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Compensatory Strategies for Solving Problems of Construing Han Characters in L1 and L2 Chinese Writing

        陳榮石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7 No.-

        This paper describes the types of compensatory strategies that are explicitly employed in producing Chinese texts by 8 bilingual (Chinese and English) informants to solve the problem of not knowing the orthographic conventions of the intended Chinese character(s) in their L1 and L2 Chinese writing. There are three types of explicit compensatory communicative strategies (CmS) in L1 Chinese writing, and 8 types of such strategies in L2 writing. Each of the CmS is identified in terms of written presentation and protocol analysis. L2 writers make more orthographic inventions by calling upon their linguistic resources in Chinese character, Pinyin of Putonghua, and English and produce “Han character” from monolingual presentations to bilingual devices such as loan-blend, code-switching. Degree of cognitive demand of writing task is also a factor in the uses of communicative strategies.

      • KCI등재후보

        도덕교육이론으로서의 교육인식론

        진영석 한국도덕교육학회 2005 道德敎育硏究 Vol.17 No.1

        Educational epistemology presents an approach to knowledge which is distinct from that of philosophical epistemology. Whereas the latter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nature of knowledge, the former takes education or learning as the ground for reconsidering the nature of knowledge. By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r the process of the internalization of subject matter, educational epistemology finds the fact that knowledge is what is social or public, which has been suppressed by the classical theories of knowledge. However, educational epistemology as it stands cannot achieve its full character. The Neo-Confucianist theory of knowledge shows that educational epistemology, when pressed to its conclusion, turns out to be a theory of moral education. In the Neo-Confucianist way of thinking, knowledge is the passage to the 'upper layer', that is to say, the metaphysical level where all kinds of perfection including the moral perfection are realized. Thus, knowledge is the passage to the moral perfection, and in this lies the justification for the pursuit of knowledge. And further, this conception of justification redefines the nature of knowledge and the process of the internalization of subject matter. In short, the Neo-Confucianist theory of knowledge can be said to be an exemplar of educational epistemology. 철학적 인식론과 구분되는 논의로서의 교육인식론은 지식의 의미는 교육의 맥락에 비추어 볼 때 구체적으로 파악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 한 가지 중요한 결론은 지식의 획득과정 문제 또는 지식의 내면화 문제를 고려하면 지식의 성격 문제는 다른 방식으로 대답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식을 배우면 훌륭한 인간 또는 도덕적 인간이 된다는 점은 교육의 가장 기본적인 가정인 만큼, 교육인식론에는 그 점을 설명하기 위한 지식의 정당화 문제가 포함되지 않으면 안된다. 지식의 정당화 문제를 포함하게 되면 교육인식론은 도덕교육이론의 성격을 띠게 되며, 그에 따라 지식의 내면화 문제와 지식의 성격 문제도 또다시 다른 방식으로 대답되게 된다. 성리학은 ‘중층구조’에 입각하여 이 모든 문제를 설명함으로써 온전한 형태의 교육인식론 또는 인식론은 어떤 것인지를 보여 주고 있다.

