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태지의와 『반야경』‒ 『반야경』은 차제인가, 원돈인가 ‒

        지창규 한국불교학회 2017 韓國佛敎學 Vol.84 No.-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Nan-yueh Hui-ssu (南岳大師, 515-577), the Prajñāpāramitā Sutra (般若經) uses the Gradual methods (漸次), while the Lotus Sutra (法華經) uses the Complete methods (圓頓). However, Tiantai Zhiyi (天台智顗, 538-597)’s definition appears to be ambiguous regarding the Prajñāpāramitā Sutra and the Lotus Sutra. According to him, the Prajñāpāramitā Sutra was sometimes understood to be at a lower level than the Lotus Sutra because the Prajñāpāramitā Sutra belonged to the Complete Doctrine (圓敎), the Shared Doctrine (通敎) and the Distinctive Doctrine (別敎), while the Prajñāpāramitā Sutra and the Lotus Sutra were sometimes regarded by him as practically at the same level. Then, how did Zhiyi actually utilize the Prajñāpāramitā Sutra? As we look closely at Zhiyi’s Doctrine (敎相) and Meditation (止觀), his Doctrine has a lot of relevance with the Prajñāpāramitā Sutra’s teaching of the Middle Way (中道思想), doctrine, meditation, and so on. Especially, his theory of the Middle Way (中道論), including the four terms of differentiation (四句分別), has a strong relevance to the Prajñāpāramitā Sutra. In addition, his doctrine of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sūtra (法華玄義) was based on the Three Truths (三諦) and the Two Truths (二諦), under the influences of the idea of the Middle Way of the Prajñāpāramitā Sutra. Moreover, the Destroying Attachment (破法遍) has a large proportion as a method of meditation in the Great Calming and Contemplation (摩訶止觀), which is ascertained to be based on traits of the meditation in the Prajñāpāramitā Sutra. In this regard, we might say that Zhiyi utilized the Lotus Sutra to set up his idea in its external side through the theory of reality, while he established his idea in its internal side through the theory of the middle way in the Prajñāpāramitā Sutra. 남악혜사는,『반야경』과『법화경』을 비교하여 반야는 점차이고 법화는 원돈이라 규정하였다. 이에 비해 혜사의 제자인 천태지의(天台智顗, 538-597)는『반야경』과『법화경』에 대한 규정이 다소 불분명하다. 원교에다가 통교와 별교를 겸하는 경전이므로 지의가 소의(所依)로 하는『법화경』에 비해서는 낮은 정도의 경전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되기도 하고, 또『반야경』과『법화경』은 대동소이하다는 평가가 그것이다. 이렇게 엇갈리는 견해에 대해 삼종의 교상과 지관체계를 가지고 보면,『반야경』과 다르다고 하는 것은 부(部)의 측면에 따른 해석이고『반야경』과 같다는 것은 교상적인 측면으로 해석된다. 그렇다고 하면 지의는, 두 경전의 높낮이를 재려고 했다기보다는 두 경전의 교화상을 주목한 것이 된다. 그러면 이러한『반야경』을 지의는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그의 교관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면,『반야경』의 중도사상을 비롯하여 교상이나 지관과 많은 관련을 갖고 있는 점이 파악된다. 특히 사구분별(四句分別)이나 사운추검(四運推檢) 같은 중도론은『반야경』에 힘입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법화현의』에 보이는 교상은 아무래도 삼제와 함께 이제(二諦) 도 함께 기반한다는 점에서『반야경』의 중도적 교상성에 의지하는 바가 크다. 또한 『마하지관』에 보이는 지관도 파법편(破法遍)이 큰 비중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반야경』에 의지하는 바도 적지 않다. 이렇다면 천태의 중도적 교관은『반야경』에 의해 중도론을 비롯하여 내외적인 체계가 조직되었다고 할 것이다. 천태가『법화경』으로 외적으로 실상론이 만개하였다고 한다면 내적 조직은『반야경』의 중도론에 의해 체계화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나아가 법화와 반야가 상호보완적으로 구성되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천태지의와 화엄경 - 華嚴別圓說을 중심으로 -

