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리아졸계 살균제가 크리핑벤트그래스 생육과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지재욱,천세철 한국잔디학회 2022 Weed & Turfgrass Science Vol.1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triazole-based fungicide on growth inhibition when used in the summer (period of growth decline) and spring or autumn (period of activ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in the field. Among all the fungicides tested in the present study, the metconazole and tebuconazole both as liquid formulation showed the most excellent effects on the plant growth inhibition of creeping bentgrass, and the improvement of leaf color and shoot quality. Also, those two fungicides had similar effects each other on the suppression of shoot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on the improvement of turfgrass quality in both spring and summer, and on the antifungal effect suppressing the number of fungi in the soil. However, both fungicides showed less quality of leaf color and less ability to suppress the growth of aboveground parts than those of the trinexapac-ethyl as a liquid formulat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tebuconazole and metconazole application in the field were effective on suppressing above the ground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on reducing the number of fungi in soil, and on the improvement of leaf color regardless of the season. 본 연구는 현장에서 트리아졸계의 살균제를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여름(생육 쇠퇴기)과 봄 또는 가을철(생육 최성기) 에 사용했을 때 생육억제 효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포트 실험에서는 트리아졸계의 살균제 중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초장 생육억제 효과와 엽색 및 잔디 품질 향상에 메트코나졸 액상수화제와 테부코나졸 액상수화제가 가장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포장 실험에선 테부코나졸 액상수화제와 메트코나졸 액상수화제가 봄, 여름 모두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지상부 생육 억제 및 잔디품질 향상에 비슷한 영향을 미쳤으며, 토양의 진균 개체 수를 억제하는 항균효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두 약제 모두 트리넥사팍에틸 액제보다 낮은 엽색과 지상부 생육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포장실험에 사용된 테부코나졸 액상수화제와 메트코나졸 액상수화제는 계절에 관계없이 대체로 농도가 높아질수록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지상부 생육억제, 엽색 그리고 진균억제에 효과적이었다.

      • KCI등재

        천연잔디학교운동장 조건에서 봄방학 및 여름방학 중 제초제 살포와 주기적인 예초 조합의 제초효과 평가

        장석원,김신후,지재욱,음형주,김호영 한국잔디학회 2023 Weed & Turfgrass Science Vol.12 No.2

        The occurrence of weeds in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is the biggest concern for playground managers. Pesticide use is very necessary because many schools lack the manpower and budget for playground management. Many schools do not use pesticides for safety reasons during the semester, but use manual weeding or use herbicides mainly during summer vacation. In this study, for safer and more efficient weed management in the school playgrounds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 various herbicide combinations during spring break (late February) and summer vacation (late July) and a mowing height treatment of 30 mm once a month and evaluated the herbicidal effect. All herbicide-treated plots showed lower weed occurrence and higher shoot density compared to monthly mowing treatment or non-treatment. Among the herbicide treatments, soil-spraying herbicide (spring break) + foliar spraying herbicide (summer vacation) + mowing once a month showed the lowest value in weed species, weed population, and total fresh weight of weed plants, and the highest shoot density. Mmowing once a month was not effective 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ed species and population reduction compared to no treatment plot. In all treatments of Z. matrella field, the shoot density was higher than that of Z. japonica field and the occurrence of weeds was less. In Z. matrella field, soil spraying herbicide (spring break) + monthly mowing combination showed a similar weeding effect to the herbicide treatments twice. This study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manage weeds by spraying herbicides once each during spring break and summer vacation in Z. japonica and Z. matrella playgrounds. In particular, when the shoot density of turfgrass is high, it is suggested that soil spraying herbicide (spring break) + mowing once a month will be effective. 천연잔디학교운동장에서 잔디 생육기 중에 잡초의 발생은 운동장 관리자들에게 가장 큰 고민거리이다. 많은 학교에서 운동장 관리에 소요되는 인력과 예산이 부족하기 때문에 농약의 사용은 매우 불가피하다. 많은 학교에서는 학기 중에는 안전상의 이유로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인력 제초하거나 주로 여름방학 중에 제초제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들잔디와 금잔디로 된 학교운동장 조건의 포장에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잡초관리를 위하여 봄 방학(2월 하순) 및 여름방학(7월 하순) 제초제 살포 그리고 매월 1회 30 ㎜ 예고의 예초 처리구를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하여 제초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든 제초제 처리구가 매월 1회 예초 처리구나 무처리구에 비해 낮은 잡초 발생과 높은 지상부 밀도를 보였다. 제초제 처리구 중 토양살포형 제초제(봄방학) + 경엽처리형 제초제(여름방학) + 매월 1회 예초 조합에서 발생 잡초 초종, 잡초 개체수, 잡초 생체중에서 가장 낮은 값과 가장 높은 지상부 밀도를 보여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매월 1 회 예초는 잡초 초종과 개체수 감소에서 무처리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어 효과적이지 않았다. 금잔디 포장의 모든 처리구에서 들잔디 포장보다 지상부 밀도가 높고 잡초 발생이 적었다. 금잔디 포장에서는 봄방학 토양 살포형 제초제 살포 + 매월 1회 예초 처리구가 제초제 2회 처리구와 비슷한 제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로부터 들잔디 및 금잔디 학교운동장에서 봄방학과 여름방학에 제초제 각 1회 살포로 잡초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운동장 잔디의 지상부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봄방학 토양 살포형 제초제 살포 + 매월 1회 예초도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추석 전 잔디 깍기(벌초) 시기 및 높이에 따른 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

