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인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진혜련 ( Hye Ryeon Jin ),채혜성 ( Hye Sung Cha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정부의 지역농산물 촉진을 위한 직거래 활성화 법 추진 정책에 따라 매출규모가 증가하고 더불어 농촌의 6 차산업 구조에따라 농산물 상품화 및 경쟁력 향상을 위해 농업인 역량과 역할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농가브랜드화 추세에 따라 디자인 분야의 교육 요구도가 높아 최근 초기단계로 진행되고 있다. 반면 교육의 만족도와 현장에 활용하기에 한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는 농업인 디자인 교육이 진행되는 기관을 중심으로 실태분석을 실시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20 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기관담당자와 심층면담인터뷰를 통해 실시하였다. 실태분석결과 단기(85%)적으로 농업인 대학,e-비즈니스 사업과정 등 안에 비중점(75%)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경영체운영농업인을 중심으로 30 명(15%)~30 명이상(55%)으로 운영하는 것으로나타났다. 교육내용은 포장디자인(40%)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 초기단계의 이론중심이나 기초실습정도(70%)로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계획방법은 기관자체 내부적으로 계획(70%)하고 있으며 강사는 포장기술 중심으로 섭외되고 교재는 강사가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사항으로는 디자인 관련 교육 및 지원사업 예산 비율 증가, 체계적인 디자인 교육과정을 마련할 수 있는 환경조성, 전문적 농업인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 등이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내용 측면과 교육과정 운영측면으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육내용 측면은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방안이며 교육과정 운영측면은 농업인 전문 디자인 교육환경 조성 및 전문강사인력을 양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olicy that is to realize the enaction of law to invigorate direct transactions, by which the government can promote local agricultural products, has brought about the increase of sales and at the same time enabled the structure of sixth industry in rural areas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farmers and expand the scope of their roles which will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and farm-product commercialization. Accordingly, the government agencies are leading other organizations for various educations for capacity building and, furthermore, recently the trend of farm branding has created more demands on designing education, the initial stage of which is progressing. On the other hand, since it was revealed that it is the limit for being applied at fields and at the satisfaction with the relevant educations,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after carrying out the actual-condition analysis of the agencies which are providing the farmers with designing education.Twenty agencie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along with the interviews with those in charge of the education. The actual-condition analysis has found that the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non-intensively (75%) as part of the training process of farmers` college and e-business in short run (85%) and that there are 30 (15%) and more (55%) trainees participating in the courses most of whom are the farmers operating management bodies. The packing design in the education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with 40% and most of it was focused on the elementary theory and the basic practice (70%). The educations were found to be planned by the agencies themselves (70%) and the instructors were invited mainly for packing techniques, when the teaching materials were provided by those instructors.This study also found out that there are such demands as the increase of budget ratio for supporting designing education and project,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s for systematic designing education course and the development of designing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 farmers. Therefore, the two plans for improving education contents and curricula have been suggested. The first is to develop and extend any standard curricular and the other to create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farmer`s professional designing and to cultivate expert instructors.

