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태지의(天台智의)의 경문해석

        지창규(Chang Gyu Ji)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8 佛敎學報 Vol.0 No.48

        四種釋을 통한 경문해석의 목적은 무엇인가. 그것은 깨달음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四種釋은 일반적인 경문 해석과는 큰 차이가 있다. 四種釋즉 因緣釋, 約敎釋, 本迹釋, 觀心釋으로 해석해 가는 가운데 깨달음을 얻는다는 것이 바로 핵심이다. 더욱이 `如是我聞`과 같은 한 구절만 가지고서도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이 담겨져 있기도 하다. 이러한 智의경전관의 토대는, 경전 자체를 비롯하여 경전에 나오는 모든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경전 성립의 연원을 캐기 위한 것이 아니라 경전을 그대로 佛說로 믿고 신행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경전에 대한 풀이이다. 즉 智의는 경문을 마음이라고 보는 것이다. 『法華經』의 문구해석을 통하여 경전이 바로 마음이라는 사실을 깨우치려 한다. 그런 기반 위에서 경전의 문구를 해석하는 四種釋은, 因緣釋을 통해서는 중생에게 흥미를 주고, 선심을 갖게 하며, 번뇌를 끊게 하며, 마지막으로 第一義의 진리의 세계로 귀의시킨다. 이어서 約敎釋을 통해서는 道의 세계에 들어온 중생을 점차 교화하여 장교에서 통교로, 통교에서 별교로, 별교에서 원교에 도달케 하여, 원교의 실상의 세계로 끌어 올리는 것이다. 그리고 本迹釋을 통해서는 근본의 모습을 보임으로써 새로운 안목을 갖추게 하고, 마지막 觀心釋을 통해서는 그 불타가 내 마음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四種釋을 통하여 法華經을 해석한 이유는 분명해진다. 종래 주석적 연구에서 벗어나 경전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上求菩提心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사실 경전은 바로 깨달음의 열쇠라고 할 수 있으며 또 깨달음의 척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경전을 가지고 바로 깨우치는 證悟는 바로 불교의 본령이기에, 『法華文句』의 해석법인 四種釋은 바로 佛知見을 開示悟入시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四種釋의 연구 및 활용은 깨달음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불교의 본분을 찾는 데에 적지 않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ien T`ai Buddhism is different from other sects of Buddhism. For instance, they intensively emphasis on using of [Four Varitie Ways of Analyzing : 四種釋] method to analyze the Sutras. T`ien T`ai Buddhism strongly believes that [Four Varitie Ways of Analyzing : 四種釋] method takes very important role in attaining enlightenment. What differs T`ien T`ai Buddhism from other sects of Buddhism? T`ien T`ai Buddhism enforces that there are four different ways to analyze the Sutras. T`ien T`ai Buddhism lectures that if a living being uses [Four Varitie Ways of Analyzing : 四種釋], it guarantees of achieving the enlightenment. Attain the enlightenment by using [Analyzing by cause and occasion /Analyzing by endurance / Analyzing by primarily / Analyzing by penetration of the mind : 因緣釋/ 約敎釋/ 本迹釋/ 觀心釋] are core of [Four Varitie Ways of Analyzing : 四種釋]. It is confident that one can reach enlightenment by deeply studying any of the phrases in the Sutras. Chih-i(智의) accepted and believed the Sutras as the Buddha`s preaching, and practiced its faith. Chih-i believed that Sutra itself can be subscribed as our minds. Chih-i tells us to analyze the phrases in the Lotus Sutra to attain the enlightenment using [Four Varitie Ways of Analyzing : 四種釋] method. [Analyzing by cause and occasion /Analyzing by endurance / Analyzing by primarily / Analyzing by penetration of the mind : 因緣釋/ 約敎釋/ 本迹釋/ 觀心釋] can be explained as followings; Chih-i clarifies the meanings of analyzing the Lotus Sutra by using the [Four Varitie Ways of Analyzing : 四種釋], and he tried to escape from the former ways of analyzing style. He argued that meditation was not the only way to attain enlightenment. On the other hand, one can study and deeply understanding of the Lotus Sutra is another way to attain enlightenment. Chih-i believed that Sutra itself was the key to the enlightenment, and this is what Buddhism should be, becaus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one`s mind and Sutra. As this point of view studies on the [Four Varitie Ways of Analyzing : 四種釋] can be very useful to attain the enlightenment and find the true meanings of Buddhism.

      • 『법화현의』의 관심론(觀心論)

        지창규(Chang-gyu Ji)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0 불교와 사회 Vol.2 No.-

