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learner motivation

        진홍근,김민정,Chin, HongKun,Kim, MinJung Korea Convergence Society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는 온라인 교육의 효과를 학습자들이 수업 관련 특정 이슈들에 대한 적극적 탐색과 공유의 측면으로 확대하여 살펴보고자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슈를 탐색하도록 유도하는 동기의 두 유형(개인적, 사회적)과 인게이지먼트, 이슈콘텐츠에 대한 태도, SNS구전의도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의 두 동기는 인게이지먼트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인게이지먼트가 증가할수록 이슈콘텐츠 태도와 SNS 구전의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스스로 학습을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인게이지먼트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인게이지먼트의 증가를 위해 수업내용뿐만 아니라 사회적, 개인적 동기를 활용해야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effect of online education into the aspect of active exploration and sharing of class-related issues by learners.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Two types of motivation (personal and social) to explore issues, engagement, attitude toward issue content, and eWOM model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of personal and social motivations that online education has on engagement on specific issues, and the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issue content and word of mouth intentions on SNS, considering engagement as a parameter. In this study, the role of engagement in inducing the next learning by oneself was confirmed, and it can be seen that social and personal motives for issues and class content should be utilized to increase engagement.

      • KCI등재

        COVID-19 이후 개인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차이에 따른 온라인 학습효과 연구

        진홍근,Chin, HongKun Korea Convergence Society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9

        본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행으로 급격한 온라인 수업으로의 전환이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동일주제 과목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형태에 따른 학습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동일 과목의 오프라인 수강생 105명과 온라인 수강생 244명을 집단 비교하였고 개인적 동기 수준과 사회적 동기 수준의 차이로 분류하여 통일관련 인게이먼트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Two-way ANOVA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적 동기와 수업유형 간에는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사회적 동기의 경우 수업 유형에 따라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온라인 교육이 교육 이슈에 대한 인게이지먼트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동기가 낮은 집단의 변화가 사회적 동기가 높은 집단의 변화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온라인 교육이 사회적 동기가 낮은 집단에 오히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교육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개인적 동기 보다는 사회적 동기를 자극함으로써 학습 결과인 학습자의 행동적 변화와 태도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s a result, the interaction between personal motivation and class type i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between social motivation and class type is significant and overall online class increases engagement with educational issues.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low social motivation showed greater change than the group with high social motivation, so online education seems to be more effective in the group with low social motivation. It means that by stimulating students' social motivation rather than personal motivation,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ducation can be enhanced, and it can lead to education outcomes - behavioral changes and attitudes of learners. In order to revitalize social motivation in the intensely personal space of online, it is necessary to activate social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SNS, and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issues and learning materials would be more efficient. In order to derive more specific results,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level of prior knowledge and involvement of the participants in class, and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tate of learners before and after class through more variables. Fin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clearly prove i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tructural model.

      • KCI등재

        AI기반 디지털 광고효과 연구 : 맞춤화광고와 개인화광고를 중심으로

        진홍근,김민정,Chin, HongKun,Kim, MinJung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8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AI 기반의 프로그래매틱 광고 전략 중 개인화 광고와 맞춤화 광고전략이 소비자의 광고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광고 전략을 선행변인으로 설정하여 행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총체적 감정 경험인 트랜스포테이션을 거쳐 광고태도에 이르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일반인 1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개인화 광고는 소비자의 트랜스포테이션에 영향력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맞춤화 광고 전략이 정(+)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트렌스포테이션은 광고태도에 정(+)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적극적 선택으로 만들어진 맞춤화 광고 상황은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 경험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기계적인 분석과 노출 중심의 광고 전략보다는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광고 선택 상황 즉, 맞춤화 광고상황으로 유도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Personalization Advertising and Customization Advertising strategies affect consumers' Aad among AI-based Programmatic Advertising strategies that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advertising strategies, the transportation, the overall emotional experience that occurs when acting, and Aad was examined structurally. As a result of a survey of 110 general people, Personalization Advertising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onsumers' transportation, and the Customization Advertising strategy had a positive influence. In addition, transport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ad.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s to actively induce consumers into Customization advertising situation, rather than the company's mechanical analysis and exposure-oriented advertising strategy.

