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현대 남성 농민 일기에 나타난 여성 표상

        진명숙(Jin, Myong?su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24 No.2

        이 글은 『아포일기』, 『창평일기』를 쓴 남성 농민이 여성을 어떻게 표상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첫 번째 장에서는 어머니에 대한 표상을 다루었다. 두 남성은 어머니를 ‘여성’으로서가 아닌, 효도해야 할 탈젠더화된 부모로 표상했다. 두 번째 장에서는 배우자와 딸에 대한 성역할 표상을 다루었다. 그들은 배우자에게는 가사와 육아 등의 재생산노동은 물론이고, 농업노동을 수행할 재생산노동자로 표상했으나, 딸 세대에는 전업 주부라는 성역할만을 표상했다. 마지막 장에서는 두 남성이 표상하는 바람직한 배우자상과 여성상을 다루었다. 두 남성에게 이상적인 여성상이란 헌신적이고 순종적인 배우자, 얌전하고 조신한 여성을 말했다. 필자는 조선조 유교 이데올로기뿐만 아니라, 근대화, 도시화 과정에서 진행된 가부장제의 자본주의적 변형이 두 농민의 여상 표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women are represented in modern male farmers’ private journals, named Apo Diary and Chanpyong Diary. The first chapter analyzes how the mothers of the farmers were represented in the diaries. In both diaries, the mothers were described as a degendered parent rather than a woman, who was supposed to receive a filial piety from her son.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how the gender roles of the farmers’ wives and daughters were represented in the diaries. The farmers perceived the multiple roles of their wives as a laborer for the domestic sector including housekeeping and childcare as well as for production labor in the farm, while limiting the role to a housewife for their daughters. The third chapter analyzes how the stereotypes of desirable women or wives were represented in the diaries. According to the farmers’ description, women are required to maintain calm and modest manners, and wives are supposed to be devoted and obedient to their spouses.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reaches a conclusion that the capitalist transformation of patriarchy traditionally stemming from the Confucian ideas of the Joseon Dynasty has influenced on the farmers’ perceptions on women around them.

      • KCI등재

        농촌 배후 소도시의 근현대 생활상 - 김제시 성산 일대 주민들의 생업을 중심으로 -

        진명숙(Jin, Myong-suk),김주영(Kim, Joo-young) 한국지역사회학회 2020 지역사회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배후도시인 김제시 성산 일대의 근현대 생활상을 재구성하고 그 의미를 포착하는 데 있다. 교동, 요촌동에 거주하는 주민들과의 심층면접을 토대로 지역주민의 생업에 초점을 맞춰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일제강점기 김제 지역이 식민지형 소도시로 변화하는 과정을 이해한 후 해방과 6.25를 거쳐 1970~80년대까지 이 지역에서 번성했던 상업, 정미업, 말구르마 운송업, 주류업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생업이 김제 근현대 생활사에 지닌 함의를 세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 외의 다양한 생업이 확산된 배경은 식민지형 소도시로의 전환을 이룬 일제강점기로 소급되어 설명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식민지기가 끝나고 1970~80년대까지 성산 일대가 물산, 교역 등 상업 중심지로의 기능이 유지될 수 있었던 데는 최대 곡창지대를 배후로 하는 장소성에 기인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성산 일대를 중심으로 한 김제 소도시는 자본을 투자해 부를 축적할 수 있는 기회의 장소였다는 점이다. 근현대 김제시는 도시로서의 경관을 넓혀가면서 매우 역동적인 다운타운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revisit modern life in the vicinity of Seongsan, Gimje, developed based on a rural rice-farming community, and grasp underlying meanings. The residents of Gyo-dong and Yochon-dong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and contributed their responses to generate analysis based on local livelihood. The groundbreaking step was to understand how the Gimje region transformed into a small colonial town under Japanese rule. That phase was followed by historically important events, including Korea"s liberation, Korean War, and 1970-80s, while commerce, rice milling, and Malgurma transportation and liquor industry flourished. There were three significant implications closely tied to modern life in Gimje. First, the proliferation of various professions, rather than a single concentration in agriculture, was retrospectively due to the Japanese rule since it triggered the transition into a colonial-style small town. Second, the Seongsan region past Japanese colonial rule served as a commercial hub during the 1970s and 1980s thanks to the location backed up by the country"s most extensive agricultural land. Third, the small town of Gimje, mainly in the Seongsan area, was a place of opportunity as people were able to raise wealth by investing capital. This study exposed that Gimje is expanding its urban landscape and showing vibrant dynamics of downtown.