        지창규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69 No.-

        What does Avatamska Sutra, or the Flower Adornment Sutra, mean to Tientai Zhiyi? It is understood that the Flower Adornment Sutra is not as supreme a scripture as the Lotus Sutra which he held to be the supreme synthesis of Buddhist doctrine and relied on, since the doctrine of the Lotus Sutra is not only the perfect, unsurpassed, and comprehensive teaching but also the distinct or differentiated Bodhisattva teaching for the lesser minded, as he appreciates it. It does not mean that this understanding is exceedingly unreasonable, but with respect to the systematic doctrines of Cheontae, or Tientai, his view of the scriptures is thought of as being neglectful. This is because Zhiyi analyzed and organized all the doctrines of sutras and founded the Tiantai school with absoluteness and relativity. That is, it is clear that as his appraisal of the Flower Adornment Sutra has both the absolute and relative aspects, and moreover an absolute aspect is his ultimate conclusion, it is not necessarily a biased underestimation, as understood in the past. In this respect, as a result of overall examination of his view on the doctrine with focus on the relation of Zhiyi and the Lotus Sutra, his works, critical classification of the various doctrines of Buddhism, Wonyung thought, or perfect harmony thought, and Jigwan, or tranquility in medita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perfect unification thought in the Flower Adornment Sutra. Furthermore, it is observed that his view is not only organized by the Flower Adornment Sutra, since it does not embrace the perfect unification principle of this sutra itself, but the principles of all the sutras in the Mahayana, the Greater Vehicle. Although it is clear that Zhiyi owes his doctrine of the perfect harmony to the Flower Adornment Sutra, attention must be paid to his sincere confession, "what is acquired by interest is proven by scriptures." Therefore, the opinion that he underestimates the Flower Adornment Sutra can be misleading and misinterprets his appreciative eye of harmony or unification.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he has contributed for later generations to understand the Flower Adornment Sutra widely and deeply by quoting the sutra and making use of the unification principle. 天台智顗(538-597)에게 『화엄경』이란 어떤 의미일까. 종래에 智顗가 『화엄경』에 대해 평가를 내린 바와 같이 화엄은 원교에다가 별교를 겸하는 경전이므로 지의가 所依로 하는 『법화경』에 비해서는 낮은 정도의 경전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되었다. 물론 이런 견해가 아주 타당성이 없는 것은 아니나 천태의 圓融적 교관체계나 開顯論적 교판체계 및 圓頓止觀論 등을 가지고 비춰본다면 지의의 평등적 경전관을 무시하는 태도라고 생각된다. 이런 점에서 지의와『화엄경』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지의의 교관체계를 총체적으로 재고해 보았다. 五時八敎로 구성된 교판론에서 지의는 항상 相待와 絶待를 가지고 모든 경교를 가리며 최종적으로는 絶待開會하려는 태도를 지니고 있는데, 지의의 『화엄경』 평가는 상대와 절대의 두 측면에서 이루어진다고 볼 때, 지의의 화엄 평가가 종래에 이해했던 바와 같이 편향적으로 평가절하되었다는 태도는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 반면에 장통별원의 사교 가운데 화엄은 별원이교를 설한다는 점에서 오히려 천태의 별교와 원교가 화엄에 의해 주로 조직되고 체계화된다는 점은 종래에 주목하지 않은 점으로서 지의의 교학사상 특필할 만 하다고 하겠다. 또한 圓融三諦와 一念三千 및 三法無差로 대표되는 원융교상론이나, 一心三觀과 같은 원돈지관론 등에서 『화엄경』의 ‘一卽多 多卽一’의 원융사상과 매우 많은 관련을 갖고 있는 사실도 파악된다. 그러나 그것은 화엄의 원융원리 그대로가 아니라 『유마경』의 생사즉열반론, 반야경의 一心具萬行論, 『법화경』의 開會論, 『열반경』의 佛性論 및 四句論 등 모든 대승경전의 여러 원융원리를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원융적 교관은 『화엄경』을 비롯한 여러 경전에 힘입고 있는 것은 분명하나 지의가 스스로 “觀心에 의해 획득된 것을 경전에 의해 증명해 보인다”고 하는 솔직한 심정 고백도 경청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이런 측면에서 지의가 『화엄경』에 내린 원별이라는 평가만 가지고 『화엄경』을 평가절하했다고 보는 견해는 지의의 화엄경관에 대한 오해라고 할 수 있으며, 지의의 원융적 관심적 안목을 오히려 곡해하는 처사라고 하겠다.

