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정시용 군용안경의 성능개선을 위한 연구

        진용갑,구본엽,이우철,이항석,임현성,장재영,이교은,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20 대한시과학회지 Vol.22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goggle and a insert frame provided to ametropic solders, and to analyze visual problem that could occur in the combined state. In order to minimize the visual problems, a milti-functional unit(MFU) insert frame was manufactured.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vision of ametropic soldiers. Methods : We measured size(lens insert, bridge and front, vertex distance) and angle(faceform and pantoscopic) of the insert frame with military goggle before and after combination. 3D scanning and printing were used to make the MFU insert frame of bioresin material.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igh and low contra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subjective satisfaction of 37 ametropic soldiers(21.08±0.89years). Results : The insert frame of combination state showed the largest vertex distance, faceform angle and pantoscopic angel than the MFU insert frame with 18.17±0.24 mm, 20.17±0.24°, 10.17±0.24°, respectively. Overall satisfaction of the MFU insert frame(3.30±1.22points) was higher than Insert frame(2.24±1.09points), showing tha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ed(p<0.050). Conclusion : The MFU insert frame producted in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improve visual acuity and satisfaction of ametropic soldiers. 목적:본 연구는 비정시 군인에게 지급되는 military goggle 및 insert frame의 특성을 비교하고, 결합 상태에서 발생 가능한 시각적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발견된 시각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multi-function unit(MFU) insert frame을 제작했다. 이를 통해 비정시 군인의 시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Military goggle에 조합시키기 전·후의 insert frame의 크기(렌즈삽입부, 연결부 및 전면부, 정정간거리)와 각도(안면각 및 경사각)을 측정했다. 3D 스캐닝과 프린팅을 통해 바이오레진 재질의 MFU insert frame를 제작했다. 또한, 평균 연령 21.08±0.89세의 비정시 군인 37명을 대상으로 고대비 및 저대비 교정시력과 주관적 만족도를 조사했다. 결과:조합된 상태의 insert frame은 MFU insert frame에 비해 정점간거리, 안면각 및 경사각에서 각각 18.17±0.24 mm, 20.17±0.24°, 10.17±0.24°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만족도는 MFU insert frame (3.30±1.22 points)이 insert frame(2.24±1.09 points)에 비해 높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p<0.050). 결론:본 연구에서 제작된 MFU insert frame은 비정시 군인의 시력 및 시각적 만족도를 향상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 누진가입도렌즈의 광학적 분석 및 착용자의 시각적 요구도에 따른 분류

        진용갑,장만호,마기중,심상현 대한시과학회 2008 대한시과학회지 Vol.10 No.4

        Purpose : To provide eye care practitioners with guidelines in selection of lenses based on visual needs of wearer. we measured opt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ng distance, intem1ediate. and near zones of each PAL design. Methods : 34 lenses which are selling in the market currently, were ordered through a shop as if for a patient with a prescription of piano distance and a + 2.000 add for right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 of tl1e lenses was 34 and they were obtained from the manufacturer directly to get a equatable of lenses. Each lens optics was measured with VM 2000(Visionix Ltd. Israel) three times. Limiting the viewing zone width by 0.500C or + 0.250S. distance. intem1ediate. near viewing zone were analysed respectively by lmm vertical steps. Results : Setting the criterion at addition + 2.000. the maximum unwantcd astigmatism was - 1.95 to -3.560( -2.32±0.37). clistance viewing zone area was 9.17 Lo 91.25 mm2(30.57±17.20 mm2 ) . intermediate vie\ving zone area was 10.52 to 41.21 mm2(19.56±6.88 mm2 ), the highest occurrence of the + 1.750 was apart 10.35 m to 18.16 mm(l3.53±2.02 mm) from fitting cross. and neru· viewing zone area with over + 1.750 was 26.58 to 111.25 mm2(62.31± 18.07 mm2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measurement variables. And the usage ratings were measured on t11e criterion of the distance zone. intermediate zone. and near zone width and their horizontal width. Conclusions :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cross the progressive addition lenses tested in this study were showed a variance of wide ranges. The ratings of visual needs of wearer on the distance zone, intermediate corridor and near zone can be used in selection of appropriate lenses to match individual specific needs.

      • KCI등재

        한국군 비정시자용 안경의 보급체계 분석

        진용갑,구본엽,이우철,윤문수,박진태,이항석,이교은,임현성,장재영,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18 대한시과학회지 Vol.20 No.4