        『法華經』의 현의를 해석하고 있는 『法華玄義』는 당초 교문 저작이라 하여 智顗의 修證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법화경』의 현의를 밝히는 데 주력하는 저작으로 이해되어왔다. 더구나 五時八敎와 같은 천태의 대표적인 교판조직이 소개되어 있으므로 일반에는 교판서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妙法蓮華經』의 玄義를 밝히면서 천태교상문의 근간을 이루는 『법화현의』에는 의외의 觀心論이 보인다. 『법화현의』는 오중현의를 七番共解와 五重各釋으로 풀이하는 가운데 칠번공해에서는 관심단을 설정하여 五番에 대한 철저한 관심을 요구하고 있고, 오중각석에서는 名體宗用敎마다 관심단을 제정하여 교상을 관심하도록 하고 있다. 칠번공해에서 관심단을 설정하여 標章·引證·生起·開合·料簡을 관심토록 한 것은 연구방법론인 칠번공해마저 관찰함으로써 敎觀相資를 취하도록 한 것이다. 이런 토대 위에 오중현의마다 관심단을 제정하여, 名玄義에서는 妙法을 圓五行과 十乘觀法 및 經觀으로, 體玄義에서는 諸法實相을 십승관법으로, 敎相玄義에서는 醍醐의 妙味를 三種敎觀으로 觀心케 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면 교문 저작인 『법화현의』에 왜 이토록 敎相 이상으로 觀心이 강조된 것인가. 이것은 『법화경』의 현의를 밝히는 교상의 단순한 이해보다는 『법화경』의 실상묘법을 수증하는 것에 궁극적 의의가 있음을 절감한 智顗가 교관겸수의 특색을 유감없이 발휘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평생 수증으로 일관한 智顗로서는 觀心이 實相妙法의 총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이상, 제법의 근본원리인 제법실상은 관문을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으나 그럼에도 관심을 하지 않는 문자의 법사를 향해 智顗는 그토록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하며 탄식하였던 것이고, 또 실상문자를 이해한 바탕위에 실상묘법에 대한 이해가 관심을 이끈다는 점에서 교상적 이해를 무시하는 암증의 선사를 향해 智顗는 뼈저린 심정으로 무척이나 애석해하고 질타했던 것이다. 『법화경』의 교상과 관법을 통해 證悟를 이룬 智顗는 敎나 觀에 치우치는 문자의 법사와 암증의 선사를 동시에 비판하면서 행인들에게 교관겸수의 가르침을 제시한 것은 분명하다. 더구나 관심을 가지고 실상묘법으로 통하는 길을 밝힌 智顗로서는 『법화현의』가 법화의 현의를 밝히는 교문저작이 라는 점에서 관심에 대한 강조에 더욱 유별난 모습을 보였다고 하겠다. 이와 같이 오중현의 전체를 통하여 開顯 뒤에 바로 觀心을 둔 것은 聞慧를 구족케 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법화현의』에서 觀心이 開顯 이상으로 중요한 축이므로 『법화현의』 전체를 통하여 觀心을 체득해가는 방법이 교상저작임에 불구하고 관심저작 이상으로 조직적으로 설명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법화현의』의 교관체계는 『법화경』의 현의를 圓融敎相과 圓頓止觀으로 해석하면서 聞慧兼修와 敎觀相資를 역설할뿐만 아니라 대소승을 막론한 불교 경전을 四敎의 교상과 관심으로 조직함으로써 복잡다단한 불교 교리와 수행을 체계화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법화현의』는 經敎와 禪觀가 절묘하게 만나는 독보적이고 탁월한 교관저작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The Fa-hua-xuan-yi (法華玄義) interprets the doctrine of the Lotus Sutra, and i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key writing about doctrine. So it is understood that the book may differ from Chih-I (智顗)’s practice, and it focuses on the demonstration of the doctrine of the Lotus Sutra. In addition, the writing describes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periods and orders of teachings such as the Five Periods and Eight Teachings, so it was known as a book of categorizing the period and order of teachings. However, the Fa-hua-xuan-yi, which is a fundamental basis of the doctrine of Tien-Tai and identifies the doctrine of Myo-beop-yeonhwa-gyeong (妙法蓮華經: the Lotus Sutra), shows a bit different view of observation of mind. The Fa-hua-xuan-yi interprets the five types of doctrines with the seven hermeneutical steps (七番共解) and the five explanations (五重各釋). The seven hermeneutical steps establish the objects of observation and demand through observation of the five steps. The five explanations establish the objects of observation in each doctrine (名, 體, 宗, 用, 敎) and demand observation of doctrines. The seven hermeneutical steps require observation of Pyo-jang (標章), In-jung (引證), Saeng-gi (生起), Gae-hap (開合), and Yo-gan (料簡). This is because by letting people observe a research method, the seven steps of interpretation, people may achieve the status of integration of a doctrine and observation. On the basis of this, the book establishes the objects of observation in each of the five types of doctrine: the doctrine of name interpretation (名玄義) suggests five perfect practices, the ten stages of meditation and the observation of sutra to observe the marvelous teachings; the doctrine of essence interpretation (體玄義) suggests ten stages of meditation to observe the true nature of dharma; the doctrine of teaching interpretation (敎相玄義) suggests the three kinds of doctrine and observation to observe the admirable Buddha nature. Then, what is the reason that the Fa-hua-xuan-yi emphasizes the observation of mind more than the doctrine? It seems that Chih-I (智顗) realizes ultimate significance of the practice of the true nature of dharma from the Lotus Sutra rather than a simple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of the Lotus Sutra, and fully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 of the integration of doctrine and observation. So,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observation of mind is a final objective of the true nature of dharma for Chih-I who paid attention to the practice throughout his life. A fundamental principle of dharma, the true nature of dharma can be achieved by observation, so Chih-I lamented over those who don’t practice the observation of mind and also sharply rebuked monks who neglect the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because,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true nature, the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dharma brings the observation of mind. Chih-I attained enlightenment through the doctrine and the method of observation of the Lotus Sutra, and criticized monks who were biased by a doctrine or a method of observation, and also presented a teaching of the integration of doctrine and method of observation to the practicing monks. Moreover, Chih-I shed light on the way to the true nature dharma with the observation of mind, and in terms of that, the Fa-hua-xuan-yi is the book of doctrine that identifies the doctrine of the Lotus Sutra, he put more emphasis on the observation of mind. As mentioned above, locating the observation of mind behind the Gae-hyun (開顯: revealing) in the five types of doctrines is to attain the wisdom by learning teachings. With this, the observation of mind occupies a central part in the Fa-hua-xuan-yi rather than the Gae-hyun (開顯: revealing). The Fa-hua-xuan-yi provides categorized explanations about a procedure of obtaining an observation of mind, even though the book is about the doctrine rather t