      • KCI등재후보

        홀로그램 미디어가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효과

        진홍근(HongKun, Chin) 한국OOH광고학회 2016 OOH광고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홀로그램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홀로그램 미디어가 어떤 식으로 소비자에게 활용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게이지먼트, SNS구전의도, 제품태도 변인들을 구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홀로그램에 대한 경험은 미디어 인게이지먼트를 증가시키고 인게이지먼트가 SNS구전의도, 제품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미디어 경험은 커뮤니케이션 효과 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를 통한 경험은 소비자 행동 과정에서 출발점이고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시작으로 봐야 하며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증명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with hologram receiving attention recently. Holographic media is engagement to ensure that leverage consumer segments in any way, motivation, personality of the individual, also of SNS word of mouth, product attitude, purchase intention variables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analysis of experience of the hologram is not to increase the treatment media engagement. Engagement has been found to also have a positive impact, the attitude of the SNS word of mouth product. The experience with the hologram was found to influence the degree degrees, the purchase of the SNS word of mouth. After examining the study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engagement of a new concept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on the new media experience. This is to include the results will be experienced for the media than the media exposure do the new media nature more roles. In addition, experience with the media will affect the personality that is open, such as the extroversion synchronization. And social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is that which performs the leading role in the new variables, such as holographic media experience positively. Therefore, strategies to increase the new media experience, this comprehensive communications strategy should be combined with marketing and social motivation and stimulate consideration of the personality traits of the individual consumer.

      • KCI등재

        지식유형별 광고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연구

        진홍근(Chin, HongKun),이종민(Lee, Chong Mi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 유형을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으로 구분하여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를 비교하는데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주관적 지식의 高 低에 따른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의 차이검증, 그리고 객관적 지식의 高 低에 따른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의 차이 검증을 주 내용으로 한다. 결과 분석에 따르면, 高 주관적 지식 조건에서는 긍정 메시지 프레이밍이 보다 효과적이며 低 주관적 지식 조건에서는 부정 메시지 프레이밍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高 객관적 지식 조건에서는 부정 메시지 프레이밍이 보다 효과적이며 低 객관적 지식 조건에서는 긍정 메시지 프레이밍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advertising message framing effects by the types of knowledge - subjective and objective knowledge. Specifically, it includes the difference of message framing effects between high and low subjective knowledge conditions and between high and low objective knowledge condi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ositive message framing is more effective in the high subjective whereas the negative message framing is more effective in the low subjective knowledge condition. On the other hand, with the high objective status, negative message framing is more effective in the high objective condition than the positive message framing which is more effective in the low objective condition.

      • KCI등재

        19대 대선 후보의 정치광고 효과 연구

        김민정(Kim, Minjung),진홍근(Jin, Hongk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4

        본 연구는 실험 상황이 아닌 실제 현실에서 정치광고의 효과가 어떤 측면에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독립 변인으로 개인의 후보에 대한 주관적 지식과 후보 지지도를 활용하였다. 유권자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억 정보(종합적 기억 정보 vs 개별적 기억 정보)가 독립 변수의 조건에 따라 어떻게 활성화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선거 메시지 전략에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유권자들은 후보에 대한 주관적 지식과 지지도에 따라 인출하는 기억 정보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정 후보에 대한 주관적 지식은 낮으나 후보 지지 수준이 높을 때는 개별적 기억 정보가 종합적 기억 정보보다 더 많이 회상되었으나, 주관적 지식과 지지도 수준이 일치하거나 주관적 지식수준이 높고 후보 지지 수준이 낮을 때에는 종합적 기억 정보가 개별적 기억 정보보다 더 많이 인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선거 전략에 있어 후보자에 대한 메시지가 유권자의 종합적 기억 정보로 기억되고 인출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itical advertising on actual situation rather than experimental situ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is examined the memory information (global memory information versus discrete memory information) which influenced voter ‘s decision mak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voters’ memory inform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subjective knowledge and support of candidates. When the subjective knowledge level and the support level of the specific candidates are matched, the global memory information is utilized more than the discrete memory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when subjective knowledge level and support did not match, individual memory information and comprehensive memory information were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andidates.