      • KCI등재

        귀농ㆍ귀촌여성의 농촌생활 경험 분석: 진안지역 사례

        진명숙(Jin Myong-Suk),박성정(Park Sung-J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2 여성연구 Vol.83 No.-

        최근 귀농ㆍ귀촌자가 증가하면서 사회적, 정책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귀농ㆍ귀촌 여성에 대한 관심은 거의 없어, 귀농ㆍ귀촌여성의 실태와 어려움 그리고 정책요구가 전혀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진안지역 귀농ㆍ귀촌여성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해 귀농ㆍ귀촌여성들의 귀농ㆍ귀촌동기, 정체성, 자녀교육, 경제활동, 마을주민과의 관계 형성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귀농ㆍ귀촌여성들의 농촌생활 경험의 다양한 양상을 드러내보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귀농ㆍ귀촌 여성들의 농촌생활 만족도와 어려움, 그리고 성공적인 농촌 정착과 농촌 발전을 위한 활동과 역할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여성들은 귀농ㆍ귀촌의 동기를 자녀의 교육환경, 도시에서의 직장생활에 대한 회의, 생태와 자연에 대한 관심, 시골생활에 대한 동경, 가족의 행복, 좀더 나은 삶 등으로 답하고, 생활 방식과 가치의 전환을 농촌에서 찾고자 하였다. 자신들을 ‘귀농ㆍ귀촌한’ 사람이라기보다는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사’한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고, 대부분은 농촌에서 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것에 긍정적이었다. 또 농업 외의 분야에서 귀농ㆍ귀촌여성들이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찾고 있었다. 조사대상자 대부분은 마을 적응 과정에서 주민들의 과도한 관심이나 간섭을 부담스러워하거나 갈등의 요소로 여기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국은 이를 농촌의 문화나 정서 안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태도를 보였다. 귀농ㆍ귀촌은 ‘가구’ 단위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남편과 아내를 각자 주체적인 위치로 놓고 ‘사람’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귀농ㆍ귀촌을 함께 했다 하더라도 남성과 여성이 처하는 상황과 어려움은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귀농ㆍ귀촌여성들이 농촌에 정착하고, 또 귀농ㆍ귀촌이 농촌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귀농ㆍ귀촌 여성들이 자신이 지닌 역량과 재능을 농촌사회에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고, 여성들이 자기 목소리를 표출할 수 있도록 농촌사회의 문화가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As a growing number of people turn to farming or farm villages, the phenomenon draws extensive social and policy-based attention. However, as only little attention is drawn to women who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s, their actual status, the difficulties they face and policy-related demands have not been identified.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easons why such women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s, as well as their identity, education of their children, economic activities and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fellow village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women who have done so in Jinan, The objectives of this analysis are to draw a picture of the various aspects of their experience in farm villages, and thus to identify their satisfaction levels for living there and their difficulties, as well as the activities and roles required for their successful settle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se villages. Answers indicate that these women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because of a desire to provide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ir children; skepticism about their jobs and urban lives; interest in ecology and nature; yearning for a rural life; happiness for the family; and a desire for a better life. They strove to find new lifestyles and new value systems in farm villages. They saw themselves not as people who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but as those who “moved” from a city to a farm village. Most of them are positive about raising their children in farm villages. They are looking for opportunities to engage in activities other than farming. Most of the interviewees said that they felt uncomfortable or there was possibility of being at odds with local villagers when such villagers excessively paid attention to or interfered with their efforts to settle in the village. However, they conceded that they should approach such issues from the viewpoints of the culture or sentiment in the farm villag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issue of turning to farming or farm village by focusing on the “individual” - whether it is a husband or a wife - rather than each “household.” This is because men and women - even if they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together as a family - face different situations and difficulties. In order for the women who have turned to farming or farm village to successfully settle down in farm villages and to contribute to the rural community, more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o show their ability and talents in the rural community, and the culture of the rural community should change so that women can make their voices heard.

