudes of conventional precedents regarding the protection of the copyright law on the typeface design are based on the theory of public domain related with letters. The object judgments also seem to maintain the attitude of the conventional case. The judgments that negate the protection of the copyright law of the typeface design itself, which is explained in the object judgment, are questionable in their validity or consistency. The attitude of the object Judgments is even concerned with the legislator’s decision regarding the protection of copyright law on applied art in the 2000 Copyright Act. In short, an interpretation is reasonable to accept the copyright protection for typeface designs, if it meets the originality requirements and separability requirements under the current copyright act. The approach of copyright protection of typeface designs(font design) is separate from the copyright law protection as a computer program of a font program. 2000년 개정저작권법 이래 우리 저작권법에서는 응용미술의 보호는 순수미술을 비롯하여 다른 종류의 저작물과 달리 취급할 이유가 없어졌다. 다만 응용미술의 경우 독자성 요건을 정의규성에 따라서 충족하여야 함이 요구될 뿐이고, 이러한 점은 응용미술의 일종인 글자체 디자인의 저작권법상 보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글자체 디자인에 대해 저작권법상 보호에 대하여 종래 판례들의 소극적인 태도는 그 주된 근거를 문자만인공유론(文字萬人公有論)에 기초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대상판결도 이러한 종래 판례의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인다. 대상판결에서 설시되고 있는 글자체 디자인(서체도안) 자체의 저작권법상 보호를 부정하는 논거나 판시내용은 그 타당성 내지 정합성에 있어 의문이다. 대상판결의 태도는 2000년 개정저작권법에서의 응용미술에 대한 저작권법상 보호와 관련한 입법자의 결단과 명백히 배치될 우려마저 있다. 타이프페이스 디자인, 즉 서체도안도 법적 성격이 응용미술의 일종이라면 2000년 개정저작권법에 따라 ① 독자성 요건과 ② 창작성 요건아래 저작물성 여부를 판단해야 함이 타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연히 서체도안이 응용미술이므로 현행 저작권법상 보호되지 않는다고 당연 해석하는 태도를 취하거나 대한방직사건의 판결 취지대로 소극적으로 보호하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은 양자의 태도 모두 입법자의 의사나 결단에 일치하지 않는 법해석을 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본다. 요컨대 글자체(typeface) 디자인에 대해서도 현행법상의 창작성 요건과 독자성 요건 등을 충족하면 저작권보호를 부여하는 것이 해석론상 마땅하다. 글자체 디자인의 저작권법상 보호문제는 폰트 프로그램의 컴퓨터프로그램으로서 저작권법상 보호하는 방안과 별개의 것이다. 글자체 디자인에 저작권보호를 부여하더라도 인간사회의 정보전달의 수단으로서의 자유로운 이용에 이바지해야 할 문자의 본질을 해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정보전달에 그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응용미술저작물성을 부인할 이유가 없다. 오늘날 디지털 폰트 디자인의 다양성과 수적 증가 및 미적특성이나 장식적 특징 내지 디자인적 인상 등에 기초하여 창작된 개성적 표현에 비추어 보면, 더 이상 문자만인공유론(文字萬人公有論)의 이론적 기초는 설득력을 점점 잃고 있다고 보인다.

      • KCI등재

        미국과 한국의 패션디자인 보호의 비교법적 검토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차상육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법학논고 Vol.0 No.72

        In this article, a comparative legal review was attempted, focusing on the protection method of fashion design and the attitude of related precedents under the U.S. Copyright Act, and the protection method and precedent attitude of fashion design under the Korean Copyright Act was criticized. In light of the U.S. Supreme Court's ruling on Star Athletica, L.L.C. v. Varsity Brands, Inc. (2017), I think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our case should be strongly reflected in the sense that we should take a more consistent attitude toward the identity requirements and meaning of applied art,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protection of the applied art, which includes design under the Korean copyright law. In particular, the U.S. Supreme Court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extreme confrontation of the U.S. lower court's ruling on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suggesting a unified standard at the Supreme Court level 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Korea, it is encouraging that the lower court is actively reviewing whether applied art, which was created after the revision of the Copyright Act in 2000, is equipped with the "Requirements for originality" along with the "The separate-identification and independent-existence" requirement, and then judging the copyright of applied art. However, it is somewhat regrettable that the court's proposal of specific and consistent judgment standards is considered to be difficult to find, compared to the various standards of the U.S. case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ideological separation. In addition, it would be regrettable to see that under the old copyright law, 'independent artistic characteristics or values' test are employed, even though the issue is subject to the 2000 revised copyright law. In conclusion, in light of the recent global trend of expanding design protection under copyright law, we also need to get some implications in terms of international harmony in the interpretation of our copyright law. In this regard, the case of reverse driving of recent precedents under the old law's ruling should be reviewed. 이 글에서는 미국 저작권법상 패션디자인의 보호방법과 관련 판례의 태도를 중심으로 비교법적 고찰을 시도하고, 이것과 대비하여 우리나라 저작권법상 패션디자인의 보호방안과 판례태도를 분석하면서 비판을 가하였다. 미국 연방대법원의 Star Athletica, L.L.C. v. Varsity Brands, Inc. 사건(2017) 판결에 비추어 우리 판례를 대비하여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저작권법상 디자인을 포함하는 의미의 응용미술의 보호방안과 관련하여 독자성 요건(분리가능성 요건)의 판단기준에 대해 우리 판례가 보다 일관성 있는 태도를 취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미국 연방대법원이 종래 분리가능성에 관한 미국 하급심 판례의 극심한 대립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면서 향후 분리가능성의 판단기준에 대하여 연방대법원 차원에서의 통일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법원의 태도에 시사하는 점은 적지 않다. 우리나라의 최근 하급심의 판례를 살펴보면, 2000년 개정저작권법이 적용되는 2000. 7. 1.이후에 창작된 응용미술에 대해 ‘독자성’ 요건과 함께 ‘창작성 요건’의 구비여부를 적극적으로 검토한 뒤 응용미술의 저작물성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일부 사례는 고무적이라 평가할 수 있다. 다만 관념적 분리가능성에 대하여 미국판례의 다양한 기준과 이를 극복하려는 최근 연방대법원의 통일적 판단기준이 제시된 점과 대비할 때, 우리 법원의 구체적이고 일관된 판단기준의 제시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여겨지는 점은 다소간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2000년 개정 저작권법이 적용되는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구 저작권법아래의 ‘독립적인 예술적 특성이나 가치’기준을 채용하는 경우도 볼 수 있어 유감스럽다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2000년 개정 저작권법 이전의 구 저작권법 판례(대한방직사건 판결)에 따르는 최근 판례 중 일부 역주행 사례는 마땅히 재검토 되어야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