      • KCI등재

        法華玄義의 三種敎觀論 - 摩訶止觀과 관련하여 -

        지창규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6 No.-

        점차교상․부정교상․원돈교상이란 각각 다른 교상이 아니라 『法華經』속에 담겨져 있는 세 가지 교상이란 점이다. 다시 말하면 『法華經』속에는 점차교상․부정교상․원돈교상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즉 원돈교상만이 『法華經』의 교상이 아니라 나머지 두 개의 敎相도 모두 『法華經』에 담겨진 敎相이란 점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어떤 대승경전이라도 모두 三種敎相을 갖고 있는 것이 된다. 이런 맥락에서 三種止觀도 『法華經』에 다 있는 지관법이 된다. 뿐만 아니라 모든 대승경전에 다 담겨져 있는 止觀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점차지관․부정지관․원돈지관이란 원래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점차지관․부정지관․원돈지관의 형식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次第禪門』에 있는 많은 수행법이 단지 漸次止觀이 아니라 닦기에 따라 부정지관도 되고 원돈지관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로 『摩訶止觀』에 있는 모든 수행법도 그대로 원돈지관이 아니라 닦기에 따라 점차지관도 되고 부정지관도 된다는 것이다. 또한 六妙法門 에 있는 數隨止觀還淨도 그대로 不定止觀이 아니라 닦기에 따라 점차지관도 되고 원돈지관 도 된다는 것이다. 특히 三種敎相과 三種止觀의 체계적 확립은 三大部 가운에서도 『法華玄義』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法華玄義』는 단순한 교문 저작이 아니라 그 귀결은 철저하게 觀心으로 끝난다고 할 때, 관심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단지 이 책이 『法華經』의 현의를 드러낸 저작이기에 교리에 치중하는 듯하지만 敎觀을 하나로 하는 속성이 그대로 배어있는 최초의 저작이라고 하겠다. 특히 觀心이야말로 『法華玄義』의 마지막 귀결인데, 觀心이라 하는 것이 경전을 토대로 한다는 점에서 智顗의 禪觀을 파악이 된다. 이런 점에서 『法華玄義』야말로 智顗의 觀心 특색이 담겨져 있는 좋은 관문 저작이라고 하겠다. Gradual, Variable, and the Complete Method of Conversion are not considered as separate Method of Conversion in 『Lotus Sūtra(妙法蓮華經)』,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names. Therefore 『Lotus Sūtra』 has the ideas of all three Method of Conversion. From this point of view, it means that all the Mahāyanā Sūtra contains the ideas of the Gradual, Variable, and the Complete Method of Conversion. Which means that Three Forms of Meditation (三種止觀) are also can be found in all the Mahāyanā Sūtra, not only in 『Lotus Sūtra』. With the understandings of the ideas above, Gradual, Variable, and the Complete Method of Conversion does not stay with the settled position, but they changes with the different formations. The text 『차제선문』named after its characteristic, but this doesn't mean this text contains only Gradual Method of Practice. 『마하지관』, and 『차제선문』teaches Complete and Variable Methods to practice meditation, however their methods of practice meditation can be changed with the different systems, forms, and way of practice, therefore Gradual, Variable, and the Complete Method of Practice has not only stay with its characteristics after their names. Philosophical systems of Gradual, Variable, and the Complete Method of Conversion and Three Forms of Meditation established through the text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妙法蓮華經玄義)』.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妙法蓮華經玄義)』isn't the text only for the doctrine(敎門), the consequence of this text is the 'Contemplative insight into mind(觀心).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妙法蓮華經玄義)』 may appears as the Profound meanings of the 『Lotus Sūtra』which many people misunderstand this text as the doctrines of the 『Lotus Sūtra』. But Chih-i(智顗) tried to put doctrine and meditation together throughout the text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妙法蓮華經玄義)』). Contemplative insight into mind(觀心)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妙法蓮華經玄義)』, Chih-i tried to clear the ideas of the Contemplative insight into mind(觀心) based on the Sūtra. For this reason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妙法蓮華經玄義)』is the great work of Chih-i also throughout this text we could understand Chih-i's standpoint of meditation.