      • KCI등재

        천태지의와 『아함경』

        지창규(Ji, Chang-Gy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6

        천태지의(天台智顗, 538-597)에게 있어서 『아함경』이란 어떤 경전일까. 종래에는 원융사상에 경도된 지의가 아함을 소승장교라 판정하므로 그가 소의(所依)로 하는 『법화경』이나 여러 대승경전에 비해 턱없이 낮게 평가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그가 평생을 통해 이룩한 원융사상은 소승아함과는 별도로 실상을 표방하는 대승의 세계를 전개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물론 이런 견해를 전혀 무시할 수는 없지만 천태의 구조적 교관체계를 가지고 본다면 지의의 경전관을 도외시한 처사라 생각된다. 왜냐하면 지의는 항상 상대(相待)와 절대(絶待)를 가지고 모든 대소승의 경교를 개회(開會)하는 태도를 가지기 때문이다. 사실 교판을 재고해 보면 오시, 화의, 화법이라는 조직을 통해 기초교설로서의 아함의 존재가 비중있게 자리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통별의 원융관으로 아함과 대승을 하나로 잇는 놀라운 사상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의가 아함에 내린 소승장교라는 단편적 평가만을 가지고 아함을 평가절하했다고 보는 견해는 오해라고 할 수 있으며 오히려 지의의 원융적 안목을 저해하는 처사라고 하겠다. 『열반경』에 의거하는 후기 저작들은, 『대지도론』에 의거하는 전기 저작과는 달리 직접적인 방식으로 아함을 인용하거나 활용하고 있다. 『법화문구』를 통해 아함과의 관련을 살펴보면 지의가 조직한 오시경전 가운데에서도 아함이 사종석 중 장교석이나 석공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법화현의』와 『마하지관』에서는 공제를 비롯하여 사제, 십이인연과 같은 교문체계와 사선팔정을 비롯하여 공관, 사념처 등과 같은 관문체계도 아함의 교상과 지관이 그 기초를 조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함은 아라한을 이루는 성문승으로 소승의 교설이지만 지의는 그것을 바탕으로 대승의 교설 나아가 원교로 풀어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지 않으면 안된다. What was the significance of the Āgama-sutra (阿含經) to the life of Tiantai Zhiyi (天台智顗)(538-597)? Many generations of Buddhists had considered that Zhiyi, who was immersed in the idea of the Complete Interfusion (圓融), had underestimated the Āgama-sutra (阿含經) when compared to the importance he attached to Mahāyāna sutras, which included the Lotus-sutra (法華經), and had developed the idea of the Complete Interfusion (圓融) without the Āgama (阿含), because he had judged the Āgama-sutra (阿含經) to be a Hīnayāna-Tripiṭaka doctrine(小乘藏敎). We cannot refute these views. However, given the structural doctrine and practice systems of the Tiantai, this allegation would seem to ignore his perspective regarding every sutra, since Zhiyi had always revealed and combined the teaching of every Hīnayāna and Mahāyāna sutra through relative (相待) and absolute (絶待) perspectives. For this reason, we considered Zhiyis books, his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敎判), the Method of Conversion (敎相), the Forms of Meditation (止觀), and so on in relation to the Āgama-sutra (阿含經). The Āgama(阿含)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all of his books, especially his later writing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敎判), the idea of the Āgama (阿含) takes up a significant part of the organization of his books, such as the five periods (五時), the Fourfold Methods of Conversion (化儀四敎), and the Fourfold Doctrines of Conversion (化法四敎). Considering its relation to the Āgama-sutra (阿含經) through the Words and Phrases of the Lotus Sutra (法華文句), it was found that the largest part of the Four kinds of explanation (四種釋) was the Āgama-sutra (阿含經) among the other sutras of the five periods. Moreover, doctrine systems such as the truth of emptiness (空諦), the four noble truths (四聖諦), and the twelve-fold chain of causation (十二因緣) and practice systems, including the contemplation of emptiness (空觀), the four applications of mindfulness (四念處) and so on comprised the doctrine and practice of the Āgama (阿含) according to Tiantai. We should note that Zhiyi had interpreted the Āgama (阿含) as a Mahāyāna Doctrine, a Complete Doctrine (圓敎), although the Āgama(阿含) is the teaching of the Hīnayāna-Tripiṭaka doctrine (小乘藏敎), which allows Shravaka (聲聞) to reach Arhat (阿羅漢). It is safe to say that Zhiyi was the only person who declared the doctrine of the Āgama as the foundation of Buddhism since the Sui (隋) and Tang (唐) dynasties when the Complete and Sudden Teaching (圓頓) became mainstream in China. It therefore would be misleading to say that Zhiyi underestimated the Āgama-sutra (阿含經) due to the fact that he evaluated that the Āgama (阿含) as a Hīnayāna-Tripiṭaka doctrine (小乘藏敎). It would underestimate his insight into the Complete Interfusion. We could say that constructions of Buddhism encompassing Hīnayāna and Mahāyāna are the greatest achievement for accepting the principles of the Āgama-sutra (阿含經) and developing the principles of the Method of Practice as types of Mahāyāna. Nevertheless, it is a shame that so many generations of Buddhists have misunderstood this idea, thereby branding Zhiyi, who constructed the Complete Interfusion (圓融), as the man who kicked the Āgama (阿含) out of China.