        Purpose : To analyze the eyeglasses supply system for ametropes in ROK military. Methods :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supply system of eyeglasses for the ametropic soldiers provided by the Korean military. The refractive powers and corrected visual acuity were measured for 37 ametropic soldiers who wear insert glasses for ballistic protective and gas-masks supplied by the military based on their habitual prescriptions. Full correction of refractive error was prescribed for subjects having less than 1.0 of distance visual acuity, and comparison was held for inspecting the changes in corrected visual acuity.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solving the issues regarding current supplying system,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ies for utilizing professional optometric manpower. Results : The new glasses supplied by army for ametropic soldiers were duplicated from the glasses they worn when entering the army. The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powers of the conventional, ballistic protective and gas-mask insert glasses supplied for 37 ametropic soldiers were –3.47±1.69 D, -3.52±1.66D and –3.55±1.63 D, respectively, and the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power of full corrected glasses was –3.79±1.66 D,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The distant corrected visual acuity measured at high and low contrast(logMAR) of conventional, ballistic protective and gas-mask insert glasses were 0.06±0.80, 0.21±0.82, 0.15± 0.74, 0.34±0.89, 0.10±0.70 and 0.22±0.27, respectively, while the corrected visual acuity by full corrected glasses were increased to 0.02±1.05, 0.10±0.07,0.09±0.92, 0.26±0.10, 0.04±1.00 and 0.19±1.00,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except for the case of the low contrast corrected visual acuity of the conventional and gas-mask insert glasses. The procedure for ordering, dispensing, and supplying military glasses consists of 5 steps, and it was found that approximately two weeks or more are required to supply from the initial examination. Conclusion : The procedure of supplying the military glasses showed three issues: 1) a lack of refraction for prescription system, 2) relatively long length of time required for supplying the glasses, 3) an inaccurate power of supplied glasses. In order to solve those issues, in the short term, education is necessarily required for soldiers on the measurement of the refractive powers, and in the near future, further standard procedures for prescription of glasses as well as the securement of optometric manpower are expected. 목적: 대한민국 비정시 군인의 안경 청구 및 보급체계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군에서 제공되는 비정시 군인용 안경의 청구 및 보급체계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비정시 군인 37명을 대상으로 평소 착용하는 일반안경의 굴절력을 기준으로 보급된 파편방호용 및 방독면용 내부 장착 안경의 굴절력과 교정시력을 측정하였다. 원거리 교정시력이 1.0 이하인 대상에게 완전교정을 실시하고 교정시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현 청구 및 보급에 따른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시력관리 전문 인력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결과: 비정시 군인에게 보급되는 안경은 입대할 때 착용한 안경의 굴절력과 동일하게 복제되었다. 37명의 비정시 군인에게 보급된 일반안경, 파편방호용 및 방독면용 내부 장착 안경의 등가구면굴절력은 각각 –3.47±1.69D, -3.52±1.66 D 및 –3.55±1.63 D였으며 완전교정 등가구면굴절력은 –3.79±1.66 D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일반안경, 파편방호용 및 방독면용 내부 장착 안경에 의한 원거리 고대비 및 저대비 교정시력(logMAR)은 각각 0.06±0.80, 0.21±0.82, 0.15±0.74, 0.34±0.89 및 0.10±0.70, 0.22±0.27이었으며, 완전교정 후에는 각각 0.02±1.05, 0.10±0.07, 0.09±0.92, 0.26±0.10 및 0.04±1.00, 0.19±1.00으로 증가하였다. 일반안경과 방독면 안경의 저대비 시력을 제외하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안경의 청구, 제작 및 보급은 각각 5 단계로 구성되며, 최초 청구로부터 보급까지 약 2주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정시 군인의 안경 보급체계는 1) 굴절검사 체계의 결여, 2) 청구부터 보급까지 소요시간이 길고, 3) 보급 안경의 굴절력이 정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단기적으로 관리 인력의 굴절력 측정에 대한 전문지식의 교육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 안경처방 표준체계의 도입과 시력관리 전문 인력의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RMSPE를 이용한 누진가입도렌즈의 광학적 특성 분석

        이승신,진용갑,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5 No.05

        목적: RMSPE 값(Root Mean Square Power Error Value)을 적용하여 누진 가입도 렌즈의 부 위별 오류 값을 도식화하여 디자인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임상에서 처방되고 있는 17가지의 누진 가입도 렌즈(원용부 굴절력이 0.00D이고 가입도 가 1.50D, 2.00D 및 2.50D)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Free Form Verifier(FFV, Rotlex, Israel) 를 사용하여 대상의 전면 굴절력을 측정하였다. 0.5mm 간격의 6953개 지점의 측정값을 RMSPE 값으로 산출하여 원용부 및 중간거리 그리고 근용부 굴절력의 분포를 각각 도식화하였 다. 결과: 원용부, 중간거리부 및 근용부의 각 지점에서 요구되는 굴절력과 RMSPE의 차이로부터 명시범위와 주변부 굴절력의 분포를 0.25D 간격으로 나타내었다. 각 디자인 및 동일 디자인에 서 가입도 증가에 따른 굴절력 분포 특성을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등가구면굴절력을 적용했 을 때보다 부위별 오차값이 더 컸다. 결론: 전면굴절력에 대한 RMSPE를 부위별로 요구되는 굴절력과 비교하여 원용부, 중간거리부 및 근용부의 명시범위를 동시에 표현하고, 누진가입도렌즈의 디자인 및 가입도 변화에 따른 광 학적 특성을 편리하게 비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