      • KCI등재

        농촌 경쟁력 향상 및 사용자 편리성을 고려한 농특산품 전시판매장 디자인 개발

        진혜련 ( Hyr Ryeon Jin ),조록환(교신저자) ( Lok Hwan J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현재 농촌은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trans pacific Ppartnership) 등의 사회적, 경제적 영향으로 인하여 생산 중심 농업의 위기에 처해있다. 농산물 생산이외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전략개발이 매우 시급하다. 현재 농촌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판로 및 유통의 방향성을 모색해야 한다. 농업인 공급자의 경쟁력 향상의 가장 기본적이고 편리한 방법은 현장직거래 방식이다. 농촌관광 활성화로 인하여 농촌의 방문객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현장직거래의 요구도가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농촌현장 직거래 환경에 활용할 수 있는 농업인의 사용편리성을 고련한 전시판매장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개발방법은 3차 전문가 협의회, 현장조사, 브레인스토밍,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하고 도면과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발하였다. 개발컨셉은 이동성, 공간성, 판매공간, 전시공간, 계산대의 레이아웃과 판매규모을 고려하고 벽면과 유닛구조를 최대한 활용하였다. 농특산품의 무게와 실제 설계비용을 고려하여 개발을 진행하였다. 농업인이 편리하게 이동하고 접이식구조를 활용하여 판매규모에 따라 소규모, 중규모, 대규모 건축형 전시판매장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디자인 개발을 비용부담, 공간확보. 디자인 부담 등 농촌전시판매장의 애로사항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Currently rural communities are in the situation that the production-oriented farming is in the crisis due to the social and economic influence of FTA and Trans-Pacific Partnership Agreement. Accordingly, it is very urgent to develop certain strategies to beef up the competitiveness as well as the productivity of agricultural products. To do this, a better way to improve the market and the distributional directivity of agricultural products should be sought for. The most fundamental and convenient way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farmers is the direct dealing at the spot. Since the invigoration of rural tourism has led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visitors to rural communities, the demand for direct dealing at the spot is quite much. This study, therefore, considered the usability of farmer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environment of direct dealing at the spots of farming area to develop a design for exhibition shops. With three times of expert conference, spot survey, brainstorming and check-list, drawings and 3D simulation were employed for developing it. For the concepts of its development, mobility, spatiality, selling space, exhibition space, layout of the cashier’s counter and sales volume were taken into account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wall-surfaces and unit structures. Also the weight of products and actual cost for designing were weighed for the design development. The design includes small, medium and large-sized structures for exhibition and sale depending on the sales volume along with the utilization of folding structure which will make it easy for farmers to move. This design will contribute to the alleviation of such difficulties as cost burden, space security and designing burden at Rural Exhibition Shops.

      • KCI등재

        컬러디자인의 정량적 가이드라인 설정을 위한 선호컬러자극에 따른 인체생리신호반응평가

        진혜련 ( Hye Ryeon Jin ),김동욱 ( Dong Wook Kim ),정성환 ( Sung Whan Ch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1

        현재 컬러의 활용영역은 디자인, 마케팅, 테라피 까지 컬러의 활용도가 활발하며 그만큼 컬러에 관한 연구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연구의 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인 컬러자극에 있어 인체 생리 반응 변화를 분석하여 실질적이고 객관적인 가이드 라인의 DB를 구축하고자 한다. 1단계로 주관적인 컬러에 관한 의견과 선호도, 영향력 등 기초설문을 나열하여 피험자의 정보와 니즈를 파악하였다. 2단계의 객관적인 실험은 6가지 컬러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로 구성된 컬러환경시스템에서 HRV(heart rate variability), 체열, 혈압을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특별한 장애가 없는 노인군 20명과 신체 건강한 청년군 20명을 선정하여 다양한 연령층을 실험하여 비교하였으며 각각 10분의 컬러 자극을 주어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노인군은 주황컬러자극에서 부교감신경이 반응하여 체열이 증가하고 혈압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청년군은 빨강컬러에서 부교감신경이 반응하고 체열이 증가하고 혈압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기초설문의 컬러선호도와 비교분석한 결과 안정계 신경인 부교감신경계가 반응하는 컬러와 선호컬러가 일치함을 파악하였다. 선행연구나 전문문헌을 참고하면 평균적으로 녹색컬러에서 안정화된 신경(부교감신경)이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적으로 실험한 결과 선호컬러와 연관성이 있음을 생리적인 반응 변화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생리적인 반응으로 나타난 결과는 컬러디자인에 있어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자료로써 긍정적인 방향을 의미한다. Colors are used in many fields ranging from design to marketing and therapy, which shows the high utilization of colors. This trend reflects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study on colors with the increasing scope of the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physiological response to the actual stimuli by colors with a view to establishing the database for practical and objective guidelines. In the first stage, we prepared the basic survey with the items that included opinions on colors, preference and influence in order to find out the information on the study subjects and their needs. In the second stage, which was the objective experiment, we reproduced the six-color environment system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and violet) to measure heart rate variability (HRV), body heat and blood pressure. The study subjects included 20 elderly persons without any specific disabilities and 20 young persons in good physical health, who were selected for comparison with persons in various age groups. After the color stimulus in 10 minutes, According to the experiment results, the group of elderly persons showed the response by parasympathetic nerves to the orange stimulus with the increase in body heat and the decrease in blood pressure. The group of young persons displayed the response by parasympathetic nerves to the red stimulus with the increase in body heat and the decrease in blood pressure. The results of comparison with color preference in the basic survey demonstrated that the color that the parasympathetic nerve system with stable nerves reacted to was identical to the color preferred. Previous studies or technical documents suggested that the stabilized nerves (parasympathetic nerves) responded to the green color in general.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ctual experiment, the changes in physiological response confirmed the relationship with preferred color. The results from the physiological response provide the positive indication that they can be used as the scientific and quantitative data for color design.