      • KCI등재

        교육이론과 종교이론

        진영석 한국도덕교육학회 2009 道德敎育硏究 Vol.21 No.1

        교육은 ‘심성’을 함양하는 활동이며, 교육이론은 그 심성함양에 관한 설명이다. 성리학적 개념으로서의 심성은 교과에 논리적 가정으로 들어 있는 ‘표현 이전의 표준’ 또는 ‘하늘의 명령’을 가리킨다. 성리학의 교육이론은 교과공부를 통하여 어떻게 ‘하늘의 명령’을 실현하게 되는지를 설명하며, 이 점에서 그것은 불가피하게 종교이론에 이르게 된다. 다른 한편, 종교이론은, 종교의 핵심 개념인 聖이 어떤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드러내려면, 聖 그 자체와 다른 것이 될 수 없는 심성이 함양되는 과정을 설명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하여 종교이론은 불가피하게 교육이론에 이르게 된다. 교육이론과 종교이론은 심성함양을 설명하는 한에서만 온전한 것으로 되며, 성리학은 온전한 의미의 교육이론, 다시 말하여 온전한 의미의 종교이론의 모범적인 사례를 보여준다. 여기서 교육이론과 종교이론이 온전한 의미를 지닌다는 것은 양자가 ‘심성함양을 위한 실천을 바로 그 실천에 의하여 설명하는 담론 형식으로서의 메타프락시스’를 나타낸다는 것을 뜻한다. The Neo-Confucianist theory of education presents an argument that education, in its proper sense, consists in the cultivation of the Mind-Nature which is equivalent to the Heaven's decree. It thus inevitably leads to the theory of religion. On the other hand, the theory of religion, if it is to make clearer the essential nature of the Holy, is required to expla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Holy which is equivalent to the Mind-Nature. It thus inevitably leads to the educational theory as is proposed by Neo-Confucianism. In this line of thought, the educational theory, in its full sense, turns out to be the theory of religion, and the theory of religion, in its full sense, turns out to be the educational theory. In Neo-Confucianism, these two kinds of theory compose a single whole. Thus, we may find in it an exemplar of both the educational theory and the theory of religion. The uniqueness of Neo-Confucianism leads us to the thought that both theories can fully realize their character only when they offer a satisfactory explanation of the cultivation of the Mind-Nature, and, in either case, the theoretical activity is itself an activity of cultivating the Mind-Nature. If this is right, both theories could be characterized by the same family of discourses, that is, 'metapraxis' in which the practice of cultivating the Mind-Nature is justified only by the practice itself.

      • KCI등재후보

        Micronesia Chuuk Island에 서식하는 Top shell, Trochus niloticus의 생식주기

        진영석,송영보,이치훈,노섬,이영돈,박용주,김한준,나오수,최면식 한국패류학회 2004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0 No.1

        이 연구는 1999년 11월부터 2000년 9월까지 Micronesia Chuuk Island 연안에서 채집한 Trochus niloticus의 생식세포형성과정, gonad bulk index (GBI), 월별 난모세포 크기 변화 생식주기 그리고 산란리듬 탐색을 조직학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T. niloticus는 자웅이체로 성비는 암수 1:1이었다 (p > 0.05). 난소는 난황구기 단계의 난모세포와 정소는 정세포와 정자가 연중 관찰되었다. 월별 GBI는 2월, 3월, 4월 그리고 6월에 다른 달보다 높았다. 주 산란은 4-5월 그리고 6-7월에 일어났지만, 부분 산란하는 개체가 연중 관찰되었다. 월령에 따른 GBI는 다른 월령보다 보름에 높아, 산란은 보름과 하현 사이에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Gametogenesis, changes of gonad bulk index (GBI), monthly variation in oocyte diameter, reproductive cycle and spawning with lunar cycle of the top shell, Trochus niloticus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examination. The specimens were sampled in the coastal waters of Chuuk Island, Micronesia, form November 1999 to September 2000. T. niloticus is a gonochorism, and the female and male were present in an approximately 1:1 ratio (p > 0.05). The ovary contained with the oocyte of yolk stage, the testis composed of the spermatid and spermatozoa at around the year. Monthly GBI were higher at February, March, April and June than the other months. Major spawning occurred between April and May, and June and July but the individuals of partially spawning were presented throughout the year. GBI with lunar cycle were higher at the full moon than the other lunar ph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pawning occurred between the full moon and last quarter moon.

