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악의환경에서의 자율주행차량 도심로 교통류 안전성 분석 연구

        진혜련(JIN, Hyeryeon),김성훈(KIM, Sunghoon),김태형(KIM, Taehyung)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지 Vol.40 No.2

        향후 도로교통에서 자율주행차량들이 일반차량들과 혼재되어 운영될 시, 교통 운영 측면에서 자율주행의 순기능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을 두고 최근에는 자율주행차량 도입에 의한 도로교통 영향 분석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안개, 비, 눈 등의 기상적인 악의환경이나 인프라의 상태에 따라서 차량의 센서나 통신 기능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여, 해당 경우들이 발생하였을 때 도로 구간 교통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악의환경을 가정하고 자율주행차량 센서 인지 및 통신 지연 범위의 변화에 따른 도심로 교통류 안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VISSIM 시뮬레이션 기반의 교통류 안전성 분석체계를 구축하고, 악의환경에 의하여 변할 수 있는 센서 인지 범위 및 통신 지연의 다양한 변수를 설정하여 이를 시뮬레이션 기반 실험에 적용하였다. 교통류 안전성에 관련된 분석 지표를 선정하여, 시뮬레이션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 지표를 산출하고 다양한 시나리오 결과 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각종 악의환경에서도 교통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자율주행 센서 인지 범위 및 통신 지연의 최소 요건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ecuring the benefits of deploying autonomous vehicles in terms of traffic operation is the top priority when autonomous vehicles and general vehicles are mixed on the roads in the future. Recently, som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impact on traffic flow of a road section when autonomous vehicles are deploy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analyzing the impact of performance changes of vehicle sensors and V2X communication due to adverse weather or infrastructure conditions. Hence, assuming adverse driving condi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n traffic flow of an urban road s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sensing range and communication delay time of autonomous vehicles.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s an experimental environment for traffic flow safety analysis based on the VISSIM simulation program. Then, various variables of sensing range and communication delay that can be changed by adverse conditions are applied to simulation experiments. Evaluation indices related to traffic flow safety are provided, and the indice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data extracted from the simulation experiments. Using the indices, a comparative analysis is performed among the results of various scenarios. Such an analysis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sensing range and communication delay to assure traffic flow safety in various adverse conditions.

      • 농촌마을 농특산물 포장디자인 개선을 위한 샤렛 개발 및 효과

        채혜성(Chae Hyesung),도경록(Do Kyungrok),진혜련(Jin Hyeryeon),홍광우(Hong Kwangwoo),이동관(Lee Donggwan),안옥선(Ahn Oksun),조록환(Jo Lokhwan)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3 No.4

        농촌마을의 공동판매 농특산품은 포장상태가 부실하여 상품성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고, 농촌의 현실은 디자이너와의 접촉조차 어려우므로, 이들이 협업하여 농특산물 포장디자인을 개선하는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 농특산물 포장디자인 개선을 위해 고라데이마을을 대상지로 샤렛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하였으며, 참여디자이너들의 의식변화 조사를 통해 샤렛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먼저, 샤렛프로그램은 사전계획단계에 기초적 검토 및 사전준비로 구성하였고, 샤렛 실행단계에 자료수집 및 분석, 디자인개발로 구성하였으며, 평가 및 보완단계에서 디자인 제안 및 평가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실행단계에서는 실제로 자료수집을 위해 예비교육, 세미나, 현장방문, 이해당사자 워크숍을 실시하고, 디자인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게재 및 스튜디오작업을 실시하였으며, 디자인 제안을 위해 결과물을 판넬 및 샘플로 제작하여 발표하고, 마을주민들과 종합토론하는 일련의 과정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디자이너들의 의식변화조사는 지식-인식-기능-동기-만족의 5가지 영역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보완한 결과, 샤렛을 통해 참여디자이너들의 농특산물 포장디자인에 대한 지식 및 인식적 측면에서 효과가 있었고, 공동작업이라는 기능적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었으며, 사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만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샤렛 운영에 시사하는 바로는 충분한 일정계획과 사전교육 및 교감을 위한 기회제공, 이해당사자와의 충분한 협의구도 마련, 샤렛 이후 실제 포장재 제작을 위한 마을주민과 디자이너들의 지속적 관계 유지를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공 공간의 실내벽면녹화디자인 특성 연구

        이지현(Lee, Jihyun),장영순(Jang, Youngsoon),진혜련(Jin, Hyeryeon),홍정표(Hong, Jungpy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2

        This study aims to find as various information as possible on interior design as discussing space expansion in relation to indoor Green-wall design, looking into viewer’s preference factors to such design. The study made up for the limit of the previous research, which was its not having extracted common preference factors to all those spaces, and consequently, came up with this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se viewer type-based preference factors, which was, then, considered a concrete common characteristic of the factors. That way, the study proposed a possibility of how this Green-wall design could be used when a designer tries to decorate any public space. As a result of a factor analysis, the viewers classified into the 2 factors as is ‘pleasant’ and ‘excessive’ about the stimulus. Preferred key factor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emotional image language, were; ‘pleasant, comfortable, clean, harmonious, refreshing and refined’. The common factors in preferred design stimulus, in order of importance are color>elements>image>form?plants>growth shape. Specific levels of design factors according to relevance are modern, furniture, contrast, combined, the complex plants and the combined plants. The study is considered academically significant for it has proposed a process in connection with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for indoor Green-wall design of each space, providing designers with chances to figure out ideas which would help them create a whole new design. However, despite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what this study has discussed so far, any follow-up researches to verify each space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and that way, the reliability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