      • KCI등재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지원 현황분석 및 지원사업 프로세스 개발 연구

        진혜련 ( Hyr Ryeon Jin ),조록환 ( Lok Hwan J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농촌의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의해 과거 농업 중심에서 현재는 농산물 생산, 제조, 가공, 판매, 유통 등 6차산업화 환경에 속해 있다. 농촌의 6차산업화가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정부지자체기관에서 다양한 지원정책을 통해 적극지원하고 있다. 각 지원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분야의 전문가, 담당자 등의 신중한 검토와 협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158개소의 농업기술원 및 기술센터의 포장디자인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운영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애로사항 및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위원구성 및 농업인의 의식부족, 구체적 프로세스, 체크리스트 필요, 예산부족, 전문가 필요 등이 파악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농업인, 디자인전문가 등 10인(농업인2, 기관 담당자3, 디자인컨설팅 2, 디자인전문가3)의 전문가를 구성하여 5차 심층 협의를 거쳐 개발하였다. 그 결과 수요조사-기획-계획안작성(지침마련)-대상선정(공모)-실행-중간관리-결과 및 평가-사후관리 총 8단계의 체계적인 지원사업 프로세스와 각 단계 별 세부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각 세부 체크리스트는 포장디자인 요소추출 과정에 농업인과 디자인 업체가 공동 참여하여 워크샵을 통해 추출할 수 있도록 하여 농업인, 디자인전문가, 기관담당자가 3가지 관점에서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지원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디자인 결과물은 그래픽 부분 뿐만 아니라 제품적합성(온도, 습도, 변형정도), 포장환경(포장재적재성), 유통방식(포장단위결정) 등을 점검하여 효율적으로 결과물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농촌현장에 실현하기 위해 정책협의를 거쳤으며 향 후 농촌기업 및 6차산업예비인증자 지원사업에 활용 할 계획이다. 개선된 지원사업 프로세스 활용을 통해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품질향상, 농업인 디자인 의식제고 등 농촌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며 경쟁력 향상에 적극 기여하고자 한다. With social and economic changes, rural communities have broken from the past agriculture-centered economy to belong to the environment of the sixth industry with production, manufacturing, processing, sales and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Each local government is aggressively offering various supporting policies so that the sixth industrialization may be achieved without problems. In order for each supporting project to be successful, the prudent reviews and conferences by experts in each field and those responsible for the project is indispensable. This study has examined and analyzed the operation status by focusing the supporting projects of 158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s and technology centers nationwide to appreciate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points. The followings have been found by the analysis result: an expert committee should be organized, the farmers lack awareness, a concrete process and its checklist are necessary, the budget is not enough and some specialists are needed. 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committee made up of 10 members - 2 farmers, 3 government officials, 2 design consultants, 3 designing specialists - has discussed in depth for developing the following solutions: a systematic support projects with 8 stages of demand survey, planning, filling-out of blueprint (setup of guidelines), object selection (public contest), execution, interim management, outcome and estimation, ex post facto management. And the detailed checklist by stage was developed, which enabled farmers, designing specialists and government officials to carry out a rational support project with the consideration ofthree viewpoints so that by those farmers and designing companies may jointly participate in workshops to extract packing design factors. Through this, not only the graphic issues but also the product conformance (temperature, moisture and degree of deformation), the packing environment (suitability of packing material) and distribution method (determination on packing unit) were to be checked so that any outcomes might be extracted efficiently. Several policy consultations were held for these study results to be materialized in the agricultural field and furthermore those results is planned to be utilized for the project supporting rural businesses and preliminary authenticated in the field of the 6th industry. The utilization of the improved supporting project process is expected to bring out such synergies effect in rural communities as improvement of packing designs for agricultural specialties and raise of farmers` designing awareness and anticipated to aggressively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 KCI등재