      • KCI등재

        천태지의와 『열반경』

        지창규(Ji, Chang-Gy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5

        天台智顗(538-597)에게 『열반경』은 『법화경』과 비교해 어떤 경전일까. 오시 가운데 제오시를 『법화경』과 함께하는 『열반경』은, 장통별원을 모두 함께 설하는 경전이므로 純圓獨妙라 하는 『법화경』에 비해서는 비교적 낮은 정도의 경전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지의의 경전 평가는 언제나 상대와 절대의 두 측면에서 가해진다는 점에서, 지의의 『열반경』 평가가 종래에 알던 바와 같이 일방적으로 평가절하하는 태도는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 五時개현을 비롯하여 通別五時論이나 四敎一味의 개회론 등을 통해서나, 또 모든 대승경전에 삼종의 교상이나 지관이 다 설해져 있다고 하는 천태교상론을 통해서 두 경전은 우열의 차이를 갖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여 『열반경』만의 고유한 성격마저 무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 차이가 『열반경』의 존재의의를 드높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의는 『열반경』을 그의 교판이나 교관체계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 것인가. 삼대부에 보이는 교판을 비롯하여 교상이나 지관의 중추적 구성은 의외로 『열반경』의 조직에 의지하는 바가 크다. 이런 점에서 전기의 저작과 비교해 보면, 전기의 저작이 『반야경』에 의해 구성되었다고 한다면 후기의 저작은 『열반경』에 의해 재조직되었다고 해도 할 만큼 전후기의 저작에는『반야경』과 『열반경』이 대표하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삼대부에 의해 조직된 오시의 교판과 사교의 교관조직은 모두 『열반경』의 오미론과 사종론에 의해 조직되었다. 그리고 삼종교상이라 불리는 교판설도 『열반경』의 오미경문에 의거하는 것을 본다면 천태교판 및 교관의 체계는 『열반경』과는 불가분리의 관계에 있다. 그렇다고 하여 교관조직을 모두 『열반경』에 의거한 것은 아니다. 사교와 오시의 조직만을 『열반경』을 따른 것이고 그 구성에 따라 오시경전을 직접적으로 재배치한 것이다. 그럼에도 『법화현의』의 본령인 적문십묘를 보면 『열반경』의 교설에 의해 조직된 것이 매우 많고, 또한 『마하지관』의 중추인 십승관법을 보더라도 『열반경』의 교설에 의해 조직된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더구나 천태의 공가론에서 『열반경』의 四不可說이나 四可說과 같은 논리를 활용하고 있는 것이나, 일일이 열거하지 않더라도 『열반경』에 있는 많은 설과 비유를 인용하는 것을 본다면 천태체계의 측면에서 『열반경』의 존재는 『법화경』보다 오히려 크다고 할 것이다. 천태가 그 사상을 『법화경』에 의거했다고 한다면 그 조직은 『열반경』에 의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천태교관은 법화사상과 열반조직에 의해 상호보완적으로 구성되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Compared with the Lotus-sutra (法華經), how much important is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to Tiantai Zhiyi (天台智顗 ; 538-597)?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which is included in the fifth period of the five periods with the Lotus-sutra (法華經) has been underestimated compared to the Lotus-sutra (法華經), because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explains all the four types of content of Tripiṭaka, Shared, Distinct, and Perfect (藏通別圓). However, it is obvious that Zhiyi had not underestimated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since Zhiyi had estimated the sutras through relative (相待) and absolute (絶待) perspectives. Considering the disclosing the provisional and revealing the true for the five periods (五時開顯), a study of comprehension and distinction for five periods (通別五時論), structural roles of secret (秘密敎) and variable methods (不定敎), and the Tiantai teachings that every Mahāyāna sutra explains the threefold methods of conversion (三種敎相), we could figure out that Zhiyi treated the Lotus-sutra (法華經) and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equally. Even so, he didnt ign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The differences of the Lotus-sutra (法華經) and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How does Zhiyi utilize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in the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敎判) and the doctrine and practice systems (敎觀體系)? The main construction of the Method of Conversion (敎相) and the Forms of Meditation (止觀)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敎判) in the three major commentaries of the Tiantai school (天台三大部) refers to many organizations of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periods, and the doctrine and practice systems of fourfold teachings in the Tiantai tradition are organized from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敎判) and the doctrine and practice systems (敎觀體系) in the Tiantai school are inseparable from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Moreover,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affected the ten subtleties of the derivative (迹門十妙) of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sūtra (法華玄義) and the Ten Methods of Contemplation (十乘觀法) of the Great Calming and Contemplation (摩訶止觀). Furthermore, the doctrines of Emptiness (空) and Provisional Positing (假) in the Tiantai teachings use the logic of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Given that the main aspects of Tiantai doctrine and practice refer to explanations and metaphors of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we could say that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is more important than the Lotus-sutra (法華經) in the doctrine and practice systems of the Tiantai. It would be reasonable to consider that the idea of the Tiantai teaching is based on the Lotus-sutra (法華經) and the organization depends on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It is safe to say that the Tiantai teaching consists of complementary the idea of the Lotus-sutra (法華經) and the organization of the Nirvāna-sūtra (涅槃經).