      • KCI등재

        플라톤의 「법률」: 법과 교육과 종교

        진영석 한국도덕교육학회 2015 道德敎育硏究 Vol.27 No.2

        플라톤의 「법률」은 교육을 그 핵심 관심사로 삼고 있으며, 거기서 전면에 부각되어 있는 법 또는 정치, 그리고 종교는 ‘덕’의 형성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우선, 법률은, 통념에서와는 달리, ‘강제’를 위한 법 조문 이외에 ‘설득’을 위한 ‘전문’(前文)을 함께 포함하는 독특한 형식을 띤다. 법률의 중심은 이 ‘전문’에 있으며, 그것은 법의 정신을 가르침으로써 법의 위반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방식은 처벌을 ‘영혼의 치유’에 입각하여 규정하고 시행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다음으로, 종교는 법률의 원천을 이루고 있다. 신에 대한 불경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전문’은 일종의 ‘신학’으로서 다른 모든 ‘전문’의 근거가 되며, 따라서 다른 모든 법률의 근거가 된다. 이와 같이 보면, 종교는 법의 본래 의도인 교육에 근거를 부여하기도 하지만, 결국 그 의도의 최종적 실현을 나타내기도 한다. 「법률」의 국가는 ‘신정(神政) 국가’인 동시에 ‘교육 국가’인 것이다. 「국가론」과의 관련에서 보면, 「법률」의 국가는 ‘차선의 국가’이지만, 그 이상에 관한 한 그것은 「국가론」의 국가와 조금도 다르지 않다. In his last and longest work, the Laws, Plato describes a state which has such distinctive features as the rule of law and the reverence for God. These features, however, cannot be properly understood without relating them to their underlying and unifying theme, that is, education. First, legislation in the Laws i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education of citizens, and the ‘preambles’, which precede the ‘texts’ of laws, are meant to persuade the citizens to cherish the spirit of laws and not to violate the commands of laws. Through the ‘preambles’, legislation aims at inculcating the virtues in the souls of the citizens. And this is the very aim that lies at the heart of the art of politics. From this point of view, punishment is conceived of as a ‘cure’ of the soul. Second, the laws have their foundation in religion. In other words, God is the source of laws, as is evident from the ‘preamble’ to the law on impiety, or the so-called ‘theology’, which can be found in Book Ⅹ. This ‘theology’ provides a basis for all other ‘preambles’ and hence for all other laws. In this view, religion could be said to be both the foundation and the completion of education, because the original purpose of legislation lies in education which culminates in the belief in God. Thus, the state described in the Laws is a theocracy and simultaneously an educational state. There is no doubt that the state of the Laws is a second-best state as contrasted with the best state of the Republic. But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former cannot be different from the latter as far as the ideal is concerned.

      • KCI등재

        誠과 敬: 성리학의 종교적 측면

        진영석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1

        There seems to be no doubt that Neo-Confucianism, not unlike classical Confucianism, might be described as having a religious character, when religion is taken to require the total commitment of a person to the Absolute. Neo-Confucianist ideas of sincerity(cheng, 誠) and reverence(jing, 敬) which can be said to have their origin in the divination of the Book of Changes, mark the culmination of Neo-Confucianism and make education or self-cultivation the central theme of Neo-Confucianism. Through their origin, the concepts of sincerity and reverence bring us to the recognition of the religious aspect of Neo-Confucianism. Sincerity can be defined as a truthful attitude to the Principle(li, 理) inside oneself, and reverence can be defined as an awful attitude to the Principle outside oneself. The Principle, in both cases, is equivalent to Heaven(tian, 天) or the Great Ultimate(taiji, 太極) which appears in classical Confucianism. In an effort to preserve the attitudes of sincerity and reverence, one’s total commitment to the Principle is required, and the effort leads the ordinary human being to the sage. These two attitudes should be maintained not only in everyday life, but also in studying the Neo-Confucianist theory of education, which directs our attention to the idea that studying the educational theory is itself a part of self-cultivation. In brief, the concepts of sincerity and reverence show that true education or true educational theory has a religious aspect in it. Moreover, in Neo-Confucianism, sincerity and reverence are the sources of all moral virtues, and so, morality is inseparable from religion. 성리학은, 선진 유학과 달리, 하나의 이론체계를 갖추고 있고, 그 점에서 때로는 종교나 종교적인 것과 거리가 먼 것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선진 유학과 다름없이, 뚜렷한 종교성을 지니고 있다. 종교의 기본적 의미를 ‘절대자에 대한 신앙’ 또는 ‘절대적인 것에 대한 전인격적 헌신’에서 찾을 수 있다면, ‘종교적 성격’이나 ‘종교적 측면’이라는 말은, 선진 유학의 ‘하늘’(天)이나 태극(太極)과 관련해서는 물론이요, 그것들에 들어 있는 문제의식을 이어받은 성리학의 理와 관련해서도 충분히 성립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리학에서의 誠과 敬은 특히 「주역」에 나오는, 占을 통한 수양과 그것의 의미에 관한 설명을 새로운 이론체계에 비추어 재해석한 결과에 해당하며, 성리학 전체를 교육의 관점에서 요약하여 보여준다. 각각 ‘자신 안의 理에 충실한 태도’와 ‘세계 안의 理를 경외하는 태도’를 뜻하는 범인의 성과 경은 절대적인 것으로서의 理에 대한 전인격적 헌신을 나타내며, 이 양자는 서로 안팎을 이루면서 범인을 성인의 경지로 이끈다. 성리학의 종교적 성격을 드러내는 성과 경의 개념은, 교육다운 교육에는 종교적 측면이 있다는 점, 나아가 교육을 설명하는 교육이론 또한 그것을 공부하는 당사자의 종교적 태도를 요구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게다가 성과 경의 개념은, 도덕다운 도덕에는 종교적 측면이 있다는 사실에도 주목하게 하며, 그리하여 결국 그 두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은, 교육의 이론은 삶 전체를 다루는 이론이라는 사실을 일깨워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의 知와 行의 관계: 주희와 왕양명의 관점