        농업인 포장 디자인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시범 적용 평가

        진혜련 ( Jin Hye Ryeon ),채혜성 ( Chae Hye S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농업인 역할의 중요성과 역량강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정부 및 민간단체를 통해 농업인 역량을 높이기 위한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들이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여성농업인육성법 제정 등을 통해 여성중심의 농업 교육 방향이나 농업인 교육 방향성을 제기하는 연구는 다수 이루어지고 있으나 농업인 요구조사를 통해 실제적으로 프로그램이 개발되는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앞 서 연구에서 농업인 요구조사분석을 통해 농업인 중심 포장 디자인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 표준안을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 수준별 중 기초과정을 시범 적용하여 전문가 모니터링평가와 농업인 설문평가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기관 간 협조를 통해 농업인 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13개의 유효 표본을 추출하였고 2명의 전문가 모니터링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모니터링 평가 결과 교육 내용, 방식, 시간 등의 적절성평가는 5점 척도 기준에서 4점 척도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 중 시간에 관해 Q&A시간 추가요청이 제시되었다. 농업인 평가는 과목당 학습목표와 수업내용 적합성, 교육방식, 교육내용, 교육시간, 활용 언어 이해도, 교육자료 등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5점 척도 기준으로 대체적으로 4점 척도이상의 결과가 나타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목별 다수 차이는 있으나 활용 언어 이해도 및 교육시간에 낮은 척도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시간 추가조정 및 교육 내용 언어 활용 수준 등의 수정사항을 보완하여 추 후 교육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운영 가이드를 개발 할 예정이다. Interest in the strengthening of the importance and ability of the role of agriculture is increased,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the agricultural capability has been operated is established through the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Such as via the enactment of women farmers growth method, but research to raise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and the agricultural education of agricultural education of women center has been done many, it performs a needs assessment of the farmers, actually program research to be developed is not enough wa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have developed a draft standard of the agricultural center package design competence strengthening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f agriculture``s needs assessment in the study from the front. In the present study, this in order to put into practical use, tri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implementing the monitoring evaluation and farmers questionnaire evaluation of experts to apply show the level another basic cours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institutions, and conducted on the agriculture 24 people, to extract the 13 pieces of valid samples, it was carried out monitoring evaluation of two experts. Monitoring of experts, evaluation educational content of a result, the methods, appear higher in the more than four-point scale in the evaluation is 5-point scale criteria of adequacy of such time, the time of the request to add the Q & A for this out of the time has been presented . The evaluation farmers, compatibility of learning objectives and course content per subject, the method of education,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time, also use language understanding,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such as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the 5-point scale generally it is clear that the high degree of satisfaction is displayed 4-point scale As a result of the above on, but there is another large number of differences between subjects, showed a lower scale to use language understanding and educational tim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fter adding to complement the change of language utilization level, etc. of the educational content and additional adjustment education time, it is expected to develop an education operation guide that you can actually take advantage of corresponding to the education program.

      • KCI등재후보

        농촌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개선에 따른 소비자 의견 평가

        진혜련 ( Hye Ryeon Jin ),조록환 ( Lok Hwan Jo ),채혜성 ( Hye Sung Chae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5 No.-

        6차 산업의 영향으로 농산물 생산뿐만 아니라 제조, 가공, 포장, 판매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고 융ㆍ복합 경영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포장 및 판매의 경우 포장디자인, 브랜드디자인으로 농촌의 디자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반면 비용부담 및 정보부족 등으로 인하여 원활히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농촌 상황의 포장디자인 비용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 연구에서 현장조사, 문제점파악, 개선연구, 표준디자인 가이드 안을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표준 포장디자인안의 실용화를 위해 농촌관광마을에 현장 적용하여 개선을 통한 소비자 의견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적용 포장디자인의 만족도, 적합성이 70%이상이 긍정적인 의견으로 나타났고 포장디자인 기능 충족도는 운반편리성과 상품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요건 충족도는 경제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적용 포장디자인의 개선 요인 의견분석 결과 구매도가 가장높았고 그 외에 전형성, 내구성, 적합성이 개선 요인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개발된 표준 포장디자인안의 소비자 의견의 타당성 및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앞서 연구와 연결하여 현황조사, 문제점파악, 개선연구진행, 표준가이드 디자인 개발, 현장실용화, 소비자 반응 평가, 기술이전계획 순으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연구절차를 통해 진행함으로써 농특산품 포장디자인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해결하는 디자인개선 참고자료로 유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With the effect of the sixth industry, since not only the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but also their manufacturing, processing, packing and selling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from various fields, the manage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going through the shift to a fusion structure. In rural areas the situation around the site survey research design to reduce packaging costs, identify problems, and develop a bar inside the Improvement of standard design guide. In this study, we apply the field in a rural tourist village for practical use i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design was to evaluate consumer response through the improvement. Satisfaction of the results apply to packaging design, suitability pulled more than 70% positive feedback that the package design capabilities to meet even this appeared carrying high degree of convenience and marketability meet the economic requirements were somewhat higher. In addition to improving factors that also have the highest opinion analysis applied to the purchase of typicality packaging design, durability, compliance was higher improvement factors comment.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in standard packaging design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quantitatively verified. Survey and earlier connected with the research, identify problems, improving research in progress, the standard guide design and development, field practical, consumer opinion surveys, technology transfer plan in order to systematically and progress through objective research process by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agricultural specialty packaging design It is believed to be effective in design and resources to resolve.