      • KCI등재

        천태지의와 법화경

        지창규(Ji, Chang-Gy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1

        『법화경』이 천태교관을 구성하는 데에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은 무시할 수 없는 사실이므로 『법화경』과 천태교관과의 관계는 불가분리라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지의가 여러 대승경전의 원융원리를 다양하게 활용한 것을 보면, 천태교관과 『법화경』과의 관계는 다소 애매해진다. 절대적으로 평등하게 바라보는 경전관을 반영하는 천태교관의 토대는 당시 강남과 강북에서 각각 『열반경』과 『화엄경』에 몰두한 교계의 풍토와는 아주 다른 것이다. 사실 『법화경』이 천태의 교관체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흔히 생각하는 것만큼 그리 크지 않다. 여러 대승경전의 원융원리를 골고루 나눠 쓴 지의의 공평한 분배력이 제대로 발휘된 까닭이다. 전불교를 질서세우면서 모든 경전을 개현(開顯)하는 사상을 구현한 것은 지의의 획기적인 탈종파적 발상이 아니었다면 불가능하였으리라고 생각된다. 특히 경전을 외형적인 부류로만 구분하는 부판(剖判)이 아니라 경전 내부의 교상을 분류하고 해석하는 교판(敎判)적 이해를 통해 가능한 것 같다. 천태교판은 법화뿐만 아니라 모든 대승경전에 원교의 교상이 담겨 있다고 보는 아주 새로운 방식의 교판설이다. 법화를 비롯한 여러 경전의 사상과 체계로 오시(五時)를 비롯하여 삼종교상 및 화의사교와 화법사교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에 경전을 부류로만 판단하여 우열논쟁에 빠져있던 교계에 경종을 울린 것은 천태 교판론의 승리로 보인다. 지의는 법화삼매의 증득을 통해 『법화경』의 경의(經意)를 정확하게 읽었고 그것을 삼대부(三大部)로 구현하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그런 개현사상은 법화우월이 아니라 오히려 ‘탈법화’를 선언하게 되었고 그것으로써 그는 그때까지 누구도 해낼 수 없었던 통불교(通佛敎)를 구현해 낼 수 있었다. 그럼에도 안타깝게 후대에 들어서면 지의의 본의와는 멀어지게 되어 경전 내부를 판석하는 교상을 이해하지 못하고 부판으로만 치달아 결국 경전의 우열만을 따지는 법화제호(法華醍?)로 전락하게 된 것은 안타깝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As it is undeniable that the Lotus Sutra (法華經)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T’ien-t’ai Method of Practice (天台敎觀), they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one may consider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m became somewhat ambiguous after Chih-i(智?) actively used the principle of Complete Interfusion (圓融). The perspective of regarding every Sutra as equal that forms the basis of the T’ien-t’ai Method of Practice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Buddhism in the regions south and north of the Yangtze River in China, where much importance is placed on the Nirvana Sutra (涅槃經) and the Hua-yen Sutra (華嚴經). In fact, the influence of the Lotus Sutra on the T’ien-t’ai Method of Practice is not quite as great as one might think, mainly due to the fact that Chih-i showed fairness by equally distributing different Principles of Interfusion from several Mahayana Sutras in his works. Had it not been for the radical, boundary-breaking idea of the T’ien-t’ai,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to establish the existing order of Buddhism and embody the idea that revolutionizes all the Sutras. This was done by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the Methods of Conversion in the Sutras, not by simply categorizing the Sutras as Buddhist resources. The T’ien-t’ai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天台敎判) is a whole new way of classification that represents not only the Lotus Sutra but all the other Mahayana Sutras (大乘經典) as containing the Method of Conversion (敎相) of the Complete Doctrine (圓敎). By using ideas and systems from the Lotus and other Sutras, the T’ien-t’ai established their ideas, including the Five Periods (五時), the Threefold Method of Conversion (三種敎相), the Fourfold Method of Conversion (化儀四敎), and the Fourfold Doctrine of Conversion (化法四敎). Hence, it seems like a great achievement for the T’ien-t’ai Theory of Classification to raise the alarm for Buddhists that time, who mistakenly regarded the Sutras as types of Buddhist teachings and were preoccupied with discussing their merits and demerits. By mastering the samahdi of the Lotus Sutra (法華三昧), Chih-i accurately understood the meaning of the Lotus Sutra and devoted himself to embodying them in the Three Scriptures (三大部). This idea of enlightenment declared a separation from the Lotus Sutra rather than insisting on its superiority. Thanks to this, Chih-i became the very first person to manifest the Shared Buddhism (通佛敎). Nevertheless, it is a shame that after so many generations Buddhism has drifted away from what Chih-i intended, and now has no understanding of the Method of Conversion (敎相), which classifies the inner teachings of the Sutra, instead putting too much emphasis on discuss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Sutras, to the point of falling into the Fifth Flavor(醍?)-Centrism.

