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 영재 판별도구로서의 읽기 메타인지 검사의 타당성 탐색

        최선일(Sun Ill Choi),진석언(Su kun Ji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3

        본 연구는 중학교 언어 영재 학생과 수학ㆍ과학 영재학생 및 일반학생들의 읽기 메타인지 능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언어 영재 학생들의 읽기 메타인지 능력이 수학ㆍ과학 및 일반학생들과 다르다는 것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반 학생 132명, 수ㆍ과학 영재 102명, 언어영재 69명에게 Mokhari & Rechard(2002)의 읽기 메타인지 검사지(MARSI: Metacognitive Awards of Reading Strategies Inventory)를 활용하여 읽기 메타인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읽기 메타인지는 영재학생들이 일반학생들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언어 영재학생은 수학ㆍ 과학 영재학생들의 읽기 메타인지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메타인지의 하위 영역인 총체적 읽기 전략은 영재학생들이 일반학생들보다 우수하였으나, 언어 영재학생과 수학ㆍ과학 영재학생들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문제해결전략과 지원읽기 전략은 영재학생들의 일반학생들에 비해 우수 하였을 뿐만 아니라 언어 영재학생들이 수학ㆍ과학 영재학생들보다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읽기 메타인지 검사는 언어 영재학생들을 판별하기 위한 도구로써 고려해 볼 수 있으며, 같은 영재집단 안에서도 언어 영재학생들이 읽기 메타인지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볼 때, 읽기 메타인지를 활용할 수 있는 별도의 언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oring the values of reading megacognition as tools for identifying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ampled 301 students, which consisted of generan students,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and gifted students in math and sciences. MARSI(Metacognitive Awards of Reading Strategies Inventory) by Mokhari & Rechard(2002) was implemented to thes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were superior to gifted students in math and sciences, as well as to general students, in terms of reading metacognition. When these three groups were compared in three sub-areas of reading metacognitive, whice are glabal reading strategies,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support reading strategies,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were better than general students in all three areas. On the other hand, gifted students in language were better than gifted students in math and sciences in two areas of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support reading strategies, but not in the area of glabal reading strategies. This implies that measuring reading metacognition can be a valid method to identifying gifted students in langu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