        장석원,구준학,성창현,이정호,박소준,지재욱,윤정호,Chang, Seog-Won,Koo, Jun-Hak,Sung, Chang-Hyun,Lee, Jeong-Ho,Park, Sho-Jun,Jee, Jae-Uk,Youn, Jeong-Ho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8 Weed & Turfgrass Science Vol.7 No.2

        우리나라에서 벌초는 추석 성묘와 시향에 앞서 이루어지는 매우 중요한 행사이다. 벌초는 보통 추석 1-2주 전에 집중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도로의 교통체증이 심해지고 안전사고의 발생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잘못된 벌초 방법은 흙이 드러나 토양 유실을 유발하거나 묘지 잔디의 밀도 저하와 잡초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다라서 벌초시기의 분산과 올바른 벌초 방법은 매우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벌초 시기는 추석 1주전, 2주전, 3주전, 4주전 잔디 깍기 처리를 두었고, 벌초 방법에서는 잔디 깍는 높이를 달리하여 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들잔디에서 추석과 시향 시기를 기준으로 잔디 깍기 시기는 빠를수록 초장이 길었으나 피복률과 밀도는 높은 경향이었다. 금잔디에서 잔디 깍기 시기는 빠를수록 초장이 길었으나, 피복률과 밀도는 각각 차이가 없거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들잔디에 비해서 금잔디의 초장은 잔디 깍기 시기에 관계없이 짧게 유지되었으며 피복률과 밀도도 높게 유지되었다. 벌초는 들잔디와 금잔디 모두 짧게 할 수록 초장이 짧아졌고, 피복률과 밀도도 낮아졌다. 또한 벌초 시 들잔디와 금잔디는 각각 지상부의 40-50 mm or 30-40 mm 남겨둘수록 묘지 잔디의 밀도유지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Korea, mowing the grass of a grave (Beolcho) is a very important event preceded by Chuseok (Korean thanks giving day) and Si-Hyang (annual ancestral feast). Because Beolcho usually takes place one or two weeks before Chuseok, the traffic accidents on roads are getting worse and safety accidents are getting more and more. Erroneous Beolcho methods can cause the soil to be exposed and cause the loss of soil or the low shoot density of graveyard grass or weed occurrence. Therefore, the dispersion of the Beolcho timing and the approprite method can be import issu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grass mowing timing and height before Chuseok on the growth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The mowing timing was evaluated at 1 week, 2 weeks, 3 weeks, and 4 weeks before Chuseok, and the mowing heigh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wo type of grass. In Z. japonica, the faster mowing before Chuseok, the longer the plant height, and the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were higher. In Z. matrella, the faster mowing, the longer the shoot length, but the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did not show any difference or tendency. As compared to Z. japonica, the plant height of Z. matrella was kept short regardless of the time of mowing. In both grasses, the plant height was shortened when mowing was done at low cutting height, but the coverage rate and shoot density were decreased.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it is advantageous to maintain the shoot density of graveyard lawn by 40-50 mm or 30-40 mm cutting above the ground for Z. japonica or Z. matrella, respectively.