      • KCI등재

        天台四敎儀(천태사교의)와 法華玄義(법화현의)

        지창규(Chang Gyu Ji)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제관법사의 명저 『천태사교의』가 무엇에 기초해 찬술되었는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예로부터 그가 스스로 『천태사교의』마지막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삼가 천태교의 廣本을 원안으로 하여 五時八敎를 간략하게 기록하였다.”고 하는 것에서, 법화삼대부와 유마경소 등을 참조한 것으로 보이고, 법화삼대부 가운데에서도 『법화현의』를 가장 많이 참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천태사교의』와 『법화현의』와 의 관계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태사교의』에서는 五時와 化儀四敎를 함께 설명하는데 이것은 『법화현의』의 敎相章과 관계하고, 또한 化法四敎는 그 行位說을 『법화현의』의 位妙단과 관련을 맺고 있다. 장교는 『법화현의』위묘 가운데 三草를, 통교는 小木(小樹)을, 별교는 大木(大樹)을, 원교는 最實位를 따르는 것이 그것이다. 그리고 방편과 정수는 『법화현의』 보다는 『마하지관』을 따른 것이지만, 『마하지관』에서는 觀心을 중시하는 데 반해 『천태사교의』에서는 二十五方便에서 관심을 제외한 것은 매우 특이하다. 이처럼 『천태사교의』는 원융관심을 배제하고 있으며 隔歷적으로만 설명하고 있는 것도 하나의 큰 특색이다. 그것은 아무래도 『八敎大意』의 次第性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천태사교의』와 『법화현의』의 관계성이 두드러지는 부분은 바로 오시와 화의사교로 조직되어 있는 교상론이다. 비록 설명에는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는 있지만 그 교상론이 開顯論이라는 점에서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또한 화법사교도 『천태사교의』는 『법화현의』位妙와 관련을 보이는데, 비록 설명 상의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인다고 해도 계위를 통해 강조한 圓頓의 漸次說은 일치한다고 보인다. 그러므로 『천태사교의』와 『법화현의』의 관계는 직접적인 광략의 관계는 아닐지언정 『천태사교의』 마지막에서 언급하는 바와 같이 『법화현의』를 원안으로 하여 참조하였다는 점은 분명하다고 하겠다. Regarding the “Four Teachings of Tendai Sect” which the masterpiece of Priest Che-Gwan (諦觀法師) was written based on, traditionally on the ground that he mentioned in the end of “Four Teachings of Tendai Sect,” I have briefly written concerning ``Fivefold Periods`` and ``Eight Teachings`` based on the broad-version of “Four Teachings of Tendai Sect.”, It is assumed that the relevant book referred to “Three Great Works of the Lotus Sutra (法華三大部)” and “Commentary of the Vimalakirti Sutra (維摩經疏)” and the like and, furthermore, “Essentials of the Lotus Sutra” among “Three Great Works of the Lotus Sutra” is confirmed to be most frequently referred to.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Teachings of Tendai Sect” and “Essentials of the Lotus Sutra” are as follows: In “Four Teachings of Tendai Sect”, ‘Fivefold Periods (五時)’ and ‘Shakamuni``s four modes of instruction (化儀四敎)’ are explained together. This is related to ‘the Chapter on Doctrine (敎相章)’ in ‘Essentials of the Lotus Sutra’. In the meantime ‘Fourfold Doctrines of Conversion (化法四敎)’, ‘the theory of the Ranks of Training (行位說)’ is related to ‘wimyo(位妙)dan’ in “Essentials of the Lotus Sutra”. Consequently, for the above reasons, the ‘Tripi aka Doctrine (藏敎)’ follows ‘samcho (三草)’ in ‘wimyo (位妙)’ of “Essentials of the Lotus Sutra”; the ‘Shared Doctrine (通敎)’ follows ‘somok (小木)’; ‘Distinctive Doctrine (別敎)’ follows ‘daemok (大木)’, and; the ‘Complete Doctrine (圓敎)’ follows ‘choisilwi (最實位)’. Additionally, Expediencies (方便; Upaya; the ways and means of emptiness and detachment) and Samaya (正受) follow “The Great Calming and Contemplation (摩訶止觀)” rather than the “Essentials of the Lotus Sutra”. However, “The Great Calming and Contemplation”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contemplative insight into mind (觀心)’, whereas the “Four Teachings of Tendai Sect” uniquely excludes ‘contemplative insight into mind’ from ‘twenty-five Expediencies (二十五方便)’. Thus, the “Four Teachings of Tendai Sect” has a significant characteristic in that it excludes ‘perfect interfusion (圓融)’ and ‘contemplative insight into mind’ and describes only by way of ‘aspiration (隔歷)’. My opinion is that such a characteristic has some relation with ``the nature of Gradation (次第性)’ in the “Outline of Eight Divisions of the Teaching (八敎大意)”. The area in which the relation of “Four Teachings of Tendai Sect” and “Essentials of the Lotus Sutra” stands out, is precisely ‘the theory on Doctrine (敎相論)’ which is organized with ‘Fivefold Periods (五時)’ and ‘Shakamuni``s four modes of instruction (化儀四敎)’. Although they show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ir descriptions respectively, they are in the same context in that ``the theory on Doctrine’ is equal to ‘the theory on Regeneration (開顯論)’. In addition, regarding the “Fourfold Doctrines of Conversion”, the “Four Teachings of Tendai Sect” has a relation with ``wimyo`` in “Essentials of the Lotus Sutra”. Although their description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y are consistent in accepting ‘theory on Gradation (漸次說)’ in ‘complete and sudden teaching (圓頓)’ which is emphasized through ‘the ranks of training (階位)’. Therefore, the “Four Teachings of Tendai Sect” and “Essentials of the Lotus Sutra” have no direct relation of brief or detailed explanation, but nevertheless, as commented at the end of “Four Teachings of Tendai Sect”, regarding the writing of the one, it is evident that Essentials of the Lotus Sutra (法華玄義) was referred to as the original text.