      • KCI등재

        1970~80년대 농촌마을에서의 종재와 종계의 정치사회적 의미

        진명숙(Jin, Myong-suk),이정덕(Yi, Jeong Duk) 한국지역사회학회 2016 지역사회연구 Vol.24 No.3

        This study analyzed the management pattern and the socio-political meanings of lineage property and lineage financial organization during 1970s and 1980s through ‘Changpyoung Diary’ and lineage accounting documents written by Choi Naewoo who lived in Changinli village, Imsil county, Jeollabukdo province. Three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First, there were antinomies and tensions over lineage properties. But these antinomies were not exploded but dissolved through the reciprocity and responsibility as members of blood community. Second, only existing lineage members could join in the lineage financial organization and lineage property was functioning for the interests of existing members. Third, lineage property and financial organization were closely connected to non-lineage villagers and outsiders through lineage credit system, tenancy of lineage lands, and ancestral ritual prepara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influences of lineage property and financial organization went beyond lineage members and that lineage property and financial organization were intertwined with local and regional communities and social networks. Lineage organization tried hard not only to consolidate the solidarity of its members and but also to win regional prestige in the area through the manipulation of ancestral rituals, lineage property, and financial organization.

      • KCI등재

        전주한옥마을 관광화와 ‘결사체 정치’

        진명숙(Jin, Myong-suk) 비교민속학회 2017 비교민속학 Vol.0 No.63

        2016년 11월 기준, 한옥마을 내 활동했거나 혹은 현재 활동하고 있는 단체의 수는 31개로 확인되었다. 필자는 한옥마을 관광화 전후 한옥마을을 기반으로 활동하거나, 새로 생겨난 여러 단체들을 ‘결사체(association)’로 보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은 크게 두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장에서는 31개의 결사체를 세 시기로 배치하고, 시기별로 결사체 분포의 특성을 서술하였다. 첫 번째 시기는 전주한옥마을 개발 전과 직후인 2003년까지, 두 번째 시기는 전주한옥마을 관광개발 초기인 2004~2009년까지, 세 번째 시기는 전주한옥마을 관광화가 심화되는 2010년부터이다. 첫 번째 시기는 거주지 지향의 한옥마을, 두 번째 시기는 문화예술 지향의 한옥마을, 세 번째 시기는 관광지 지향의 한옥마을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두 번째 장에서는 한옥마을 관광화 과정에서 나타난 결사체 정치의 양상을 네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는 주거 영위 원주민 집단의 ‘거주 정치’, 둘째는 관광 개발 초기 문화예술가 그룹의 ‘문화 정치’, 셋째는 관광활성화를 위한 상인 그룹의 ‘이해의 정치’, 마지막으로 전주시의 정책 실행과 명분을 위한 ‘공동체 정치’이다. 궁극적으로 다양한 결사체의 운동과 실천을 통해 한옥마을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해답을 찾아야 할 것이다. As of November, 2016, 31 associations were active in the Jeonju"s Hanok Village.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ocio-political meaning of the associations that were active or newly formed in the Hanok Village both before and after the influx of tourism development.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two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particular traits of the 31 associations are describ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time periods. The first period goes until 2003, and includes the time before tourism development had begun and the early beginning of tourism development. The second period, from 2003 to 2009, is the early stage of tourism development. During this period, the associations in the Hanok Village were oriented towards culture and art. The last period begins from 2010, when the tourism development of Hanok Village intensified. The first period reflected a resident-oriented Hanok Village. The second period reflected an artist and cultural Hanok Village. This last period reflects the Hanok Village as a tourist destination. In the second chapter, four aspects of the politics of association in the influx of tourism development are examined. First, is the residential politics that focuses on benefiting native residents. Second, is the cultural politics lead by cultural and artistic groups during the early stage of tourism development. Third is the politics of interests organized around the revitalization of tourism. The last aspect is the politics of community required for implementing and justifying the tourism policy initiated by the city of Jeonju. An answer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Hanok Village should be found through the movement and practice of a diversity of associations.