      • KCI등재

        우리나라 묘지의 잔디 관리 실태 조사 연구

        장석원,이정호,권병석,홍점규,박소준,변재복,지재욱,Chang, Seog-Won,Lee, Jeong-Ho,Kwon, Byeong-Seok,Hong, Jeum Kyu,Park, Sho-Jun,Byun, Jae-Bok,Jee, Jae-Uk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묘지 잔디 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등록된 묘지 관리 대행 업체, 산림조합중앙회, 농협(단위 농협)으로부터 묘지관리에 대한 정보를 직접 받거나 설문을 통해 자료를 얻은 다음 정리, 분석하였다. 조사한 모든 지역에서 개인 및 가족 묘지는 $66m^2$ (20 평)을 기준으로 관리되었다. 묘지 관리는 연 1~5회 이루어졌고, 1회 관리(벌초)가 가장 많았으며, 횟수가 늘어날수록 관리 비용도 높아졌다. 벌초는 주로 추석 직전에 이루어졌다. 벌초 비용은 지역별로 경기도가 가장 높았으며, 전라도가 가장 낮았다. 산림조합중앙회와 농협 자료를 토대로 벌초 대행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해가 갈수록 의뢰 횟수는 늘었고, 가격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연도에 관계없이 경남 > 경북 > 전남 순서로 의뢰 횟수와 금액이 많았다. 벌초의 의뢰는 의뢰자가 묘지로부터 멀리 살기 때문인 이유가 대부분이었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봉분의 방향은 매우 다양하였다. 묘지의 잔디는 들잔디(Zoysia japonica)였으며, 시도별 묘지의 잔디 밀도는 35.4~71.9% 범위였다. 많은 묘지에서 잔디 밀도가 낮은 이유는 잡초나 낙엽 등에 대한 주기적 관리가 미흡했기 때문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묘지 잔디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current study, we surveyed the status of graveyard lawn maintenance in Korea. The lawn maintenance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vicarious companies registered on the internet portal site and the Forestry Federation of Korea, and the questionnaire investigation from Primary Agricultural Cooperatives (Nonghyup). In all provinces surveyed, individual graves were maintained on a $66m^2$ (20 Pyeong) basis. The vicarious maintenance of graveyard lawn was carried out 1~5 times a year, and the maintenance cost increased as the number of times increased. Mowing the grass around a grave (Beolcho) was mainly done before the Korean Thanksgiving Day (Chuseok). The number of Beolcho was steadily increased from 2013 to 2015, and the price was getting higher and higher. Gyeonggi province had the highest cost, and Jeolla had the lowest cost. Regardless of the year, the number of orders received were higher in Gyeongnam > Gyeongbuk > Jeonnam province in order. Most of the reason for requested Beolcho was because the client lives in the area far from the graveyard. The direction of the cemetery was very varied. According to the survey, the all grass were zoysiagrass (Zoysia japonica), and grass coverage rate of the graves was 35.4~71.9%. Through questionnaire investigation, the reason why the density of grass was lowered was because the periodic management of weeds and fallen leaves was insufficient. Further research on the maintenance of graveyard in the future will be necessary.

      • 군 자살자에 대한 국가보훈 및 국가배상 연구

        김민영 ( Kim Minyoung ),김윤진 ( Kim Yoonjin ),신주영 ( Shin Juyeong ),이도감 ( Lee Doe Gam ),정동일 ( Jung Dongil ),지재욱 ( Ji Jaewook )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연구센터 2017 공익과 인권 Vol.17 No.-