      • 특집논문 : 대장경과 교판

        지창규 ( Chang Gyu Ji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08 전자불전 Vol.10 No.-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 between the Tripitaka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Laws, and Treatises) and the Classific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ill be no problem if they follow the organization and system of the Goryeo Tripitaka in deciding the directions for Hangul Tripitaka. Given that the original purport of the Tripitaka and Classification was to understand the words of Buddha as part of Buddhist methodology, it`s required to change the existing perception of the Classification. If the realistic wall for the Oshiseol is still high, however, those following alternatives can be pursued: First, it`s a good idea to adopt the doctrine of Classification by Great Buddhist Priest Wonhyo in order to have all the aspects as a Korean Tripitaka. But there are a couple of issues to be taken care of first; his writings are not whole today; it`s not easy to decide his doctrine of Classification based on a few of his writings; and most of all, there is no consistent doctrine of Classification. Secondly, you can organize Tripitaka in a systematic way by using the Oshipalgyoseol by Buddhist Priest Jegwan in Goryeo. However, it will be extremely difficul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deriving from the Classification of Tien-tai Buddhism. And finally, there is the final option of using the list by the Most Revered Priest Uicheon. Even though the list was not used in the Goryeo Tripitaka, it can be a good approach to organize Jangso around Gyeongrok like the list based on the asstumption that the Hangul Tripitaka is an imitation of the Goryeo Tripitaka. But the Sinpyin chejong kyojang chongnok (or the Uicheon List) is problematic with the Samjang organization as it`s a collection of the Gyojang of Jejong. In short, there are several problems to deal with when applying the doctrine of Classification by Wonhyo or Jegwan and the list by Uicheon right to the organization of the Hangul Tripitaka. However, the active utilization of the doctrine of Classification by our priests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can multiply the significance of the Hangul Tripitaka and enhance the pride of the Korean people.

      • KCI등재

        법화현의(法華玄義)의 실상관(實相觀)

        지창규(Chang Gyu Ji)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佛敎學報 Vol.0 No.56