      • KCI등재

        농업,농촌 6차 산업 활성화를 위한 농촌관광마을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진혜련 ( Hye Ryeon Jin ),채혜성 ( Hye Sung Cha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현재 농업을 기반으로 주체가 되는 6차 산업의 패러다임에 농촌관광은 현재 진행형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비해 농특산품 포장디자인은 농가소득증대와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 요인임에도 포장 상태 및 포장디자인 완성도가 매우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 농촌관광사업을 지원받은 농촌관광마을 30개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 및 FGI를 실시하였다. 또한 100개의 농특산품 포장디자인 샘플을 추출하여 브랜드여부, 소재, 형태, 용도, 품목, 컬러로 카테고리별 속성을 분류하여 빈도분석, I.R.I 컬러 이미지 스케일 포지셔닝 분석을 통해 객관적으로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FGI 결과 현재 포장디자인상태의 만족도가 낮고 다품종 소량생산의 특성상 모든 품목에 포장디자인을 갖추는 부분에 비용 부담이 많아 마을 스티커라벨을 활용하고 있었으나 기본적인 정보사항이 미기재 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생물, 가공품등 품목의 특성과 포장상태에 특성에 따라 용도별 포장이 필요함이 조사되었다. 현황분석 결과 브랜드의 여부는 거의 없었으며 소재는 가장 접하기 쉽고 다양한 설계구조가 가능한 장점으로 종이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며 형태는 농특산품의 형태를 고려하는 것이 적합하나 설계비용 부담, 정보 부족 등으로 일반적인 사각형 구조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용도는 일반판매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컬러는 Yellow, White가 가장 많은 빈도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마을 표준화 디자인 활용 교육, 라벨 필수 표기 사항, 용도별 포장디자인 개발 , 가공류의 생산 및 판매 가능 법?제도적 개선제안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oward paradigm of 6th industry as principal agent based on agriculture currently, rural areas sightseeing is in the state of vitalization as present progressive. But compare to this, despite the fact that packing design of agricultural specialty is directly related to revenue growth of farming families, its packing condition and completeness of packing design is very insufficient. For that, this research conducted field investigation and FGI toward 50 sightseeing villages in rural areas that are supported by rural area sightseeing business from government sector. And also we tried to analyze its present condition objectively and tried to propose improvement plan by analysis of frequency analysis, I.R.I color image scale positioning analysis by categorizing their characteristic by whether it is a brand or not, material, form, use, item and color through extracting packing design sample of 100 agricultural specialty. As result of FGI, they were using village sticker label since satisfaction level of packing design condition is low and they felt burden-some for expenditure of having packing design for every items according to trait of small quantity production but figured out basic information were not written. According to item trait of living organism, processed goods and ETC as well as packing condition, need for separate packing depends on usage was investigated. Having its own brand were ra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esent condition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materials were mostly papers which is easiest to get and have advantage for various structure designing, it`s proper to consider form of agricultural specialty but it was analyzed as they are using ordinary quadrangle structure due to burden on designing cost, lack of information and ETC. General selling was the most for its usage, yellow and white are the mostly used colors in terms of frequency rate. Based on result of this research, we suggested improvement plan for education for village standardization usage, necessity of label marking, development of packing design on its usage, proposal on law and system improvement for production and selling of processing typ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