      • KCI등재

        天台의 十二因緣論

        지창규 한국불교학회 2008 韓國佛敎學 Vol.51 No.-

        The most fundamental doctrine in Buddhism is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十二因緣論) with The Four Noble Truths (四諦). It is because that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appears as a main doctrine with Mahayana Sūtra as well as the early's Sutra.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which is included in most doctrines of Buddhism is interpreted in the respect of Mahayana after converting in the Mahayana Sūtra. In spite of that if you understand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Mahayana Sūtra only with respect of the early's Buddhism, it will be misunderstanding. It was Great Monk T'ien-T'ai (天台大師) in China who realized understanding in the respect of Mahayana on the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Chih-i (智顗) organized entirely a view on the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with those of The Four Noble in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 (法華玄義).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by T'ien-t'ai are not simple interpretations about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on the early day's anagamin but an interpretation which unfolded itself without distinction of Mahayana or Hinayana Sūtra. So to speak, T'ien-'ai put together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the early's anagamin or Abhidharma discourse with those of the Arising and Perishing (生滅), he organized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on the emptiness idea of the Wisdom with those of the Non-arising (無生), he made clear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by emphasizing on the mind along with non-substantiality·provisional existence·the middle (空假中) with those of the Innumerable and he explained Twelve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on the Complete and Get into One (圓融) which become non-substantiality ·provisional existence·the middle into one with those the Actionless (無作). That is, he has systematically organized Twelve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with the Arising and perishing·Non-arising·Innumerable·Actionless. Twelve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by T'ien-t'ai are not only to enumerate but also to open revealing (開顯) and contemplate insight into mind. They were made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on the Real Substantial (實相) bear again by opening revealing and revolve into one's mind by contemplating insight into mind (觀心). It means the recovery on the original sense of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As you see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by T'ien-t'ai are worth saying an recreation of those as a different level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early's anagamin. As well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re are at least no theories on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compare with it. 사제와 더불어 가장 기본적인 불교 교리는 十二因緣이다. 십이인연은 붇다의 깨달음이기 때문이다. 초기경전을 비롯하여 대승경전에 이르기까지 항상 등장하는 십이인연을 대승경전에서는 대승적으로 변환시켜 해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대승경전에 나오는 십이인연을 가지고 초기불교의 관점으로만 국한시켜 이해한다면 그것은 오해라고 할 수 있다. 십이인연에 대한 대승적 이해가 어려운 상황에서 그것을 실현한 이는 중국의 天台智顗이다. 智顗는 『법화현의』에서 사종의 십이인연을 통해 일체경의 모든 십이인연설을 정리하였다. 단순히 초기 아함의 십이인연만이 아니라 대승까지도 막론한 십이인연을 모두 받아 들여 네 개의 형식에 따라 정리한 것이다. 즉 초기 아함이나 아비달마논서에서 나오는 십이인연을 천태는 生滅의 십이인연으로 묶고 있으며, 반야공사상에 의한 십이인연을 천태는 無生의 십이인연으로 정리하고 있고, 공가중으로 이어지면서 마음을 강조하는 십이인연을 천태는 無量의 십이인연으로 밝히고 있으며, 공가중이 하나로 되는 원융의 십이인연을, 천태는 無作의 십이인연으로 설명하고 있다. 生滅의 십이인연·無生의 십이인연·無量의 십이인연·無作의 십이인연으로 나눈 천태의 십이인연은, 경전과 교설의 특색에 따라 일체의 십이인연을 정리하였다고 할 것이다. 또한 그것을 단순히 나열하는데 그치지 않고 경전에 근거하여 開顯하고 觀心하고 있다. 開顯함으로써 십이인연을 實相의 십이인연으로 거듭나게 하고, 觀心함으로써 십이인연을 자기 마음으로 돌리고 있다. 십이인연의 본연의 뜻이 되살려진 것이다. 이와 같이 천태의 십이인연은 초기 아함에 머무는 십이인연론과는 전혀 차원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대승 십이인연의 창조적 계승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