        법화삼대부 가운데 하나인 『법화현의』는 오중현의를 七番共解와 五重各釋으로 해석하는 가운데 오중각석의 體玄義에서는 교문이라는 특성에 걸맞지 않게 實相觀이 상세하게 언급되고 있다. 즉 체현의에서 실상에 들어가기 위한 관법으로 十乘觀法이 四敎로 자세하게 설명되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사실 십승관법이라 하면 『摩訶止觀』 正修章에 본격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것으로서 천태관문을 대표하는 『마하지관』의 고유 관법이다. 『마하지관』은 十章으로 구성되어 있는 가운데 제6 正修章에서 관법의 중추로 十境十乘이 각각 境과 觀을 대표하면서 『마하지관』의 거의 반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경문을 四種釋으로 해석하는 『法華文句』에서도 십승관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교상저작을 대표하는 『법화현의』에서 십승관법을 설명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에 십승관법만이 실상으로 들어가는 관법이라 하는 『법화현의』 체현의에 감추어진 智의의 저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사실 『마하지관』이 십승관법의 본령이지만 『법화현의』와 같이 四敎로 나누어 조직적으로 밝히고 있지는 않다. 『법화현의』에서는 십승관법을 藏通別圓 사교로 설명하면서 조직적으로 밝히고 있고, 또 십승관법을 四門 가운데에서도 특히 有門觀으로 밝히고 있다. 또한 별교와 원교의 차이를 열 가지로 구분함으로써 원교 융섭문의 특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도 간과할 수 없는 점이다. 그런 바탕위에서 설명되는 원교의 십승관법은 생사즉열반·열반즉생사 또는 번뇌즉보리·보리즉번뇌를 가지고 그 주안으로 삼고 있다. 다시 말하면 觀不思議境부터 無法愛에 이르기까지 관법에 圓融不二의 圓理를 도입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즉공 즉가 즉중으로 관찰케 하는 것이야말로 실상에 들어서기 위한 방도임을 천명하는 것이다. 『법화현의』는 圓敎四門과 圓融十義 및 십승관법의 出典을 『법화경』으로 밝힘으로써 십승관법의 원교적 토대를 애써 밝히고 있다. 이것은 『법화경』의 현의를 밝히는 『법화현의』의 당연한 귀결이기도 하겠지만 차라리 이것은 『법화경』의 본체인 실상문을 통과한 智의의 證悟의 표명이라 보는 것이 나을 것 같다. 왜냐하면 觀心은 實相의 총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이상, 제법의 근본원리인 실상은 적어도 법행인에게 있어서는 十乘이라는 관법을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으나 그럼에도 실상관을 닦지 않는 이들을 향해 智의는 그토록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하며 탄식하였기 때문이다. 『법화경』의 관법을 통해 證悟를 이룬 智의는 敎나 觀에 치우치는 문자의 법사와 암증의 선사를 비판하면서 행인들에게 교관겸수의 가르침을 제시한 것은 분명하다. 십승관법을 가지고 중도실상으로 통하는 길을 밝힌 『법화현의』는, 교와 관이 상통하고 상자하는 그 자체만으로도 『마하지관』에서 구조적으로 밝히지 못한 십승관법의 제정이유를 그대로 드러낸다고 하겠다. The ``Fa-hua-xuan-yi (法華玄義: the Esoteric Meaning of the Lotus Sutra)``, one of the three great books of the Lotus Sutra, interprets the five types of doctrines with the seven hermeneutical steps(七番共解) and the five explanations (五重各釋). Among the five explanations, the ``Ti-xuan-yi (體玄義)``describes in detail the observation of true nature, and it is ill-matched with the characteristic of the book of doctrines. The ``Ti-xuan-yi`` fully explains the ten stages of meditation needed to enter into the status of true nature using the Four Doctrines. The ten stages of meditation are given details in the chapter of correct awakening in the ``Mo-he-zhi-guan (摩訶止觀: the Great Calming and Contemplation)``, and it is the unique observation method of the ``Mo-he-zhi-guan`` that represents the observation of Tien-Tai. The ``Mo-he-zhi-guan`` consists of the ten chapters and the sixth chapter of correct awakening, taking more than half part of the book, describes the ten objects and ten stages as the center of observation methods. However, there are no explanations about the ten stages of meditation even in the ``Fa-hua-wen-ju (法華文句: the Words and Phrases of the Lotus Sutra)`` which interprets the sutra using the four ways. So, it is an exceptional case that the ``Fa-hua-xuan-yi``, one of representative books about Buddha`s teachings, describes the ten stages of meditation. In this circumstance, this paper explores Chih-I`s (智의) argument embedded in the ``Ti-xuan-yi`` of the ``Fa-hua-xuan-yi`` that explains that the ten stages of meditation is the only way to enter into the status of true nature. In fact, the ``Mo-he-zhi-guan`` is the basis of the ten stages of meditation, but it doesn`t provide categorized explanations, as the ``Fa-hua-xuan-yi`` does. The ``Fa-hua-xuan-yi`` describes the ten stages of meditation under the Four Doctrines, which are tripitaka, shared, distinctive, and perfect doctrine;also it explains the ten stages of meditation as ``the gate of existence`` between the Four Gates. Also, it is no table that the book distinguishes the ten differences between the distinctive doctrine(別敎) and the perfect doctrine (圓敎) and emphasizes the characteristic of Yungseop-mun of the perfect doctrine. On the basis of this, the ten stages of meditation explained with the perfect doctrine focus on the fact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between birth and death and nirvana, and between agony and enlightenment. In other words, the book introduced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editation methods from the ``Gwan-bu-sa-ui-kyoung (觀不思議境: the observation objects)``to the ``mu-beop-ae (無法愛: no attachment to the Buddha`s teaching)``. With this, the ``Fa-hua-xuan-yi`` clarifies the way to enter into true nature, which is the observation through emptiness (空: Sunya), provisional existence (假: Upacara), and the middle (中: Madhyama-Pratipad). The ``Fa-hua-xuan-yi`` makes clear that the ten stages of meditation are based on the perfect doctrine, saying that the Lotus Sutra is the source of the Four Gates of the perfect doctrine (圓敎四門), the ten perfect doctrines (圓融十義) and the ten stages of meditation. This seems to be a natural consequence, but it seems more proper to consider this consequence as a demonstration of Chih-I`s (智의) enlightenment attained by passing the gate of true nature, the essence of the Lotus Sutra. The reason is tha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observation of mind is a final stage of true nature, and true nature, a fundamental principle of teachings, can be achieved by the ten stages of observation. Chih-I (智의) lamented over people who don`t practice the observation of true nature. It is clear that Chih-I (智의) achieved enlightenment with the observation method of the Lotus Sutra, presented the teaching that a doctrine and a observation method should go together, and criticized Buddhist monks who were biased by doctrines and observation. The``Fa-hua-xuan-yi`` shows the way to reach the middle pa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