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세 부과 또는 감면 결정이 일시 유예되는 경우의 부과권 제척기간 기산점에 관한 연구

        차규현(Gyu-Hyun Cha),천명철(Myeong-Cheol Cheon) 한국조세연구포럼 2017 조세연구 Vol.17 No.3

        이미 확정적으로 감면결정 된 세액을 추징하는 추징처분과 확정적 감면 없이 부과 또는 감면 결정이 일시 유예되는 경우의 부과처분은 몇 가지 점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인다. 이를테면, 양자는 납세의무 성립 시기, 부과권 제척기간 기산점, 법적 성질 등의 면에서 차이가 나는 본질적으로 다른 별개의 처분인 것이다. 그런데 세법상 전자에 대해서는 부과권 제척기간 기산점에 관하여 명시적 규정을 두고 있는 반면, 후자에 대해서는 명시적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다. 본 연구는, 양자는 법적 성질 등의 면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데 부과 또는 감면 결정이 일시 유예되는 경우의 부과권 제척기간 기산점에 대하여 추징처분에 적용되는 기산점 규정을 원용 내지 준용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가? 하는 의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Ⅱ.에서는 부과권 제척기간 기산점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지방세기본법시행령 제19조 각 항 및 각 호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해석론을 전개하고, 그 해석론에 터 잡아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Ⅲ.에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점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지방세 부과 또는 감면 결정이 일시 유예되는 경우가 존재하지 아니한다면 자칫 무익한 연구에 그칠 수 있기 때문에 부과 또는 감면 결정이 일시 유예되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 사례를 적시하였다. 둘째, 추징처분과 부과 또는 감면 결정이 일시 유예되는 경우의 부과처분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양자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탐색하였다. 셋째, 양자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넷째,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현행 제도에 대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Ⅳ.에서는 본 연구자가 어떠한 관점에서 이 글을 썼는지 설명하고, 그리고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The imposition of the tax already reduced and the imposition of, or one that has been temporarily suspended, demonstrate a certain number of marked differences. That is, they are essentially separate and distinct dispositions that vary in respect of the timing of constituting tax liability, the initial period of exclusion to the imposition, and the legal nature, among other. In the case of the former, however, the former is subjected to an explicit provision on the initial period of the exclusion, whereas the latter is not.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reasonable to apply mutatis mutandis the provisions of the initial base to the collection disposition as per the initial base of the exclusion of the exclusion for either the imposition or exemption beyond the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legal natures of the both, among others. The detail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Section II, the interpretation of the specific contents of each clause of Article 19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asic Local Tax Act stipulated with respect to the exclusion period of the imposition right was elaborated, and the problems of interpretation theory were derived. In Section III, we focused on the following four points. First, any lack of temporary suspension of the local tax imposition or reduction decision may translate into an unproductive research, so specific cases were directed towards temporary suspension. Second,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ase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imposition of collection or reduction against temporary suspension. Third, the concept of both is established. Fourth, the legislative improvement plan for the current system is suggested by combining the aforesaid arguments. In Section IV, the author explains in detail how this article has been written, and once again, summarized the legislative remedies for the problems.

      • KCI등재

        조세법상 사해행위취소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차규현 ( Gyu Hyun Cha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조세와 법 Vol.4 No.1