        진영석 한국도덕교육학회 2007 道德敎育硏究 Vol.18 No.2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In the field of moral education, there is a common view that students should be trained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ir knowledge and action, assuming that knowledge precedes action and that knowledge in this case refers to knowledge about moral norms. By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se two assumptions, Wang Yang-ming and Chu Hs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though their viewpoint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his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Wang Yang-ming offers the view that moral action presupposes knowledge which is equivalent to 'innate knowledge' in the Mencian sense. On the other hand, Chu Hsi's doctrine of 'knowledge preceding action', when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 idea of 'double-layer structure' which is characteristic of Neo-Confucianist way of thinking, turns out to imply the view that knowledge in its internalized state, that is, the 'unmanifested or primordial mind', naturally manifests itself in moral action. These two views agree on the point that moral education, including the realization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onsists in the pursuit of sagehood, but, unlike the former, the latter clearly shows that it consists in the cultivation of mind through learning the school subjects.on :Chu Hsi and Wang Yang-ming 도덕교육에 관한 통념에서는 ‘지행의 괴리’(‘알면서도 행하지 않는다’)를 해결해야 할 문제로 지적하는 가운데, ‘知는 行에 앞선다’는 생각, ‘知는 도덕 규범에 관한 지식이다’라는 생각을 드러내고 있다. 왕양명과 주희는 이 두 생각을 각기 다른 관점에서 교정하면서도 다같이 ‘지행의 합일’을 내세운다. 왕양명은 知와 行의 순서를 바꾸고 知를 良知로 규정하면서 ‘行의 논리적 가정이 知(良知)이다’(‘행한다면 안다고 보아야 한다’)라는 견해를 제시하는 데에 비하여, 주희는 知와 行의 순서를 그대로 두고 知를 내면화된 知로서의 ‘心性’으로 규정하면서 ‘知(心性)의 표현이 行이다’(‘안다면 자연스럽게 行으로 표현된다’)라는 견해를 제시한다. 이 주희의 견해는, 성리학의 핵심을 이루는 ‘중층구조의 아이디어’에 비추어 해석된 것으로서, 왕양명의 견해와 마찬가지로 지행 문제가 ‘훌륭한 사람’으로서의 聖人의 형성에 관한 문제라는 사실을 보여주지만, 그것과는 다르게 지행 문제가 ‘교과 공부를 통한 심성함양’의 문제로 귀착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