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PBIS) 실험연구 동향 최근 10년간(2007년 5월~2017년 3월)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장천 ( Zhang Qian ),이영철 ( Lee Young-chul ),문병훈 ( Moon Byeong-hoon ),진박승 ( Chen Boche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2007년 5월~2017년 3월) 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PBIS) 관련 중국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학술논문 사이트 검색을 통하여 28편을 최종 선정하고 논문편수, 논문유형, 지원단계, 장애학생비율, 문제행동유형, 실험기간, 실험회기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논문 편수, 논문 유형, 발행 유형 면에서 연도별 논문편수는 2014년 5편(17.9%)으로 가장 많았고, 논문 유형은 실험연구논문 12편(34.4%), 문헌연구 16편(65.5%)이었으며, 발행유형은 학위논문 5편(17.8%), 학술지 논문이 23편(82.2%)이었다. 둘째, 실험연구논문의 지원단계는 개별지원이 9편(75%)이고, 다중 지원이 3편(25%)이었다. 장애유형은 자폐증 학생 9명(52.9%), 지적장애 학생이 5명(29.4%)이었다. 셋째, 연구대상의 연령은 6~12세 11명(64.7%)이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의 성별은 남학생 13명(76.4%)이었다. 넷째, 실험연구논문의 문제행동은 방해행동 7편(20.6%), 지시위반 5편(14.7%), 자리이탈 2편(5.9%)이었다. 다섯째, 중재방법은 후속결과 중재 10편(83%), 대체기술(행동) 교수 6편(50%)이었다. 실험기간은 2개월 미만이 2편(16.7%), 2개월 이상 3개월 미만 7편(58.3%), 3개월 이상 4개월 미만 2편(16.7%)이었다. 실험회기는 10회 이상 20회 미만 2편(16.7%), 20회 이상 30회 미만 6편(50%)이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긍정적 행동지원(PBIS) 연구논문 편수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도 긍정적 행동지원이 교육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관련 규정 법제화 및 제도화, 예산 지원 및 긍정적 행동지원 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directions of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related to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PBI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May 2007-March 2017 in China, and propos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es. For this, we found 28 domestic dissertations and journals from sites to search for academic papers and presented item rates, frequencies in the tables and graphs by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5 studies(17.9%) were publised in 2014. 12 studies(42.8%) were experimental studies, 16 studies(57.2%) were literature studies. 5 studies(17.8%) were thesis, 23 studies(82.2%) were academic journals. Second, 9 studies(52.0%) were individual support levels. The subjects of 9 studies(52.9%) were autistic students, that of 5 studies(29.4%) w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the subjects of 11 studies(64.8%) were 6-12 old students, that of 13 studies(76.4%) were male. The subject of 9 studies(75%) was one participant. Fourth, the target behavior of 2 studies(5.9%) was out-of-seat, that of 5 studies(14.7%) was instruction violation, and that of 7 studies(20.6%) were disturbance behavior. Fifth, 10 studies(83.3%) reinforced consequences, 6 studies(50%) taught alternative skills. The Experimental period of 7 studies(58.3%) were more than 2 months and less than 3 months, that of 2 studies(16.7%) were more than 3 months and less than 4 months. Experimental session of 6(50%) was more than 20 times and less than 30 times, that of 3 studies(25%) was more than 30 times and less than 40 times. This study shows that studies and researches on PBIS was insufficient in China. Legislation of relevant laws, regulations and budget support for PBIS should be promoted in China. Appropriate behavioral support systems should be developed suitable for the Chinese education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