      • KCI등재

        지역공동체의 구성과 재현 - 충남 홍동지역에 관한 텍스트 담론 분석 -

        진명숙(Jin, Myong-suk)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5 No.-

        충남 홍성군 홍동면은 지역공동체 활성화의 선진지로 주목받으며 수많은 정책입안자, 마을활동가, 연구자들이 찾는 곳이다. 이 지역은 유기농업, 마을교육, 협동조합과 다양한 커뮤니티로 인해 지역공동체 표본이 되는 곳으로 평가되고 있다. 필자의 관심은 객관적 실체나 구체적 지표로 정의내릴 수 있는 개념적 산물로서의 공동체에 있지 않고, 어떤 지역이나 대상을 ‘공동체화’하는 담론에 있다. 이 연구는 공동체가 복잡한 담론적, 상징적 과정들 속에 재현(표상)되고 생산된다는 구성주의적 관점을 취하고 있다. 본문은 크게 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장에서는 풀무학교 서사로부터 출발하는 지역공동체 담론의 전개과정과 재현의 여러 양상을 살핀다. 두 번째 장은 이상촌, 지역정체성, 집단기억 및 공동체 감각을 중심으로 지역공동체 재현 담론의 구성적 힘을 다룬다. 이 연구는 홍동에 관한 방대한 텍스트를 홍동 지역공동체를 구성하고 표상하는 ‘언표의 집합체’로서의 담론물로 이해하고, 지역공동체 재현 담론의 정치적 함의를 도출한 글이다. Recognized as one of the pioneers to revitalize local communities, Hongdong in Chungnam Province has attracted many policymakers, village activists, and researchers. Hongdong has led to a variety of activities, including organic farming, village education, and cooperatives, providing a desirable example of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researcher’s interest is not in defining a community as a conceptual product by analyzing concrete entities or indicators. Instead, the researcher aims to explore discourses that communize areas or subject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relies on constructionism, which understands that a community emerges from the intricate interaction of discourse and symbolic process.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examines how the community discourse started from the Pulmu School narrative has evolved, and analyzes diverse representations revealed in this process. The second part deals with the constructive power of the discourse in the local community, focusing on the concept of an ideal village, local identity, collective memory, and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construes the vast texts about Hongdong as discursive references, which is the collection of statements that form and represent the community, and identifies what political implications this discourse has on the community representation.

      • KCI등재
      • KCI등재

        에코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귀농귀촌 여성의 토종씨앗지키기 실천 분석

        진명숙(Jin, Myong-suk) 한국농촌사회학회 2019 農村社會 Vol.29 No.2

        이 연구는 홍성, 진안, 완주 등에 거주하는 7명의 귀농귀촌 여성들의 토종씨앗지키기 실천을 에코페미니즘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본문은 총 네 장으로 구성된다. 첫 장은 토종 맛에 관한 토착지식의 재현 과정을 통해 몸에 체현된 물질성이 어떤 정치적 함의를 지니는지 살핀다. 둘째 장은 토종씨앗지키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나눔, 협력, 연대의 정치경제적 실천의 의미를 도출한다. 셋째 장은 생산자로서의 여성의 경험을 부각함으로써 근대 자본주의 가부장제의 위계적 젠더 규범을 비판한다. 넷째 장은 토종씨앗지키기를 둘러싸고 나타나는 여성들간의 정체성의 차이를 차이의 정치, 대화의 정치로 접근한다. 그 동안 토종씨앗지키기에 관한 연구는 식량위기나 종자주권과 같은 국가적 담론, 혹은 여성농민운동 영역 안에서만 논의 되어 왔다. 필자는 일반 귀농귀촌 여성의 일상적인 경험 안에서 토종씨앗지키기의 실천의 의미를 포착하고, 토종씨앗지키기가 에코페미니즘 지형 안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digenous seed preservation of seven urban-to-rural migrant women who live in Hongsong, Wanju, and Jinan in the eco-feminist perspectives. This paper consists of four chapters. The first chapter examines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materiality embodied in the body through the repeated representation of indigenous knowledge related to indigenous tastes. The second chapter derives the meaning of sharing, cooperation, and solidarity of political and economic movement to preserve indigenous seeds. The third chapter criticizes the hierarchical gender norms of modern capitalist patriarchy by highlighting women"s experience as producers. The fourth chapter applies the politics of difference to understand how the diverse identities of the women lead to tension and differences during the practice of indigenous seed preservation. Most of the prior studies on the indigenous seed preservation have been discussed only within national discourse such as the food crisis and seed sovereignty, or within the realm of the women’s agrarian movement. Expanding the insights on the topic,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indigenous seed preservation through the urban-to-rural migrant women"s daily experiences and analyzes the position and significance of the movement within the eco-feminist landsc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