      • KCI등재

        비수도권지역의 미디어스트리트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옥외광고자유표시구역 운영 담당 실무자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민정(Minjung Kim),진홍근(HongKun, Chin)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21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5 No.1

        미디어스트리트(media street)는 법령이 규정하고 있는 옥외광고 자유표시구역과 구분하여 사용하는 개념이다. 옥외광고 자유표시구역은 행정자치부 장관의 승인절차가 있어야 하고 미디어 스트리트는 광역시 단체장의 승인으로 조성할 수 있다. 중심상업지역이나 관광특구와 같은 거리에 디지털사이니지 특화 거리를 조성함으로써 도시관광자원으로의 활용뿐 아니라 옥외광고 관련 사업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수도권지역에 미디어스트리트 조성이 가능한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옥외광고 자유표시구역과 관련하여 직, 간접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비수도권지역의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연구원과 공무원은 ‘랜드마크 효과’를 긍정적인 가치로 우선하여 꼽았지만, 현재 옥외광고 자유표시구역 담당자들은 ‘광고주와 콘텐츠의 다양화’, ‘광고주의 의식 변화’ 등을 긍정적 가치로 뽑았다. 비수도권지역에서의 자유표시구역 확장은 서울 공무원, 매체사, 광고대행사의 경우 광고주 유치 등의 어려움으로 다소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지만, 비수도권 공무원은 관광 인프라 등으로 수도권과 다른 유동인구 증가세 등을 이유로 긍정적으로 보았고 운영사의 경우 매체 활용도 차원에서 확장 가능성을 크게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수도권지역에서의 미디어스트리트 조성에 필요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Media street is a concept that is used separately from the outdoor advertisement free display area stipulated by the law. By creating a digital signage-specialized street in the same street as a central commercial area or a special tourist zone, it is possible not only to utilize it as an urban tourism resource, but also to promote outdoor advertising related busine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media streets can be created in non-capital region. As for the research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direct and indirect related persons related to the outdoor advertisement free outdoor advertising zone. As a result of the study, researchers and public officials who were in charge of related tasks in non-capital region prioritized the "landmark effect" as a positive value. "Change of consciousness" was selected as a positive value. However, the dominant opinion is that it is somewhat difficult to expand the free mark area in the non-capital region. It appeared as the basis for major judgments such as the dimension of the advertiser"s budget expansion and the dimension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 would like to make necessary suggestions for creating a media street in the non-capital region.

      • KCI등재후보

        중국의 옥외광고를 논하다

        김나미(Kim, Nami),진홍근(Chin, Hongkun),김민정(Kim, Minjung) 한국OOH광고학회 2017 OOH광고학연구 Vol.14 No.1

        중국은 미국에 이어 제 2의 광고시장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옥외광고 시장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들이 발달하면서 그 영향력과 시장 발전 가능성으로 주목받아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옥외광고 관련 법체계와 개념을 한국의 그것과 비교하여 연구함으로써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중국 옥외광고법 체계를 살펴보고, 옥외광고의 개념과 분류체계, 허가 및 규제상황을 한국의 옥외광고법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은 공공재의 성격을, 중국은 상품, 서비스에 한하는 상업재의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옥외광고를 정의하고 있었다. 둘째,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옥외광고를 형태와 소재, 표현방식에 따라 구체적으로 분류하고 있는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금지설치유형과 같은 큰 개념만을 제시하고 세세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규정하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옥외광고 허가 및 규제 제도는 크기나 형태의 제약 보다는 설치지역의 공공성 여부에 의한 구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상업지역의 광고물 설치와 공공지역의 광고물 설치에 따른 절차를 본 연구를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hina is the second largest advertising market after the US. Especially, the outdoor advertising market has attracted atten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types of media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its potential for market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outdoor advertising law and concept by comparing it with that of Korea. For this purpose, we first examined the Chinese outdoor advertising law system and analyzed the concept, classification system, permission and regulatory situation of outdoor advertising in comparison with the outdoor advertising law of Korea. China"s outdoor advertising clearance and regulatory provisions a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Korean law. It seems that there is a division according to the publicity of the installation area rather than the limitation of the size or form of outdoor advertising permission and regulation system in China.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we can understand the procedure of advertisement installation in commercial area and advertisement installation in public area through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