        자살사고는 군대 내 사망사고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해왔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자살사고가 발생한 주요 원인을 망인의 개인적 원인에서 찾으며 군대라는 환경적 원인은 축소해 왔다. 하지만 군대의 폐쇄성·비자발성 등 의무복무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군대 내 자살은 군대라는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보상체계는 자살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다른 군대 내 사망자와 달리 국가의 책임을 축소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첫째 다소 복잡한 군대 내 자살자에 대한 보상절차를 분석하였고, 둘째 이 과정에서 국가의 책임이 옅어지고 군대 내 자살자가 현저한 불이익을 받는 부분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군대 내 자살자에 대한 보상절차는 크게 국가유공자 및 보훈보상자 보상 제도, 국가배상 제도, 군인연금법에 의한 사망보상금 및 유족연금을 받는 방법이 존재한다.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단서가 적용되는 경우 다른 법령과 국가배상법의 관계는 ‘다른 법령’에 따라 보상을 지급받을 수 없을 경우에만 국가배상을 신청할 수 있는 보충적 관계를 형성한다. 현 보상체계에 대한 문제점으로 첫째 국가유공자 및 보훈보상대상자 보상제도에 따른 보상을 받기 위해서는 직무수행 혹은 교육훈련과 자살 간 상당인과관계를 원고가 증명해야 한다는 점이 있다. 군대는 위계질서에 의해 통제되는 폐쇄적 집단이기에 군대와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외부인의 접근이 쉽지 않아 증거가 은폐되기 쉽다. 보훈보상자법의 제정 목적 및 성질, 가해자의 위험영역 내에서 발생한 사고의 경우 가해자에게 증명책임을 부과하는 위험영역이론을 고려할 때 상당인과 관계에 대한 증명책임은 원고가 아닌 국가가 부담해야 한다. 둘째 망인의 유족이 국가배상법을 통해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경우 과실상계가 문제된다. 군 자살자에 대한 국가배상 판례들을 보면 통상적으로 자살자에 대한 과실을 70~80%로 책정하여 배상의무자인 국가의 책임을 20~30%로 제한하고 있다. 의무복무라는 특성상 같은 법리가 적용되더라도 군 자살자 사건들은 다른 사안에 비해 국가의 책임이 더 막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위참가자 국가배상에 관한 판결, 산업재해피해자 국가배상에 관한 판결 및 기타 환경에서의 자살에 관한 판결과 비교해보면 군대 내 자살자에 대한 국가배상의 과실상계비율은 지나치게 높다. 적어도 다른 손해배상 유형들과의 형평에 맞도록 원고 측 과실을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방의 의무를 다하고 있는 나의 가족, 나의 친구가 있는 군대를 건강하게 지켜나가는 것 또한 우리 사회를 안전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군인들의 자살을 최소화시키는 노력과 더불어 자살한 군인들에 대한 사후적 보상도 제대로 갖춰놓아야 한다. 이를 위해 ①자살군인에 대한 보훈보상체계를 정비하고 입증책임을 전환하며 ②국가배상에서의 과실상계 인정비율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낮추기를 제안한다. Among soldiers' death, death by suicide accounts for the largest proportion, reaching 65% of the total.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finds key cause of suicide exists in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personal aspects of the deceased, minimiz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However, considering the closed environment of the military and compulsory military service which excludes spontaneity,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military have no less effect on suicide. Nonetheless, compared to other deaths, the current compensation system does not fully compensate suicides as the nation abandons its responsibility. Based on this critical context, this article first looks through the relatively complicated compensation procedures for suicidal soldiers. Second, it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unbalanced system which imposes huge disadvantages to a suicidal soldier and advantages to the government.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alternative solutions to the pointed problems. The compensation for suicidal soldiers consists of the assistance according to Act on the Honorable Treatment Support of Persons, etc. of Distinguished Services to the State and Act on Support for Persons Eligible for Veteran’s Compensation, the compensation according to State Compensation Act and pension given to the bereaved family according to Military Pension Act. When the Article 2(1) of State Compensation Act is applied, State Compensation Act plays supplementary role for other statutes, as compensation for one who may receive compensation 'under other statutes' is not allowed. The first problematic aspect is that it is required of a plaintiff to prove the reasonable causation between suicide and official duty or training courses to get compensation by Act on the Honorable Treatment and Support of Persons, etc. of Distinguished Services to the State and Act on Support for Persons Eligible for Veteran’s Compensation. However, evidence could be easily concealed in the military because of its exclusive hierarchy and limited accessibility. Considering the purpose of Act on Support for Persons Eligible for Veteran’s Compensation and risk-taking theory which imposes burden of proof to a person in charge, it should be the government who should be imposed burden of proof in a military suicide case. Second, the contributory negligence issue arises when the bereaved family sues the government for civil responsibility and compensation. In most military suicide cases, government responsibility is limited to 20~30% when the negligence of the deceased accounts for up to 70~80%, which is unusual.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deceased should take great responsibility, considering compulsory military duty and harsh disciplines that the deceased had to go through. Compared to other kinds of cases related to wounded demonstrators, industrial accidents, and other suicides, military suicidal cases show unreasonably high contributory negligence rate. At least, it should be normalized in balance with other cases. It is also our duty to keep the military which my family and friends serves sound and safe. Thus, we have to build ex post facto system to compensate suicides in the military. For this, first we suggest to rearrange support and compensation system, and second to transfer plaintiff’s burden of proof to respon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