        우선, 국세기본법 제30조와 지방세기본법 제97조 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법상 채권자취소권과 달리 국세징수법 제30조와 지방세기본법 제97조는 그 “취소”만을 규정하고 있어 통설·판례가 취하고 있는 절충설과 일치되지 않는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고, 본 조항을 「취소 및 원상회복」이라고 개정함으로써 입법적 미비를 보완하고 민법과의 통일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세법 해석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조세채권자가 사해행위취소권을 행사하려면 최소한 독촉장 납부기한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독촉장 납부기한까지를 기다려 사해행위취소권을 행사하게 되면 제척기간이 만료할 경우 현행 세법상으로는 조세채권의 일실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어 문제인데, 이 경우 납세의무 확정일 이후부터 과세관청이 사해행위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국세징수법을 개정함이 타당하다. 셋째, 조세 사해행위취소소송은 조세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1년」이라는 제척기간의 제한을 받는데 이 기간은 날로 지능화 되어 가는 악의의 조세체납자를 조세채권자가 일일이 추적조사 하기에는 지극히 단기라는 점이 문제인데, 독일과 일본의 입법례가 채권자가 사해행위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을 비교적 장기간으로 규정함으로써 채권자의 권익을 두텁게 보호하고 있다는 점, 조세수입은 한 국가를 운영하는 근간이 되므로 민사채권에 비해 그 특수성을 인정하여야 한다는 점, 날로 지능화 되어가는 체납자들의 은닉재산을 찾아내고 추적조사 하기에 1년이라는 기간은 지극히 짧다고 볼 수밖에 없는 점 등을 감안하여 조세채권 확보를 위한 사해행위취소권의 제척기간을 최소한 2년으로 연장하는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원칙적으로 납세의무 성립시기 이후의 사해행위에 대하여 그 취소가 가능하나, 대법원은 일정 요건이 충족되면 납세의무 성립시기 전의 사해행위에 대하여도 사해행위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인정하고 있는데 세법상 명문규정이 없어 세법해석의 혼란을 초래하고 세무행정의 투명성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이를 세법상 명문으로 입법화하여 세법해석의 혼란을 방지하고 세무행정의 투명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지방세기본법 제97조와 같은법 시행령 제85조 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세기본법 제97조의 내용 중 「지방자치단체의 장」이라는 표현과 관련하여, 사해행위취소소송은 민사소송으로서 조세행정소송과는 달리 행정청에게는 당사자능력이 없고 행정청이 속하는 지방자치단체 등이 당사자 적격이 있는 것인데 위와 같은 세법규정상의 표현으로 말미암아 혼란이 초래되고 있어서 문제인데, 이를 「지방자치단체」로 개정하여 입법상 오류를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세기본법시행령 제85조에서는, 체납자는 사해행위취소소송의 상대방(피고)이 될 수 없음에도 「체납자」라는 표현을 쓰고 있어 통설·판례가 취하는 절충설과 배치되므로 문제인데, 이러한 시행령 제85조의 규정은 혼란만 초래하는 불필요한 조항이므로 이를 삭제하여 국세와의 통일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허위담보취소권”을 규정한 국세기본법 제35조제4항과 지방세기본법 제99조제4항 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위 법의 규정 내용 중 「그 재산의 매각금액으로」라는 표현은 과세관청이 납세자의 다른 재산에 대한 체납처분을 통하여 충분히 조세채권의 만족을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세관청에 허위담보취소권을 행사하게 함으로써 사법상 거래에 국가가 지나치게 간섭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도 있고 과세관청에 취소권 남용의 여지를 준 것이어서 문제이므로, 본 규정에 「다만, 다른 재산으로 국세를 징수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본 취소권은 행사할 없다」라는 단서조항을 신설하여 납세자의 권익과 사법상의 거래의 안전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To begin with,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in Article 30 of the basic law for national taxes and Article 97 of the basic law for local tax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like a creditor's right to revoke in the civil law, Article 30 of the national tax collection law and Article 97 of the basic law for local taxes provide only ‘revocation’, and therefore this paper points out the problem that it does not correspond to eclecticism which conventional wisdom and precedents hold by. Revising the article as 「revocation and restorative justice」 will be able to supplement legislative imperfection, secure unity with the civil law, and prevent confusion in interpretation in the tax law. Second, in order for a creditor of tax to exercise rights of revoking fraudulent actions, it should wait until the due date for payment of tax reminder. In this case, the problem is that if the statute of limitations is expired, missing tax claims eventually occurs under the current tax law, so it is reasonable to revise the national tax collection law so that tax authorities can exercise rights of revoking fraudulent actions from a fixed date of liability to pay taxes. Third, bringing a tax revocation suit for fraudulent acts is limited by the statute of limitations, that is, one year from the day when a creditor of tax gets to know the cause of revocation. The problem is that the term is extremely short for a creditor to conduct a follow-up survey one by one on malicious defaulters who are increasingly sophisticate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erm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of rights of revoking fraudulent actions at least to two years to secure tax claims when considering the followings: the fact that in Germany and Japan, legislative examples provide relatively longer term for a creditor to exercise rights of revoking fraudulent actions, strongly protecting a creditor's rights and interests, the fact that it is imperative to acknowledge the uniqueness of tax revenue compared with obligations in the civil law since tax revenue is the basis of operating a nation, and the fact that one year term is too short to trace and discover hidden assets of increasingly sophisticated defaulters. Fourth, in principle, while it is possible to revoke fraudulent actions taken after establishment of liability to pay taxes, the Supreme Court recognizes that rights of revoking fraudulent actions can be exercised even before establishment of liability to pay taxes if certain conditions are met. Since there is no substantive enactment in the tax law, which causes confusion in interpretation of the tax law and undermines transparency in the tax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it by law for preventing confusion in interpretation of the tax law and improving transparency in the tax administration. Nex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Article 85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the same law as Article 97 of the basic law for local tax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gards of the expression,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because a revocation suit for fraudulent acts is a civil litigation, the administrative agency lacks the admissibility of a party to legal proceedings but the local government which the administrative agency belongs to has the qualifications to deal with it. As a result, there is a confusion caused by the expression above in the provisions of the tax law, so it is necessary to revise it as 「the local government」 and compensate the defect. Second, Article 85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in the basic law of local taxes uses the expression 「defaulter」 despite the fact that defaulters cannot be the other party(the accused), which contradicts eclecticism that conventional wisdom and precedents hold by. Since this Article 85 is an unnecessary provision only bringing about confusion, it i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deleted to promote unity with the national law. Finall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Clause 4, Article 35 of the basic law for national taxes and Clause 4, Article 99 of the basic law for local taxes which provide “rights to revoke fictitious security” are summarized as follows. Among the provisions of the law above, the expression, 「with proceeds from sale of the property」 can be criticized for the reason that even though tax authorities could secure tax claims through disposition for failure in tax payment against taxpayers' other property, the state interferes excessively in judicial transactions. Another problem is that the expression gave room for abusing rights to revoke to tax authorities, and therefore there should be a proviso only, if national taxes can be collected with other property, these rights to revoke cannot be exercised newly attached so that it can promote taxpayers' rights and interests and security of judicial trans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